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9 Download: 0

모성 체험을 통한 자아 정체감 연구

Title
모성 체험을 통한 자아 정체감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self identity through maternal experience : Fiber art modeling with egg motif
Authors
김누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차영순
Abstract
본 연구는 모성 체험 중에 갖게 되는 자아 정체성에 대한 고찰로, 분열된 자아를 통합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모색하며 자신의 투사물인 알의 모티브를 이용해 조형 표현을 하는 것이다. 임신이라는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통해 모성과 자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체험하게 되면서 내면적 갈등 상황에서 균형을 찾고자 한 것이 연구의 시작이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일상 속에 버려진 달걀 껍데기에 자신을 투영하며, 이를 다양한 조형 언어로 표현할 가능성을 타진했다. 알은 어머니 신체의 일부이자 어머니와 아이 사이에 존재하는 물질이며, 분열된 자아를 표상하는 매개체로 인식되었고 이는 조형 표현의 주요 모티브가 되었다. 모성 체험은 여성의 삶에서 여성성과 모성, 자아 정체성에 대해 많은 의문을 갖게 한다. 모성이 타고난 여성적 본질이라는 학설과 후천적으로 습득되어 사회화된 결과라는 학설이 존재하는데, 모성의 이러한 담론은 역사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유동적인 개념이다. 우선 본 논문에서는 모성이 정신분석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고 해석되는지 살펴본다. 어머니의 역할이 딸에게 동일시되어 재생산되고 이어진다는 낸시 초도로우의 학설을 연구하며 모성이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의 정신분석학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어머니의 위치를 새로이 정립한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모성 이론과, ‘과정 중의 주체’로서 어머니의 존재에 대한 해석을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이어서 모성 체험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는데 모성 체험에 진입하는 초기 단계에는 새로운 역할과 자아 사이에서 딜레마를 겪으며 혼란의 시기를 보내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성의 역할을 내면화하고 삶을 재통합해 나가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모성 체험 중 어머니의 자아 정체감 혼란을 여성적 글쓰기를 통해 해소하고 자기실현의 방법으로 실천한 아드리안 리치의 저작을 통해 모성 체험이 자기실현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본 연구의 작품 제작 모티브가 되는 알껍데기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물리, 화학적 사실을 살펴보면 모든 기능이 생명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조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신분석학의 접근방식에서 알은 모체의 분비물, 모체와 태아의 경계를 이루는 물질로서 애브젝트의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신화와 종교에 등장하는 알은 세상의 시작과 생명의 탄생을 의미하는 상징이자 임신한 여성의 신체를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알을 연장된 신체의 표상으로 해석하였다. 현대 미술에서는 확장된 개념의 신체를 표현함으로써 유동적이고 다양한 정체성을 표출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는데, 특히 여성 고유의 신체적 현상과 경험을 부드러운 물성의 재료로 표현한 여성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하는 과정은 그들이 여성이기 때문에 겪는 생리적, 사회적 경험을 파편화된 신체, 비정형의 덩어리 등으로 형상화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연구자는 모성 체험 과정 중에 일어나는 신체와 사회적 역할의 변화를 통해 모성의 역할과 자아 정체감에 대해 사유하면서 본연의 자아와 모성적 자아 사이의 균열을 해소하고 어머니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의 답을 찾고자 알을 모티브로 한 조형 작품을 제작하게 되었다. 이러한 작품들을 제작 기법과 설치 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는데 작품 제작에 사용된 다양한 기법들과 재료들은 다음과 같다. 종이와 거즈로 깨진 알의 형태를 반복적으로 캐스팅하였다. 드로잉을 섬유소재에 구현하기 위해 디지털 텍스타일 기법 중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레이저 커팅 기법을 사용하였다. 반복된 알을 표현하고자 스크린 프린팅과 블록 프린팅 기법을 사용하여 증식된 이미지를 섬유 소재에 구현하였다. 깨진 달걀 껍데기를 이용하여 새로운 생명체의 형상을 만들기도 하고, 달걀 껍데기 조각을 반투명한 우레탄 원단 안에 넣어 일상의 오브제를 재현하였다. 작품을 벽뿐만이 아닌 바닥에 설치함으로써 관람자가 시청각적, 촉각적으로 작품과 전시공간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자의 조형 표현에서 주된 이미지는 원형과 타원형의 반복으로, 이는 증식된 세포, 대물림되는 모성에 대한 시각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와 작업은 깨진 알껍데기의 복원과 재생의 과정으로, 이를 통해 분열되어 있던 어머니로서의 자아와 본래의 자아 간의 통합의 길을 조형언어로서 새롭게 표현한 것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모성과 자아, 신체에 대한 인식을 확고히 하고 자기실현의 길을 모색하였으며, 다양한 재료와 표현기법을 도입하여 독자적인 조형 언어를 구축하고자 하였다.;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elf-identity that one has experienced during the motherhood, integrating the divided self, seeking a new identity, and expressing a formative expression using the motif of eggs as one's own projectile being. The research aims to find a balance in the situation of internal conflict as she experiences a new awareness of motherhood and self through the physical and mental changes of pregnancy.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comes to project herself on eggshells discarded in everyday life,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it in various formative languages. The egg is a part of the mother's body and a material that exists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and has become a medium to represent the divided self, and this becomes the main motif of formative expression. The experience of motherhood raises many questions about femininity, motherhood, and self-identity in women's lives. There are theories that motherhood is the innate feminine essence and theories that it is acquired through socialization. These discourses on motherhood are historically changing and the concepts are fluid.