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텍스트 풍경

Title
텍스트 풍경
Other Titles
Text Landscape : Call Out the Names of the Lost Things
Authors
김라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우순옥

전혜숙
Abstract
본 논문은 이름을 부르는 행위, 즉 호명하는 미술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무엇을 부른다는 의미를 작품의 내용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부분에 다의적으로 적용하면서, 도시의 변화에 따른 여러 가지 현상을 포착하고 이에 대해 조형적으로 접근한 본인의 작품을 설명 및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름을 불러서 기억을 되살리는 행위로 고찰한 본인의 작업은 도시에서 경험한 사례들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도시에서 우연히 발견한 후, 약 4년 동안 관찰한 도시 자생 식물들의 생성과 소멸의 과정은 자본을 따라 움직이는 대도시 서울의 모습과 달리 자신의 호흡대로 살아 숨 쉬는 자연의 시간을 돌아보게 해주었다. 이와 더불어 서울에 있는 유휴 공간에서의 전시 경험과 그 이후에 용도가 변경된 전시 공간 성격의 변화는 기억으로만 남은 비-장소에 대해 탐구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 주었다. 사라진 사물과 식물 그리고 용도가 변경된 과거의 장소를 작업으로 소환하고 전시의 방식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본인은 도시에서 사라졌기 때문에 무력하다고 여긴 과거의 시간을 재조정하고자 하였으며 현재를 다시 보도록 유도하였다. 경제적인 가치를 가로질러 이와 작별을 고한 사물과 식물 그리고 장소의 기억을 회화적인 방법을 통해 보여주는 방식은 본인의 작품 제작 개념에 중요한 토대를 이루며 이것은 사라진 것들의 이름을 부르는 행위 즉, 호명함으로써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것과 의미가 통한다. 일반적으로 이름을 부르기 위해서는 발화의 주체와 주체가 지시하는 대상 그리고 설사 대상이 부재한다고 할지라도 대상을 지칭하는 언어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본인의 작업에서 대상을 표상하기 위한 언어는 문자 언어에 제한되지 않고, 이 언어를 ‘텍스트’ 개념으로 해석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텍스트의 열린 의미로서 문자 언어, 이미지, 공간의 범위로 확장해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문자 언어, 이미지, 공간을 매개로 구현한 본인의 작업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한다. 첫째, 도시 자생 식물들의 학명을 ‘텍스트-이미지’라고 명명하였고, 식물들의 학명이 조각된 텍스트 오브제를 만들어 대상을 부르기 위해 쓰인 문자 언어가 어떻게 시각화되는가를 ‘도시-기억: 《사라진 것들의 이름을 부르다》’와 ‘원시-기억: 《조금, 편한 사이》’를 통해 보여준다. 뿌리를 내린 곳에서만 자라는 식물들의 특성과 달리 이동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진 텍스트 오브제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 식물의 부동적인 특성과 오브제의 유동적인 면이 서로 대비되어 이 둘 사이의 경계가 교차하면서 도시의 자생 식물 및 사물들의 이름을 ‘시각적으로 불러주는’ 방식을 보여준다. 둘째, 작품의 이미지와 그 작품이 전시된 공간을 그린 이미지가 각각의 텍스트가 되어 ‘텍스트의 변용’을 보여준 ‘전시-기억: <하나 그리고 두 개의 전시>’에서는 롤랑 바르트의 텍스트 이론을 탐구하고, 본인이 해석하는 기억만 남은 비-장소의 의미와 접점을 찾는다. 롤랑 바르트가 주장하는 텍스트는 유희하는 텍스트, 즉 텍스트의 자유를 가리키며 비-장소에서 유휴 공간으로, 유휴 공간에서 다시 익명의 공간으로 전락한 장소의 구체적인 사례에 적용한다. 도시를 하나의 텍스트로 바라보고 재구성하는 본인의 작품을 분석하기 위한 근거로 제시한다. 셋째, 작업의 영역을 실제 도시 공간으로 확장해 적용한 ‘다시-기억: 《회고, 확장된 기억》을 통해 ‘텍스트의 변용’을 실현한다. 본인이 나고 자란 지역에서 수집한 사물 및 식물들의 이미지를 가지고 와서 생활 공간이자 상업공간에 본인의 작업을 전시함으로써 일상 공간이 전시 공간으로 변용되고, 생활 속에서 쉽게 지나치게 되는 작은 존재들의 의미를 다시 돌아본다. 이상 세 가지로 나누어 본 각각의 작업을 살펴보고 이름을 불러서 기억을 되살리는 미술 행위를 작품에 다각도로 적용하여 그 의미를 파악한다. 창작 활동의 원인이 되는 삶의 양태와 예술 작품의 본질은 불가분의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세계에 대한 인식은 곧 인간의 행동과 생활양식을 만들어 당대의 문화를 형성해 나간다. 오늘날 대부분의 현대인은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에서 살며 물질적인 풍요로움과 편리함 속에서 삶을 영위한다. 도시는 속도를 더해가고, 건물은 점점 더 높아지면서 생산성과 효율성을 가지게 되었지만 조밀한 대도시 풍경에 밀려 개인의 기억은 잠식된 채로 현대인들은 현재를 살아가기에 급급하다. 급변하는 도시 풍경에서 쫓겨나듯 항상 달아나고 있는 것만 같은 과거를 붙잡아 존재의 의미를 새롭게 길러내는 앙리 베르그손은 기억이 어디론가 사라져버리는 것이 아닌, 스스로 보존되어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지나가 버린 과거가 변하지 않고 그대로 존재하고 있다는, 과거의 현재화를 주장한 베르그손의 기억과 과거, 즉 시간에 대한 사유를 탐구함으로써 본인은 기억의 대상을 텍스트로 해석하였고, 이를 시각적으로 재구성하는 방식을 통해 기억을 현재화시키는 의미를 재발견하였다. 본 논문은 잊혀진 이름과 공간, 그리고 그 의미를 소환하는 미술 행위의 중요성과, 그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 그것이 본인의 작품에서 문자 언어, 이미지, 공간 자체로 나타나는 작업의 의미를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dissertation pertains to the act of calling out names, or the art of calling out names. To this end, I applied the meaning of calling out names to content and form in a polysemantic way in this dissertation while striving to capture various phenomena along with changes in cities and furthermore to explain and analyze my formative works. My works are based on contemplations of evoking a memory by saying names and are closely connected with cases that I experienced in cities. For about four years I observed the cycle of the creation and extinction of native flora that I happened to encounter in a city, which led me to look back on the time of nature that sustains itself at its own pace of breathing, in contrast with Seoul, a metropolis that is moved by capital. Moreover, the experience of hosting exhibitions in unused spaces in Seoul and changing the purpose of the exhibition space presented a clue to explore “non-places” that linger only in memory. By summoning into my works lost things and flora, and past places whose purpose has changed and displaying them in my exhibitions, I intended to re-arrange the times of the past that were regarded as powerless because they had disappeared from the city, and encouraged the viewer to reconsider the present. The method of using painting