View : 1302 Download: 0

체내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환자의 질병 불확실성 구조모형 개발

Title
체내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환자의 질병 불확실성 구조모형 개발
Other Titles
The Structural Model for Uncertainty of Illness in Implantable Cardioverter Defebrillator Patients
Authors
방초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윤희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disposing factors of uncertainty, uncertainty in illness, appraisal of uncertainty, and adaptation in ICD patients based on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Theory (Mishel, 1988). A theoretical model was constructed by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uncertainty in illness and adaptation in ICD patients. For this, a structural model was developed to estimate the cause-effect relationships among disease severity, social support, uncertainty in illness, appraisal of uncertainty,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health, ICD-related concerns, and acceptance of ICD in ICD patients. The fit of the model and the significance of it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verifi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patients who received ICD implantation within the past 12 months and who were visiting the Department of Cardiology at five hospital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December 2020 and April 2021, and a total of 24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PSS 26.0 program and Mplus 8.0 program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Full-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FIML), while the fit of the model was tested through the goodness-of-fit index of χ², CFI, SRMR, and RMS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or disease severity as a predisposing factor of uncertainty, the mean values of the frequency and the severity of arrhythmia were 17.09±10.78 and 15.22±7.06, respectively. The mean value of social support was 39.24±8.97, with the highest value shown by support of family, followed by support of medical staff and support of friends. For uncertainty in illness, the mean value was 70.54±10.89; for appraisal of uncertainty, the mean of opportunity appraisal was 16.59±6.27, and that of risk appraisal was 15.20±7.70. For the adaptation in terms of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ICD-related concerns, and acceptance of ICD, the mean values were 58.93±17.0, 59.82±18.74, 15.73±7.19, and 57.06±16.75, respectively. 2. Disease sever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opportunity appraisal, and adaptation,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uncertainty and risk appraisal (p<.001). Social suppor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uncertainty and risk appraisal but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pportunity appraisal and adaptation (p<.001). Uncertain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opportunity appraisal and adaptation while being positively correlated with risk appraisal (p<.001). 3. The goodness-of-fit of the theoretica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not acceptable as χ² statistics was 366.63 (df=124, p<.001), but the fit was shown to be good based on the close fit indices of CFI=.899, SRMR=.075, and RMSEA =.090. 4. An increase in disease severity in ICD patients led to an increase in uncertainty in illness, and a high level of uncertainty in illness led to low opportunity appraisal and high risk appraisal to ultimately reduce their level of adap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uncertainty in illness and appraisal of uncertainty showed a double mediation effect, and an increase in social support led to a lower level of uncertainty in illness, which in turn led to high opportunity appraisal and low risk appraisal to increase the level of adaptation. Hence, in ICD patient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ease severity and uncertainty and adaptation, with an indirec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uncertainty and adaptation. Furthermore, uncertainty in illness and appraisal of uncertainty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level of adaptati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in ICD patients, disease severity and social support exerte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adaptation via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uncertainty in illness and appraisal of uncertainty. Thus, uncertainty in illness should be adequately managed to help ICD patients with effective adaptation. It is essential that a practical and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be developed for the management of uncertainty in illness in ICD patients to help them pursue a healthy and high quality of life.;돌연심장사는 전 세계 사망원인의 15∼20%에 해당하는 주요문제로, 돌연심장사를 예방하기 위해 체내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이 증가하고 있다. 