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0 Download: 0

반복적 행위를 통한 내적탐구

Title
반복적 행위를 통한 내적탐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ternal search through repetitive actions : Focusing on the threaded drawing of objects
Authors
이주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차영순
Abstract
본 논문은 반복적 행위의 실드로잉을 통해 사물을 표현하는 작품 탐구와 그것에 내재된 의미를 기술한 것이다. 미술에서 사물의 철학적 개념과 개인의 일상사물 체험에 관한 이론적 탐구를 바탕으로 작품을 제작, 분석함으로써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의 이론적 근거를 찾고, 이를 근거로 연구작품을 서술하는 것이 목적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주된 사물은 책더미이다. 책은 일상사물 중 하나로서 쌓여있는 책더미는 연구자의 내면을 반영하는 은유적 표현이다. 연구작품은 내적 탐구의 결과물로 완성되는데, 경험의 축적이 만든 내면의 변화는 앞에서 언급한 사물 표현을 반영한 것이다. 이론적 근거는 미술작품 속 사물의 의미를 언급한 철학자들을 조사하였다. 하이데거는 예술작품 속 사물이 자신의 기능을 상실함으로써 오히려 존재가 주목받게 된다고 했다. 사르트르는 작품 속 사물은 본래의 기능적 의미 외에 ‘작가의 상상력’에 의한 ‘내적 지시’를 전하는 도구로써 그 의미를 지니게 된다고 설명한다. 현대미술에서 사물은 매우 복합적이고 다양한 의미들로 작품 속에 존재하게 된다. 특히, 근대 이후에 대두되는 개인과 일상, 일상의 사물이라는 개념들은 예술가들에게 개인적 삶 속에서 존재하는 일상을 주목하게 하였다. 그리고 일상의 사물들은 예술의 영역 안에 들어와 작가의 의도와 목적이 부여된 의미를 전달한다. 연구자의 작품 속 사물은 더미로 표현된다. 책이라는 일상의 사물이 계속 쌓이는 형태는 일상을 쌓아가는 연구자의 모습에 비유할 수 있다. 연구자 내부에는 무의식적으로 계속 변화하며 성장하는 사람이 되고 싶은 욕망이 있다. 이 욕망은 삶과 자신에 관한 확인을 통해 익숙한 반복 행위로 변화를 만들어 보려는 긍정적인 욕망의 일환이다. 연구자가 사물을 체험하는 내적 시간은 머신스티치의 바늘에 따라 작품을 제작하는 순간이다. 작업을 진행하는 현재는 내면과 외부의 반복으로 되어있다. 완성을 향해 반복되는 작업의 과정은 신체적 행위의 반복과 내적 사유 안에서 자신을 직시하고 과거를 기억하며 이루어진다. 사물은 실드로잉을 통해 표현되어 진다. 현대미술에서 섬유는 1960년대 이후 과정과 행위의 기록이라는 진보적 개념을 전달하는 조형 매체로서 부상하였다. 머신스티치를 이용한 실드로잉은 반복적 요소를 통해 선으로 나타난다. 실드로잉 작품들은 계속되는 반복행위로 완성된다. 실드로잉은 하나하나의 움직임이 경험의 축적으로 발현되는 행위로서 들뢰즈의 반복이라는 개념의 관점에서 보면 이미 차이를 지닌 반복이 된다. 실드로잉으로 완성된 작업은 현대적 의미의 새로운 드로잉으로 해석할 수 있다. 미술사에서 드로잉은 회화나 조각의 부수적 표현으로 존재하였지만 1960년대 후반부터 개념을 전달하는 완성된 조형 표현으로 평가된다. 특히, 개념적 사고가 중요시되면서 드로잉은 작가 내면의 첫 번째 시각적 행위이자 내적 변화를 그대로 드러내는 표현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열린 구조의 드로잉이란, 사고의 다양성을 전달하는 적극적인 표현으로 다른 여러 매체를 흡수하며 발전하는 특성을 말하는데, 드로잉의 예술적 가치가 인정되면서 작가들은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시각적 전개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 작품은 주로 일상의 사물을 주관적 관점에서 해석해 표현하였다. 쌓여진 사물의 표면은 수많은 실선으로 구성된다. 그 모습은 연구자의 경험과 시간이 함축된 현재를 말한다. 실로 그리는 선들은 현재의 내적 상태를 표출시키면서, 작품 속에서 그 형태나 색과 같은 시각적 변화를 이끌어 냈다. 끝없이 반복되는 실드로잉은 몰입의 시간을 제공하였고, 이때 감각을 집중하여 내적 탐구의 근원에 있는 욕망과도 같은 에너지를 확인하였다. 향후 지속적인 작품제작을 유지하며 변화를 시도함으로써 내면의 중심을 찾을 것으로 생각한다.;This thesis describes the exploration of works that express objects through the threaded drawing of repetitive actions and the meaning inherent in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content to be expressed through the work by making and analyzing the work based on the theoretical inquiry about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objects and the personal experience of everyday objects in art. The main object appearing in the work is a pile of books. A book is one of the everyday objects, and the pile of books is a metaphorical expression that reflects the inner side of the researcher. The research is completed as a result of inner exploration, and the inner change created by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 which is reflected in the expression of various objects. First, we investigated philosophers who mentioned the meaning of objects in works of art as a theoretical basis. According to Heidegger, as objects in works of art lose their function, their existence gets attention. Sartre