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0 Download: 0

초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양육태도(따스함, 자율성 지지, 구조 제공)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업 열의에 미치는 영향

Title
초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양육태도(따스함, 자율성 지지, 구조 제공)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업 열의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Academic Engagement through Self-Esteem
Authors
정은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academic engagement through self-esteem.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warmth, autonomy support, structur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Second, does self-esteem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Third, doe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warmth, autonomy support, structur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agement? Fourth, what is the impact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warmth, autonomy support, structure) on academic engagement through self-esteem? Fifth,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warmth, autonomy support, structure) on academic engagement through self-esteem depending on the gend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study, the 2019 survey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were used, and 2,437 fourth graders (1,221 boys and 1,216 girl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by SPSS Statistics 26 and Amos 26 programs to perform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armth,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all have significant static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n the components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is in the order of autonomy support, structure, and warmth. Second, self-esteem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Third, the components of warmth,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do not directl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agement. Fourth, components of the warmth,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directly affect academic engagement by fully mediating self-esteem. Influence levels are the order of autonomy support, structure, and warmth. Fifth, depending on the gend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warmth and autonomy support on self-esteem. The effect of warmth factors on self-esteem is effective in boys, but not significant in girls. Autonomy support is significant for both boys and girls, but differs in degree. Autonomy support has a greater influence on self-esteem in girls than in boys. Therefore, sinc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influences academic engagement by fully mediating self-esteem,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warmth and autonomy support on academic engagement depending on gender. Finally,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directly increase the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ndirectly increase the academic engag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The education and counseling of parenting needs to be systematic, an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readily available when services are needed. Next, in order to increa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programs to foster positive self-esteem are requested, and systematic programs suitable for the stage of child development should be implemented steadily and effectively with sufficient time. And while the effect of warmth on academic engagement through self-esteem is significant in boys, since girls are not, parents should express more of the feeling that it is good to be with love and welcome, especially to their sons. In addition, both boys and girls, autonomy support is significant for academic engagement through self-esteem. However, since girls appear higher than boys, parents should give more faith, understanding and empathy to boys than girls. Parent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and accept that this is a gender-specific difference.;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자율적으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고 열정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을 하도록 하는 ‘학업 열의’는 학업성취의 예측 및 학습동기의 유발을 가능하게 하는 변인으로 매우 주목되는 개념이다. 또한 다양한 환경적 변인 중 출생과 함께 평생에 걸쳐 인지, 정서, 행동의 전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개인적 변인으로 발달과 사회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개인 만족감에도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으로 자아의 가치 평가로 여겨지는 ‘자아존중감’을 잠재변인으로 선정하고 그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업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양육태도(따스함, 자율성 지지, 구조 제공)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학업 열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긍정적 양육태도(따스함, 자율성 지지, 구조 제공)가 초등학생의 학업 열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양육태도(따스함, 자율성 지지, 구조 제공)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업 열의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라 긍정적 양육태도(따스함, 자율성 지지, 구조 제공)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업 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 한국 아동ㆍ청소년 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제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로 초등학교 5학년 2,437명(남학생 1,221명, 여학생 1,216명)이 포함되었고, 수집된 자료를 SPSS Statistics 26, Amos 2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양육태도의 따스함, 자율성 지지, 구조 제공의 구성요소 모두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 긍정적 양육태도 구성요소에 따른 자아존중감으로의 영향도는 자율성 지지, 구조 제공, 따스함의 순서이다. 둘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학업 열의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긍정적 양육태도의 따스함, 자율성 지지, 구조 제공의 구성요소는 초등학생의 학업 열의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넷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양육태도의 따스함, 자율성 지지, 구조 제공의 구성요소는 자아존중감을 완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학업 열의에 영향을 미친다. 영향도는 자율성 지지, 구조 제공, 따스함의 순서이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라 긍정적 양육태도의 따스함, 자율성 지지의 구성요소는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다. 따스함 요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남학생의 경우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여학생의 경우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자율성 지지의 경우에 남ㆍ여학생 모두 유의하나, 영향력 면에서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자율성 지지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에서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 따라서 긍정적 양육태도의 따스함, 자율성 지지의 요인은 자아존중감을 완전 매개하여 학업 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성별에 따라서 따스함과 자율성 지지의 요인이 학업 열의에 미치는 영향에도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자아존중감을 완전 매개로 하여 학업 열의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직접적으로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간접적으로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에 따른 학업 열의를 높이기 위해,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를 함양할 수 있는 부모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부모는 자녀를 양육하며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고, 지인과 매스컴, 서적 등 증명되지 않은 방법을 적용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한다. 따라서 부모가 자녀에게 따스함, 자율성 지지, 구조 제공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적합한 체계적 양육태도의 교육과 상담이 학교교육과 연계하여 제도적 시스템으로 구축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현재 초등학교에서 연 2회 정도 시행되고 있는 특강 형식의 학부모 연수에서 벗어나, 서비스가 필요할 때 즉시에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담임교사 및 상담교사와 전문기관의 네트워크 형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학업 열의에 정적 상관을 보이므로, 초등학생의 학업 열의를 높이기 위해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긍정적 자아존중감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이 요청되며, 이는 자아존중감이 낮은 특정 학생을 대상으로 하거나, 도덕과 사회 등 특정 교과의 한 단원을 통해 학습하기 보다는 초등학교의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등의 연계를 통한 시수의 확보 및 학년 발달 단계에 맞는 체계적 융합 교육과정의 시행으로 지속적이고 실효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그리고 초등학생 전체집단의 긍정적 양육태도의 구성요소별 영향도를 측정하면 자율성 지지, 구조 제공, 따스함의 순서이다. 따라서 부모는 초등학생 자녀에게 부모의 방식을 따르도록 지시하거나 자녀의 의견에 거절의 의사를 표현하기 보다는 자녀가 지각할 수 있을 정도로 자녀의 생각을 이해하고 믿어주며 자녀가 중요하게 여기는 바에 공감하고 수용하는 태도 함양을 우선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일이나 사물이 돌아가는 이치를 알고 싶어 할 때 자녀가 지각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설명해주며, 자녀의 문제 상황에 함께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규칙과 더불어 이유도 설명하며, 자녀가 하고자하는 바의 틀을 제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자녀가 부모님이 나와 함께 있는 것을 좋아하며, 항상 나를 반가워하고, 나를 특별하게 여기며, 나를 사랑하고 있다고 흡족하게 느낄 수 있도록 표현해야 한다. 끝으로 다중집단 분석을 통한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간 학업 열의로의 경로를 비교해보면 따스함과 자율성 지지의 측면에서 유의한 경로 차이가 나타난다. 초등학교 남학생의 경우 따스함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업 열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나, 여학생의 경우는 유의하지 않기 때문에, 부모는 초등학생 자녀의 성별이 남자일 때 사랑과 반가움을 표현하고 특별하게 여기며 함께 있는 것이 좋다는 느낌을 자녀가 충분히 지각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남・여학생 모두 자율성 지지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업 열의에 유의하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의 결과 차이가 존재하므로, 부모는 남아의 경우 여아보다 더욱 믿어주고 생각을 이해하고 중요하게 여기는 바에 공감하고 있는 그대로 받아주는 태도를 가져 자녀가 이를 지각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할 것이다. 왜 다른지에 대한 의문보다는 사회화 과정에서 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남아와 여아에게 각기 다른 방식의 표현을 요구하며 나타나는 차이에 기인한 것일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해와 수용을 할 수 있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