체내 삽입형 제세동기는 돌연심장사 예방에 효과적이나, 환자는 심정지 경험, 다양한 부정맥증상과 생명에 위협이 되는 치명적인 부정맥이 발생할 때 작동되는 전기충격을 언제 어디에서 받게 될지 알 수 없는 예측할 수 없는 특성으로 인해 질병 불확실성을 경험한다. 이러한 질병 불확실성은 개인의 건강과 안녕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질병 불확실성 이론(Mishel, 1988)을 적용하여 제세동기 이식환자의 질병중증도, 사회적 지지, 질병 불확실성, 불확실성 평가, 적응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제세동기 이식환자의 질병 불확실성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제세동기 이식환자의 제세동기 이식 이후 적응을 돕고 건강한 삶을 도모하기 위한 간호중재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체내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 후 12개월이 경과하지 않고 서울, 경기, 인천지역 5개 병원의 순환기내과를 내원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2020년 12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43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program과 Mplus 8.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Full-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FIML)로 분석하였고, 모형의 적합도는 χ² 통계량, CFI, SRMR, RMSEA의 적합도 지수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질병중증도인 부정맥 증상의 빈도와 심각도의 평균값은 각각 17.09±10.78, 15.22±7.06이고, 사회적 지지는 평균 39.24±8.97로 가족지지, 의료진지지, 친구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질병 불확실성 평균값은 70.54±10.89이며, 불확실성 평가는 불확실성 기회평가와 불확실성 위험평가가 각각 16.59±6.27, 15.20±7.70이었다. 적응은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제세동기 관련 걱정, 제세동기 수용을 포함하며, 신체적 건강의 평균값은 58.93±17.0이며, 정신적 건강은 59.82±18.74, 제세동기 관련 걱정은 15.73±7.19, 제세동기 수용은 57.06±16.75이며, 적응의 문항평균 값은 2.84±0.59 이었다. 2. 질병중증도는 불확실성 기회평가, 적응과 부적 상관관계를, 질병 불확실성, 불확실성 위험평가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1). 사회적 지지는 질병 불확실성, 불확실성 위험평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불확실성 기회평가, 적응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1). 질병 불확실성은 불확실성 기회평가, 적응과 부적 상관관계를, 불확실성 위험평가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1). 3.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는 χ²통계량은 366.63(df=124, p<.001)으로 기각되었으나 근사적합도 지수인 CFI=.899, SRMR=.075, RMSEA =.090로 적합도가 적당하였다. 4. 체내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환자의 질병중증도와 적응 간의 관계에서 질병 불확실성과 불확실성 평가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고(B=-.079, 95% CI= [-.125, -.042]), 사회적 지지와 적응 간의 관계에서 질병 불확실성과 불확실성 평가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B=.194, 95% CI= [.127, .295]). 본 연구결과 체내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환자는 다른 만성질환 환자에 비해 높은 질병 불확실성을 나타냈다. 제세동기 이식환자의 질병중증도가 높을수록 질병 불확실성이 높고, 높은 질병 불확실성은 낮은 불확실성 기회평가와 높은 불확실성 위험평가로 이어지며 낮은 적응이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적응의 관계에서 질병 불확실성과 불확실성 평가는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질병 불확실성이 낮고, 낮은 질병 불확실성은 높은 불확실성 기회평가와 낮은 불확실성 위험평가로 이어지고 높은 적응이 나타났다. 즉 체내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환자의 질병중증도와 사회적 지지는 질병 불확실성과 불확실성 평가의 이중매개효과를 통해 적응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질병 불확실성을 가진 체내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환자의 질병 불확실성 관리는 중요하며, 질병 불확실성 선행요인인 질병중증도와 사회적 지지에 대한 중재는 질병 불확실성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질병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적응을 높일 수 있도록, 질병 불확실성 선행요인인 질병중증도를 낮추고 사회적 지지를 높이는 간호중재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적극적인 부정맥증상 관리와 간호사의 정확하고 전문적인 교육을 통한 사회적 지지제공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중범위간호 이론인 질병 불확실성이론(Mishel, 1988)을 근간으로 모형의 주요요인을 모두 포함하여 체내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환자의 질병 불확실성 모형을 구축하고, 체내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환자의 질병 불확실성을 설명하는 다차원적인 통합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체내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환자의 효과적인 질병 불확실성 관리를 위한 방안모색에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며 간호지식의 범위를 넓히고 간호이론과 실무의 간극을 좁히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