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7 Download: 0

디지털 이미지에 표현되는 여성피부색의 감성특성 및 선호도 연구

Title
디지털 이미지에 표현되는 여성피부색의 감성특성 및 선호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nd Preference for, Women’s Skin Colors Reproduced in Digital Images
Authors
한도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디지털로 구현되는 이미지는 후보정 과정에서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화질 속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출시와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원하는 방향으로 수정하는 것은 대중화된 일상이 되었고, 광고이미지와 같이 대중의 선호를 이끌어내는 컨텐츠에 있어 후보정은 시대의 트렌드에 대한 고려와 함께 제작자의 전문적인 노력이 필요한 중요한 과정이 되었다. 후보정의 대상이 되는 이미지에는 자연물, 인공그래픽, 인물 등 다양한 콘텐츠가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 인물의 피부색은 출현빈도가 높고 미세한 조절이 요구되는 시각대상이다. 피부색은 색보정에 있어 적은 양의 조절만으로도 관찰자가 그 차이를 느끼기에 쉬운 특징을 가진 기억색으로 디스플레이의 색재현 품질의 판단을 위한 화질 평가에 있어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피부색이 포함된 이미지는 후보정 시에도 전체적인 이미지의 색감에 대한 고려와 함께 자연스러움을 해치지 않는 수준에서의 미세한 조정이 요구된다. 동시에 이러한 이미지의 보정은 관찰자의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상 및 디지털 이미지에 재현되는 피부색을 연구의 대상으로 한정하고 색 공간 내에서 피부색의 변화가 관찰자로 하여금 어떠한 감성반응 및 선호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이미지 내 선호피부색 구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화질속성 요인에 대해 문헌조사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실증 연구에서의 검증할 가설의 요인을 지정하고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 바를 명확히 하였다. 또한, 색채감성평가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실증 연구에 사용할 적합한 분석도구를 탐색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진행에 앞서 색속성의 조절범위 및 이미지 제시의 적합한 방식 등을 확인하고자 색 공간 내 피부색의 분포 특성을 확인하는 사전연구를 진행하였다. 셋째, 사전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피부색의 색속성 변화에 따른 관찰자의 감성변화와 선호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를 통해 선호되는 피부색과 연관된 감성반응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목적에 부합하는 감성을 이끌어내기 위한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L*a*b* 색공간 내에서 피부색은 관찰자에 의해 인지되는 실제피부색의 범위와 선호피부색 범위에 차이가 있으며, 미세조정만으로도 관찰자가 느끼는 톤, 색감변화가 명확한 특징을 가지는 시각대상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피부색의 색 속성 변화에 따른 관찰자의 감성은 명도, 채도, 색상 조절의 순으로 민감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색 속성의 종류와 관계없이 기억색으로 작용하는 피부색의 특성이 반영으로 과도한 조절은 선호도 및 감성평가의 값을 급격히 감소시키는 특징을 보였다. 셋째, 기준 피부색의 밝기 수준에 따라 색상, 채도는 각각 다른 양상으로 조절 값에 따른 감성변화가 나타났다. 밝기조절이 없는 중간 피부톤(8590)에서는 채도 및 reddish한 조절이 긍정적 요인으로, 어두운 피부톤(L*<85)에서는 yellowish한 변화가 긍정적 요인, 채도 및 reddish한 조절이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감성평가 항목과 종합선호도는 부드러운(soft) > 생기있는(lively) > 화사한(radiant) > 자연스러운(natural) > 건강해보이는(healthy) 순으로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를 통해 선호되는 피부톤의 구현을 위해서는 원본 이미지 내 피부색의 밝기수준과 제작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피부표현을 고려한 적절한 후보정이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제작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감성을 이끌어내기 위한 연관된 색 속성 조절의 방향성과 미세조정 값, 관찰자가 인지하는 선호피부색에 관한 정량적인 데이터를 제시하였다.;Digitally implemented images can be easily post-corrected to improve their image quality. The release of numerous post-processing applications has brought post-correction into people’s daily experiences. In addition, for advertisement images and other content designed to appeal to the public, color-correction has become a process requiring professional touches along the consideration of latest trends. There are numerous types of color-correctible images, including images of natural objects, artificial graphics, and images of people. In those images, facial skin color is a primary visual component with a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that requires particularly detailed adjustment. Skin color is a memory color, in which even a slight color adjustment is easily noticeable by viewers. It serves as one of the major criteria for assessing the color reproduction quality of display devices. Therefore, images showing skin color need to be fine-tuned in accordance with the overall tone of the images, and to an extent that does not undermine their natural look. Image correction may also affect viewers’ image prefere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skin colors reproduced in videos and digital images and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viewers’ emotional reaction and preference caused by skin color changes in the color space. This study progresse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views relevant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n the image quality factors that may affect the reproduction of preferred skin colors in digital image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establishes the hypotheses to be tested by empirical analysis and clarify wha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n, this study overviews methods to evaluate color emotions, and identifies analysis tools suitable for the empirical analysis. Second, before the main analysis, through a preliminary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s the distribution of skin colors in the color space, to verify the scope of color property adjustment and appropriate ways to present images. Thir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liminary analysis, this study establishes the details of the research model and analyzes changes in viewers’ emotional reaction and preference caused by changes in color properties. Preferred skin colors and the associated emotional reactions are analyzed to present data required to elicit the emotional reaction that fits the purpo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confirmed that, in the L*a*b* color space, the range of actual skin colors observed by viewers is different from the range of preferred skin colors, and even a slight adjustment produces clear changes in tones and colors observed by the viewers. Second, skin color properties were found to respond most sensitively to lightness adjustment, followed by saturation and hue adjustment. However, across all color properties, excessive adjustment drastically lowered the level of preference and the emotional assessment values, which reflects the fact that skin color serve as a memory color. Third, the emotional changes caused by hue and saturation adjustment varied depending on the lightness of skin color. In the non-adjusted medium skin tone range without lightness adjustment (8590), and adjustment of yellowness worked as a positive factor in the dark skin tone range (L<85). In the latter range, adjustment of saturation and redness work as a negative factor. Fourth,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 emotion assessment items and the overall preference, softness recorded the highest level of correlation, followed by liveliness, radiance, naturalness, and healthi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implementation of preferred skin tones require appropriate post-processing taking account of the skin representation that the creator wants to implement, as well as the skin brightness in the original image.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the direction of color property adjustment and fine-tuning values to elicit the emotional reaction intended by the creator, and quantitative data on preferred skin colors perceived by view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