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4 Download: 0

언어 사용 차이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색채 표상 범주

Title
언어 사용 차이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색채 표상 범주
Other Titles
Color representation range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language use
Authors
이지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인간은 감각기관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언어로 부호화하여 의미 있는 정보로 받아들인다. 그런데 청력의 손실로 청각 정보를 처리할 수 없는 청각장애인은 건청인에 비해 언어정보 처리에 한계를 가지며 이는 언어를 이해하고 구사하는 정도에 차이를 발생시킨다. (강창욱, 2005). 또한 청력 손실 발생시기(선천적, 후천적)에 따라 청각장애인의 사용 언어는 차이를 갖는데(수화 단일언어 사용자, 구화-수화 이중언어 사용자), 이와 같은 언어 사용의 차이는 어휘 습득과 상위언어능력 차이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송이, 한승희, 2012). 감각기관을 통해 지각된 물리적 색은 언어를 통해 색이름이 부여되고 범주화 과정을 거쳐 색채 표상 영역을 갖게 된다. 그런데 사용 언어에 따라 언어능력에 차이를 보이는 세 그룹 (건청인, 선천적 청각장애인, 후청적 청각장애인) 간의 색채 표상 범주를 확인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동일한 한국어권에 속하지만 언어 사용에 차이를 갖는 건청인과 선천적, 후천적 청각장애인 그룹 간 색채 표상 범주에 차 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언어 사용 차이로 인해 세 그룹의 색채 표상 범주가 다르고, 언어 한계가 큰선천적 청각장애인의 색채 표상 범주가 넓을 것이다 라는 가설을 밝히고자 먼셀색채공간의 320개 색 샘플을 대상으로 유채색 기본색이름(12개)의 표상 범주를 확인해 보았다. 분석 결과 1) 전체 320개의 색 샘플에서 기본색이름으로 선택한 색 샘플의 개수는 건청인 그룹이 82%, 선천적 청각장애인은 88%, 후천적 청각장애인은 두 그룹 사이에 위치한 87%를 나타냈다. 개별 색 이름에서 건청인 그룹은 청각장애인 그룹에 비해 주황색, 파란색, 분홍색에서 선택한 색 샘플의 개수가 많았고, 선천적 &후천적 청각장애인 그룹은 연두색, 초 록색, 청록색, 남색, 갈색에서 더 많은 색 샘플을 선택하였다. 2) CIE L*a*b* 공간에서 세그룹의 색상 영역을 확인한 결과, 선천적 청각장애인 그룹은 5개의 색 이름(빨강, 노랑, 연두, 초록, 자주)에서 넓은 색상 범위를 가졌고, 건청인 그룹은 3개의 색 이름(주황색, 보라색, 분홍색)에서 넓은 색상 범위를 가졌다. 후천적 청각장애인 그룹은 갈색에서 넓은 색상 범위를 가졌고 빨강, 주황 노랑, 자주색은 건청인 그룹과 동일한 색상 범위를, 청록색, 남색, 분홍색은 선천적 청각장애인 그룹과 동일한 색상 범위를 가지며 두 그룹의 색상 범위에 중복적으로 해당하는 양상을 보였다. 명도, 채도 영역에서 건청인 그룹은 청록색, 남색, 분홍색에서 넓은 명도 영역을 가졌고, 선천적 청각장애인 그룹은 노랑, 초록색에서 넓은명도, 채도 영역을 가졌다. 후천적 청각장애인 그룹은 빨강, 주황, 자주, 갈색에서 넓은 명도, 채도 영역을 가졌다. 실험을 통해 건청인과 선천적 청각장애인 그룹 간 색채 표상 범주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선천적 청각장애인 그룹이 넓은 표상 영역을 가지며, 수화-구화 사용이 가능한 후천적 청각장애인은 색명 별로 건청인과 선천적 청각장애인 그룹 사이에서 동일한 색 범주를 나누어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한된 색 이름의 강제선택과제로 실제 명명되는 색 이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지만 청각장애인 집단의 색채 표상을 확인하고, 언어 사용의 차이가 있는 건청인, 선천적 청각장애인, 후천적 청각장애인 그룹의 표상 범주에 차이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한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Humans encode information input through sensory organs into language to perceive it as meaningful information. However, the hearing impaired, who cannot process auditory information due to hearing loss, has limitations in processing language information compared to the hearing, which leads to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using language (Kang, 2005). Also, depending on the time of hearing loss (congenital or acquired), the language used by the hearing impaired is different (i.e., sign language unimodal users, spoken & sign language bimodal users). Such differences in language use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vocabulary acquisition and differences in high-order language ability (Jeon & Han, 2012). Physical colors perceived through sensory organs are termed and categorized through language to have color representation ranges. However, there is no study that examined the ranges of color representation among the three groups (the hearing, congenital deaf, acquired deaf) showing differences in language ability according to the language used.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im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ranges of color representation between the hearing, congenital deaf and acquired deaf groups who belong to the same Korean-speaking culture but have differences in language use. Setting the hypothesis that the color representation ranges of the three groups are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ces in language use, and a wide range of color representation for congenital deaf people with large language limits, this study examined the representation ranges of basic color terms (12) of chromatic colors of 320 color samples in the Munsell color spa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regarding the number of color samples selected as primary color terms compared to the total color samples, differences were 82% in the hearing group, 88% in the congenital deaf group, and 87% in the acquired deaf group. Regarding individual color terms, the hearing group selected more color samples from orange, blue, and pink than the deaf group, while the congenital & acquired deaf groups selected more color samples from green-yellow, green, blue-green, purple-blue, and brown. 2) In terms of the hue range of the three groups in the CIE L*a*b* space, the congenital deaf group had a wide hue range in five color terms (red, yellow, green-yellow, green, and red-purple), and the hearing group had a wide hue range of the three color terms (orange, purple, pink). The acquired deaf group had a wide hue range in brown, had the same hue range as the hearing group in red, orange, yellow, and red-purple, and the same hue range as the congenital deaf group in blue-green, purple-blue and pink, which overlapped the hue ranges of the two groups. In the lightness and chroma areas, the hearing group had wide lightness areas in blue-green, purple-blue, and pink, and the congenital deaf group had wide lightness and chroma areas in yellow and green. The acquired deaf group had a wide range of lightness and chroma from red, orange, red-purple, and brown.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lor representation ranges between the hearing and congenital deaf groups, The congenital deaf group has a large area of representation and, it revealed that the acquired deaf group, which can use spoken & sign languages had the same color range between the hearing and congenital deaf groups by color term compared to the congenital deaf. Although the compulsory selection task of limited color terms might not reflect the actual color terms used in rea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lor representation of the deaf groups and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range among the hearing, congenital deaf, acquired deaf groups with different language u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