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motherhood psychoanalytically. Nancy Chodorow's theory that the role of a mother is identified with her daughter, reproduced and continued is studied and how motherhood is composed of is confirmed. In addition, Julia Kristeva's motherhood theory, which newly established the position of the mother, which had been neglected in the existing psychoanalysi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mother's existence as a 'subject in the process' are mainly investigated. Subsequently, the maternal experience is analyzed by period. In the initial stage of entering the maternity experience, there is a dilemma between the new role and the self, and a period of confusion is spent, but as time passes, the mother's role is internalized and life is reintegrated. This study analyzes the work of Adrian Ricci, which resolved the confusion of a mother's self-identity during the motherhood experience through feminine writing and practiced it as a method of self-realization. Through this process, it is verified that the experience of motherhood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self-actualization. Eggshell, which is the motif of the production of the work of this study is investigated. As examining the physical and chemical fact of the eggshell, it can be seen that all functions are structured to protect living things inside. Also, in the psychoanalytic approach, the egg is interpreted as the meaning of abject as the secretion of the mother and the substance that forms the boundary between the mother and the fetus. In mythology and religion, the egg is a symbol of the beginning of the world and the birth of life, as well as the body of a pregnant woman. Based on these studies, the researcher interprets the egg as a representation of an extended body. In contemporary art, the tendency to express fluid and diverse identities by expressing the body of an extended concept stands out. In particular,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works of female artists who expressed women's unique physical phenomena and experiences with soft materials is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fact that they are women.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physiological and social experiences experienced were embodied in fragmented bodies and atypical masses. The researcher uses a formative language to resolve the rift between the original self and the maternal self and to find an answer to the concerns about the mother's identity while thinking about the role of motherhood and the sense of self-identity through changes in the body and social roles that occur during the process of motherhood experience. To express these concepts, the production technique and installation methods are classified and analyzed. Various techniques and materials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works are as follows. The shape of the broken eggs are repeated by partially casting the egg with paper and gauze. Digital textile printing and laser cutting techniques are used among digital textile techniques to implement drawings on fibers. In order to express repeated eggs, screen printing and block printing techniques are used to implement the proliferated image on the fiber material. Broken eggshells are used as they are to create new life forms, and pieces of eggshells are placed in translucent urethane fabric to reproduce everyday objects. And by installing the work on the floor instead of on the wall, viewers can experience the work and the exhibition space in an audiovisual and tactile sense. The main image that stands out in the researcher's formative expression is the repetition of circles and ovals, which can be said to be a visual expression of proliferated cells and inherited motherhood. This research and work becomes the process of restoration and regeneration of broken eggshells. Through these processes, the researcher discovers and visually expresses the path of integration between the divided self as a mother and the original self through fiber sculptures. By literature research, our awareness of motherhood, the self, and the body are embodied, and the paths of self-realization are explored. My own formative language is intended to be built by introducing various materials and expression techniques into the production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