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0 Download: 0

대학생의 자기은폐 성향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

Title
대학생의 자기은폐 성향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al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 Double Mediated Effect of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Authors
윤지호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은폐 성향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 중 443부를 사용하여 변인 간 관계를 알아보았다. 먼저 변인들에 대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성차 확인을 위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마지막으로 부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여 자기은폐 성향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방정식 모형 검정 결과, 자기은폐 성향과 대인관계 만족도 간 부적 관계, 그리고 자기은폐 성향과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 간 정적 관계가 유의하였으나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대인관계 만족도 사이의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자기은폐 성향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 간 경로 역시 유의하지 않았으나 지각된 정서적 지지와 대인관계 만족도 간 정적 관계는 유의하였다. 또한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 사이의 부적 관계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스트래핑 실시 결과, 자기은폐 성향과 대인관계 만족도 간 관계에서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단순매개효과는 각각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자기은폐 성향이 강할수록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의 수준도 높게 나타나고, 이는 주변인으로부터의 정서적 지지 지각 수준을 낮춤으로써 결과적으로 낮은 수준의 대인관계 만족도로 이어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자기은폐 성향과 전반적인 대인관계 만족도의 부적 관계를 설명함으로써 대학생의 만족스러운 대인관계 형성을 위한 새로운 방법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mechanism between self-conceal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Online survey data of 44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conceal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perceived emotional suppor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both perceived emotional suppor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addition, perceived emotional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the examination of structural relations showed that most of the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the direct path from self-concealment to perceived emotional support and the direct path from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rd, the double mediated effect of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al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o conclude, self-concealment negatively predic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not only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through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implying new ways for undergraduate students to build satisfactory and intim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