techniques to express the memories of lost things, flora and places, regardless of their economic value, formed the fundamental basis of the production concept of my works and carries consistent a meaning with the act of calling out the names of things that have disappeared, or the act of recalling memories by calling out names. In general, calling out names requires a subject of speech, an object to which the subject refers, and a language that refers to an object even in the absence of an object to refer to. In my works, I did not limit the language for the representation of an object to a written language, but rather interpreted and analyzed the language as a text and then expanded the scope of the language to encompass written languages, images and spaces to constitute an open interpretation of the text. In this dissertation, I explain my works, which were represented through written languages, images and spaces, under three categories. First, I gave urban native flora the scientific name of a “text-image” and made text objects by carving their scientific name to demonstrate the way in which the written language used to call an object was visualized through the artworks “City-Memory: Call Out the Names of the Lost Things” and “Primitive-Memory: A Little More Comfortable.” Unlike the characteristics of flora that grow up rooted to one place, text objects that are created in a mobile form juxtapo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and the text, as well as the immobility of flora and the mobility of objects,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m, thereby “visually calling out” the names of urban native flora and things. Second, my work titled “Exhibition-Memory: One Exhibition, Then Two,” in which the image of the work and the image depicting the work’s exhibition space each became a respective text, demonstrated the “transformation of text” and explored Roland Barthes’ Theory of the Text and identified the meaning and contact point of a non-place that only remains as a memory interpreted by the self. Barthes’s Theory of the Text refers to the pleasure of the Text, or the freedom of the Text. It was applied to a specific case where a non-place turned into an unused space and then into an anonymous space. I presented this theory as the basis for analyzing my work, which observed and reorganized a city into a text. Third, I realized the “transformation of text” through “Again-Memory: Recollections the Expanded Memory” that expanded the workspace into an actual city space. I brought the images of things and flora collected from the place where I was born and raised, then exhibited them in a living and commercial space. This transformed the living space into an exhibition space and recalled the meaning of small things within everyday life that are easily missed. Through this process, this dissertation examined the three categories of my works and identified their meaning by applying the artistic act of calling out names to bring back memories to the artwork from various angles. The patterns of life, which serve as one of the origins of creative activities, and the essence of artworks are intertwined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and the perception of the world constructs human behaviors and ways of life, ultimately becoming the basis of contemporary culture. Today, most of us live in a fast-changing urban environment and live amongst material affluence and convenience. As cities gather speed and their buildings rise higher and higher, productivity and efficiency may have improved, but modern human beings are busy living the present and our past memories are becoming eroded and carried away by the dense landscape of metropolises. Henri Bergson, a philosopher who captured past moments that always seemed to be escaping from the fast-changing city landscape and found a new meaning of existence, once noted that memory does not disappear somewhere but is inscribed within ourselves. Bergson theorized the emerging presence of the past, the notion that the past does not change but rather continues to exist. I explored his theory of memory and the past, namely his thoughts on time itself, through which I interpreted the object of memory as a text and rediscovered the meaning of the presence of memories through their visual reconfiguration. This dissert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the artistic act of recollecting lost names, spaces and the meaning thereof, while including the theoretical contemplation of the said act and revealing the meaning of my works, which re-emerged in the forms of written languages, images and spaces themsel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