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0 Download: 0

유방암 생존자의 온코퍼틸리티(oncofertility) 관련 경험

Title
유방암 생존자의 온코퍼틸리티(oncofertility) 관련 경험
Other Titles
Oncofertility related Experiences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Authors
김윤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숙정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암 생존자의 수가 증가하고 치료 이후 생존 기간 또한 길어짐에 따라, 암 생존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가임력은 암 치료 이후 삶의 질에 있어 주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암 생존자는 치료 과정으로 인하여 가임력 저하를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암 생존자의 치료 이후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온코퍼틸리티(oncofertility)와 관련한 다양한 간호를 제공하여야 한다. 온코퍼틸리티란 암 생존자의 가임력에 관한 포괄적인 개념으로, 암 발생과 그 치료로 인하여 유발될 수 있는 가임력 저하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함으로써 생식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발표된 개념이다. 한편 유방암은 발생률과 생존율이 모두 높은 암으로, 한국의 경우 서구에 비하여 발생 연령이 낮아 가임기 유방암 생존자가 많은 편이다. 국내 유방암 생존자가 필요로 하는 온코퍼틸리티 관련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는 지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의 온코퍼틸리티 관련 경험을 탐색하여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적 구조를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유방암 진단을 받은 후 적극적인 치료가 종료된 9명의 가임기 여성이다. 자료 수집은 2020년 6월부터 2021년 2월까지 반 구조화된 일대일 심층 면담을 이용하여 자료가 포화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 (2009)가 제시한 4단계의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전체 본문을 읽고, 의미 단위를 나눈 후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였다. 그리고 학문적 용어로 전환된 의미 단위들을 유사한 의미 단위로 묶어 21개의 하위 구성 요소와 8개의 구성 요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유방암 생존자의 온코퍼틸리티 관련 경험은 ‘아무도 알려 주지 않아 예상하지 못한 가임력 저하’, ‘우선순위에 속절없이 밀린 가임력’, ‘뒤늦게 직면한 가임력의 소중함으로 인한 좌절감’, ‘정확한 정보 획득의 어려움에도 전심전력을 다한 정보 수집’, ‘가임력 관련 여정을 함께하는 동병상련의 치유 공동체’, ‘임신과 출산은 더 이상 자신의 일이 아니라는 체념’, ‘의료진과의 관계에서 느낀 괴리감’, ‘가임기 여성에게 특화된 간호에 대한 요구’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방암 생존자가 경험한 온코퍼틸리티의 본질적 의미 구조는 ‘생존만이 우선인 안개 속을 헤쳐 나가며 돌아갈 수 없는 강을 건넜으나, 돌아보니 그 의미는 생각보다 더 컸으므로 앞으로 가임기 여성을 위한 배려를 소망하게 되는 것’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유방암 생존자는 온코퍼틸리티와 관련하여 암 진단 시점부터 치료 이후까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간호를 필요로 함을 알 수 있었다. 간호사는 유방암 생존자의 치료 시기에 맞는 정보 제공을 포함한 논의를 하여야 하며 필요하다면 자조모임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은 지식적인 측면과 더불어 의사소통 기술과 같은 실무적인 준비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온코퍼틸리티와 관련하여 교육 및 상담을 하는 안내자의 역할, 여러 의료진과의 연계, 특히 정서적인 측면의 공감과 지지에 있어 간호사의 역할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가 필요로 하는 온코퍼틸리티 간호를 파악하는 것과 동시에 암 환자 접점 부서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온코퍼틸리티에 대한 준비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유방암 생존자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온코퍼틸리티 관련 전인 간호 제공을 위한 간호 중재 및 간호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number of young breast cancer survivors (BCS) is increasing. Moreover, South Korea has more breast cancer diagnoses for premenopausal women than the West. The current trend of women delaying pregnancy and childbirth to later in life results in a situation where some women may not conceive and give birth before a breast cancer diagnosis, even though they planned to conceive later. BCS often experience fertility problems (e.g., a decline in fertility, infertility) as a result of their treatment, and fertility is an important issue among cancer survivors. Therefore,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have been proposing guidelines for preserving the fertility of cancer survivors, but so far they have not been very successful in widespread implementation of these guideline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women to accept a decline in fertility due to breast cancer treatment, and this consequence is often overlooked in the cancer treatment process. An in-depth exploration to understand the oncofertility experience after cancer treatment was undertaken to better understand the proper care needed by BCS. This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design wit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explore the meaning and nature of oncofertility-related experiences of BCS. Nine women of reproductive age who had completed active treatment for breast canc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2020 to February 2021 using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until saturation was reached.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ll of the collected material was read, divided into semantic units, and converted into academic terms according to Giorgi’s four-step data analysis procedure (2009). Subsequently, the semantic units converted to academic terms were grouped into similar semantic units, resulting in eight constituents and 21 subcomponents. According to the study, the experiences of these women could be organized into eight constituents: “infertility was unexpected because no one discussed it”; “fertility pushed out of priority”; “frustration with belate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fertility”; “even if it is difficult to obtain accurate information, try to obtain information”; “healing community through a support group as companion on oncofertility journey”; “feeling resigned that pregnancy and childbirth are no longer my jobs”; “a sense of a gap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healthcare provider”; and “requiring tailored nursing care for women of reproductive age.” Participants in this study revealed an evolving pattern of perspectives related to their fertility. Immediately after given a cancer diagnosis, survival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se individuals. Then, during the cancer treatment, accurate information about fertility was difficult to obtain, which led to the formation of support groups with women in similar situations as they realized that fertility was still very important to them. In fact, many of these BCS did face a decline in fertility after treatment, which they began to realize may be irreversible, making pregnancy and childbirth no longer possible. BCS felt that their relationship with healthcare providers had been ineffective, with inadequate explanations and indifferent attitudes about fertility from diagnosis through survivorship. Thus, these women wanted that other of childbearing age would obtain tailored nursing care from healthcare providers in the future, while maintaining survival as a prior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the first to explore experiences related to oncofertility among BCS in Korea. Through this study, by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oncofertility experiences after cancer treatment,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BCS have continuous healthcare needs over tim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to improve quality, holistic nursing care for breast cancer survivors through education at clinical sit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