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병원 내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의 증상 클러스터와 직장생활의 질 및 이직의도

Title
병원 내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의 증상 클러스터와 직장생활의 질 및 이직의도
Other Titles
Symptom clusters,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who experienced workplace violence
Authors
이미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차지영
Abstract
병원 내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는 다양한 증상을 동시에 경험하게 되는데 서로 관련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2~3가지 이상의 증상이 발생하는 것을 증상 클러스터라고 한다. 증상 클러스터를 파악하는 것은 개인이 동시에 경험하는 서로 관련된 증상들을 확인함으로써 관련 증상들을 함께 개선시킬 수 있는 중재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 내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에서 증상 클러스터 존재 유무를 탐색하고 증상 클러스터 경험 그룹에 따른 직장생활의 질 및 이직의도를 확인하여 고위험 증상 클러스터 경험 그룹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임상 경력 1년 이상이면서 환자간호에 직접 참여하는 간호사로 최근 4주 이내에 병원 내 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는 일반 간호사이다. 온라인 간호사 커뮤니티에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안내문과 함께 온라인 형태로 제작된 설문지 링크를 게시하여 자발적으로 연구에 동의한 대상자들이 응답하도록 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병원 내 폭력 경험, 폭력 반응, 직장생활의 질, 이직의도를 측정하였다. 총 264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나 중복 저장된 응답 4개, 경력 1년 미만 간호사 14명, 실제적인 병원 내 폭력 경험이 없는 간호사 43명의 응답을 제외하여 최종 20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구체적으로는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K-means 군집분석, 판별분석, Chi-square 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병원 내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에서 확인된 증상 클러스터는 우울-불안 클러스터, 수치심-신체화 클러스터, 악몽-식욕부진 클러스터, 분노-충격 클러스터이다. 2. 4개의 증상 클러스터 점수를 토대로 K-means 군집분석을 통해 총 3개의 그룹이 형성되었다. 그룹 1은 모든 증상 클러스터 점수가 높으면서 특징적으로 분노-충격 클러스터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룹 2는 악몽-식욕부진 클러스터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룹 3은 그룹 1과 유사하게 분노-충격 클러스터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모든 증상 클러스터 점수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각각 그룹 1은 Anger-Shock dominant: high (분노-충격 클러스터 우세: 높은 증상 그룹), 그룹 2는 Nightmare-Loss of appetite dominant (악몽-식욕부진 클러스터 우세 그룹), 그룹 3은 Anger-Shock dominant: low (분노-충격 클러스터 우세: 낮은 증상 그룹)로 명명하였다. 3. 고위험 증상 클러스터 경험 그룹의 특성을 확인한 결과, Nightmare-Loss of appetite dominant 그룹의 대상자들은 다른 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았고(F=3.388, p=.036), 모두 여성이었다(χ2=19.051, p<.001). 또한 폭언 경험(간호사: F=9.296, p<.001, 의사: F=10.039, p<.001, 타 부서 직원: F=22.183, p<.001), 신체적 위협 경험(환자: F=3.305, p=.039; 간호사: F=13.925, p<.001; 의사: F=16.267, p<.001; 타 부서 직원: F=29.515, p<.001), 신체적 폭력 경험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환자: F=7.470, p<.001; 보호자: F=20.182, p<.001; 간호사: F=24.570, p<.001; 의사: F=44.144, p<.001; 타 부서 직원: F=47.909, p<.001). 이 그룹은 직장생활의 질이 가장 낮았고(F=3.943, p=.021), 하위요인에서는 가정/직장생활을 위한 지지체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27.296, p<.001). Anger-Shock dominant: high 그룹의 대상자들은 병원 내 폭력으로 인한 증상 정도가 가장 심했고, 이직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20.429, p<.001). 본 연구에서 도출된 병원 내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의 증상 패턴과 고위험 증상 클러스터 경험 그룹의 특성은 병원 내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의 증상 관리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직장생활의 질이 가장 낮았던 Nightmare-Loss of appetite dominant 그룹과 이직의도가 가장 높았던 Anger-Shock dominant: high 그룹을 도출함으로써, 병원 내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 중 취약집단을 위한 중재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to explore symptom clusters of nurses who experienced workplace violence along with the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and turnover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03 nurses who had experienced workplace violence within the past four weeks between May 22 and May 26, 2020.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d tests, explanatory factor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using SPSS/WIN 26.0 program. Four symptom clusters were identified: a depression-anxiety cluster, shame-somatization cluster, nightmare-loss of appetite cluster, and anger-shock cluster. Based on these four symptom cluster scores, three groups that had similar symptom patterns were identified. Group 1, anger-shock dominant: high, had all four symptom cluster scores higher than the other two groups, and, in particular, the anger-shock cluster score the highest. Group 2, the nightmare-loss of appetite dominant, showed the highest score for the nightmare-loss of appetite cluster among the four symptom clusters. Group 3, the anger-shock dominant: low, showed a similar symptom pattern to group 1, but the overall score of the four symptom clusters was low. Participants in the nightmare-loss of appetite dominant group were relatively older (F=3.388, p=.036), and all were female (χ2=19.051, p<.001). In addition, participants in the nightmare-loss of appetite dominant group experienced the most workplace violence (verbal violence by nurses: F=9.296, p<.001; doctors: F=10.039, p<.001; other staff: F=22.183, p<.001/physical threats by patients: F=3.305, p=.039; nurses: F=13.925, p<.001; doctors: F=16.267, p<.001; other staff: F=29.515, p<.001/physical violence by patients: F=7.470, p<.001; relatives: F=20.182, p<.001; nurses: F=24.570, p<.001; doctors: F=44.144, p<.001; other staff: F=47.909, p<.001). The participants in the nightmare-loss of appetite dominant group had the lowest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F=3.943, p=.021). Participants in the anger-shock dominant: high group had the most severe symptoms and the highest turnover intention (F=20.429,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developing care plans for high-risk groups who suffer from workplace viol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