explains that objects in his work have their meaning as a tool that conveys 'internal instructions' by 'the artist's imagination' in addition to their original functional meaning. In contemporary art, objects exist in works with very complex and diverse meanings. In particular, the concepts of the individual, daily life, and everyday objects that emerged after the modern era drew attention to the daily lives of the artists. And everyday objects enter the realm of art and convey the meaning given to the artist's intention and purpose. Objects in the researcher's work are expressed as dummy. The form in which everyday objects such as books are continuously piled up as the image of a researcher accumulating daily life. Inside the researcher, there is an unconscious desire to become a person who continues to change and grow. This desire is part of a positive desire to make changes into familiar repetitive behaviors through confirmation of life and researcher's inner self. The time for a researcher to experience an object is the moment to create a work according to the needle of machine stitch. The present work is made of internal and external repetition. The repetitive process of work towards completion repeats the repetition of physical actions and the repetition of self-reflection and memory of the past. The expression of objects is done through threaded drawing. In contemporary art, textiles have emerged as a formative medium that conveys the progressive concept of documenting processes and actions since the 1960s. Threaded drawing using machine stitching appears as a line made by thread in the sense of including repetition. Works including threaded drawings are completed through endless repetition. Each movement of making a threaded drawing is an act of accumulation of experience, and if viewed in Deleuze's concept of repetition, it is already a repetition with a difference. The work completed with the thread drawing can be consider as a drawing in the modern sense. In art history, drawing existed as a secondary expression of painting or sculpture, but since late 1960s, it has been evaluated as a completed formative expression that conveys a concept. In particular, as conceptual thinking becomes more important, drawing is recognized as the artist's first visual act and an expression method that reveals the inner change as it is. Drawing with an open structure is an active expression that conveys the diversity of thought and develops by absorbing various other media. As the artistic value of drawing is recognized, artists are able to develop visual development using all media to express their thoughts. Research works are mainly expressions of reinterpreting everyday objects from a subjective point of view. The surface of stacked objects is composed of numerous solid lines. The appearance refers to the present in which the experience and time of the researcher is implied. The lines made of thread express the current inner state, creating visual changes such as shape and color in the work. The endlessly repeated threaded drawing provides a time for immersion, and the sense of concentration at this time confirmed the energy like desire at the source of inner exploration. This should be the inner core that will keep trying to change while maintiaining countinuously produce new work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