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1 Download: 0

초등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 기능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인식 및 실행 양상 분석

Title
초등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 기능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인식 및 실행 양상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Practic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uthors
권수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진영
Abstract
현대 사회에 발생하는 문제의 복잡성과 모호성, 예측 불가능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지식과 정보 그리고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사회 변화로 인해 학생들은 이전처럼 단순히 많은 양의 지식을 외우는 방식으로는 현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 변화에 대비하여 학생들에게 많은 양의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데에서 벗어나 학습한 것을 새로운 상황이나 맥락에서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인 역량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협력적 문제해결력(Collaborative Problem Solving)'이 국제 사회의 21세기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것들을 핵심역량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역량 중심 교육과정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핵심 및 교과 역량에서 협력과 관련된 공동체 역량 및 문제해결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협력적 문제해결력 선행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교육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협력적 문제해결의 하위 기능을 분석하여 초등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 기능에 대한 학생 인식의 중요성과 실행 정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실제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협력적 문제 해결 기능 실행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초등학교 협력적 문제해결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는 첫째, 협력적 문제해결력 측면에서 탐색과 이해 관련 기능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중요도 ․ 실행도 인식 및 실행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협력적 문제해결력 측면에서 표현과 형식화 관련 기능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중요도 ․ 실행도 인식 및 실행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협력적 문제해결력 측면에서 계획 수립과 실행 기능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중요도 ․ 실행도 인식 및 실행 양상은 어떠한가? 넷째, 협력적 문제해결력 측면에서 점검과 반성 관련 기능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중요도 ․ 실행도 인식 및 실행 양상은 어떠한가? 이다. 협력적 문제해결의 하위 기능을 정리 및 분석하기 위해 관련 하위 기능을 인지적 및 사회적 기능으로 분류하여 유형화 및 정리하였으며, 정리한 기능을 PISA 2015에서 제시하는 협력적 문제해결 평가 틀에 따라 분류하여 PISA 2015의 기능이 인지적, 사회적 기능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PISA 2015의 협력적 문제해결 기능과 관련된 문항을 정리하여 학생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파악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실제 협력적 문제 해결 실행 수준을 확인하여 설문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향후 협력적 문제해결력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연구 결과,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 기능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중요도와 비교하여 실행도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각 협력적 문제해결 단계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그 중 계획 수립과 실행, 점검과 반성 단계 관련 기능의 중요도 및 실행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계획 수립과 실행 단계와 관련된 기능의 경우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나 실행도는 3위로 낮게 나타났다. 점검과 반성 단계와 관련된 기능의 경우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가장 낮은 순위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중요도와 실행도 사이에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 결과, 초등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 기능에 대한 실행 양상은 모둠별로 큰 편차를 보였다. 협력적 문제해결 수준이 높은 모둠의 경우 다른 모둠에 비해 더 많은 기능을 실행하거나 같은 기능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질 높은 실행 수준을 보였으며, 반면 협력적 문제해결 수준이 낮은 모둠의 경우 다른 모둠에 비해 적은 기능을 실행하거나 같은 기능을 실행하는 데 있어 원활한 실행을 하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탐색과 이해 단계에서 문제 상황에 대해 모둠원의 생각과 관점을 확인하는 기능에 있어 모둠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협력적 문제해결 수준이 높은 모둠은 질문을 통해 모든 모둠 구성원들의 관점과 그렇게 생각한 이유에 대해 적극적으로 확인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협력적 문제해결 수준이 낮은 모둠의 경우 일부 모둠 구성원들의 관점만 질문을 통해 확인하거나, 모둠 구성원들의 관점을 확인하지 않는 모습이 나타났다. 계획 수립과 실행 단계에서는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협력적 문제해결 수준이 높은 모둠의 경우 서로의 의견에 대해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자신의 의견을 다른 구성원에게 끝까지 이해시키려고 하는 높은 의사소통 기능을 보였으며 다른 모둠과는 다르게 비언어적 의사소통 전략도 활용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반면, 협력적 문제해결 수준이 낮은 모둠은 서로의 의견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로 질문하였으며 자신의 생각을 끝까지 설명하지 못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서로의 의견에 대해 질문하지 않았다. 점검과 반성 단계와 관련된 기능의 경우 모든 모둠에서 전반적으로 협력적 문제해결 실행에 대한 평가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특히 학생들은 평가한 까닭에 대해 서술하는 데에 어려움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협력적 문제해결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및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협력적 문제해결 교육 역량교육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계획 수립과 실행, 점검과 반성과 관련된 기능의 체계적인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첫째, 협력적 문제해결 교육을 위해 점검과 반성 단계 관련 기능을 강조하여 학생들이 충분히 기능을 연습할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역량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계획 수립과 실행과 관련된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기능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실에서 협력적 문제해결 교육을 실행하는 교사는 학생들이 협력적 문제해결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과 실행 양상에서 보인 어려움을 이해하고, 활동 과정에서 적절한 비계의 제공이 필요하다.;As the problems of society become more diverse and complex, it requires a high degree of information and skills to solve those problem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s considered as a key competency skill for the 21st century. In addition, In Korea's education curriculum,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s reflected through Community and show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owever, despite the grow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rest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uggested limitations on school site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sub-skill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alyze elementary-school students' importance and practice perception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elementary-school students' practice aspects and perception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suggestion to present future direction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Korea. Accordingly,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performanc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related to exploring and understanding? Second, how is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performanc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related to representing and formulating? Third, how is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performanc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related to planning and executing? Fourth, how is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performanc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related to monitoring and reflecting? To organize and analyze the skill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related sub-functions were classified as cognitive and social functions, and organized according to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evaluation framework presented in PISA 2015. Based on this, we reviewed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e of PISA 2015 to understand students' importance and practice perceptions. In addition, we wanted to have the opportunity to identify the actual level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mplementation by students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education in the future through comparison with surve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in Kor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degree of performance was low compared to importance. Each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te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unctions related to the planning, executing, monitoring and reflecting step. In the case of functions related to the planning and executing stage, the importance was the highest, but the execution rate was low at third place. In the case of functions related to the monitoring and reflecting stages,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execution was the largest, even though both importance and execution were shown in the lowest ranking.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actic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showed a large deviation from group to group. Groups with highe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level also showed higher quality execution levels for running more features compared to others, while those with lowe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level showed less features. For example, in the exploring and understanding stage,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ility to identify group members' thoughts and perspectives on problem situations. In the planning and executing stage, group 1 was observed to actively question each other's opinions, and to understand their opinions to the end, and to utilize non-verbal communication strategies unlike other groups. In the case of group 2, they were seen to be critically questioning each other's opinions, failing to explain their thoughts to the end, and in the case of group 3, they did not question each other's opinions. In the case of functions related to the inspection and reflection stages, overall evaluation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was not well done in all groups, and students, in particular, showed difficulty in describing the reasons for the evaluation. These findings provide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and direction for futur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From the perspectiv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education, discussions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programs for systematic education of planning, implementation, inspection, and reflected skills are needed in Korea's curriculum.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fully practice their functions by emphasizing functions related to inspection and reflection stages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skills education related to planning and execut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petency curriculum. Third, teachers who implement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education in the classroom need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students have shown in recognizing and implementing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aspects, and provide appropriate scaffolding in the activity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