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3 Download: 0

COVID-19 시대 대학생의 좌절된 소속감, 삶의 의미, 자살사고의 관계

Title
COVID-19 시대 대학생의 좌절된 소속감, 삶의 의미, 자살사고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Among Thwarted Belongingness, Meaning in Life, and Suicidal Ide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Living in the Age of COVID-19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xtraversion
Authors
박세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최근 우리나라 청년들의 자살률 증가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 경향성을 COVID-19가 가속화시키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단절된 생활이 증가하면서 사람들은 사회적 고립감, 우울감, 무기력증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대학생들은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함 등으로 혼란을 경험하고, 외출 제한 및 온라인 위주의 학습 등으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 우울 및 부정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COVID-19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대학생들의 자살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개입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인해 대인 간 상호작용이 제한된 현실을 고려하여, 타인과 연결되고자 하는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는 좌절된 소속감(thwarted belongingness)이 자살사고의 증가로 이어진다는 Joiner(2007)의 자살에 대한 대인관계-심리학적 이론(interpersonal-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e)에서 출발하였다. 먼저, 소속감의 수준은 삶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학생이 경험하는 좌절된 소속감과 자살사고의 관계를 삶의 의미가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사회적 접촉 및 활동이 감소할 때는 외향성이 이전처럼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할 것이라는 가정을 토대로, 좌절된 소속감에서 삶의 의미 및 자살사고로 가는 경로를 외향성이 각각 조절하는지 조절된 매개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425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5.0과 PROCESS macro v3.5를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좌절된 소속감에서 삶의 의미를 거쳐 자살사고로 이어지는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좌절된 소속감은 삶의 의미를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삶의 의미는 자살사고를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좌절된 소속감에서 자살사고로 가는 직접 경로도 정적으로 유의하여, 삶의 의미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외향성은 좌절된 소속감과 자살사고의 관계는 조절하지 못하였고, 좌절된 소속감과 삶의 의미의 관계를 조절하여 외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외향성 수준이 높을수록 좌절된 소속감과 삶의 의미의 부적인 관계가 심화되었다. 이는 외향적인 대학생이 좌절된 소속감을 경험하였을 때 삶의 의미의 저하를 더 크게 지각하여 자살사고에 더욱 취약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COVID-19로 인해 사회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자살의 예방을 위해서는, 외향성 수준이 높은 사람이 소속감 충족에 문제가 있을 때 특히 임상적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의 안녕감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외향성이 대학생의 적응에 위험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의의를 지닌다.;Recently, rising suicide rates of early adults in Korea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the pace has been rapid because of COVID-19. As social distancing makes our lives disconnected from one another, people experience feelings of social isolation, depression, or lethargy. Especially, undergraduate students are not only confused by anxiety about future uncertainty, but they also perceive high levels of stress, depression, or negative mood because of stay-at-home order and lack of face-to-face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cause of suicide and come up with intervention measur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Considering the current lack of interactions due to social distancing, this study is based on interpersonal-psychology theory of suicide(Joiner, 2007). According to the theory, thwarted belongingness means failing to satisfy the needs of belongingness, and it leads to an increase in suicidal ideation. First, as the level of belongingness has an effect on the perception of one’s lif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meaning in lif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warted belongingn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based on the premise that extraversion will not play a role as positive as before when social contact and activities decrease due to social distancing,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warted belongingness and extraversion on meaning in life and suicidal ideation respectively through a moderated mediation model. For this purpose, online survey data of 425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SPSS 25.0 and PROCESS macro v3.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meaning in lif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warted belongingness and suicidal ide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warted belongingness negatively predicted meaning in life, and meaning in life negatively predicted suicidal ideation. As the direct path from thwarted belongingness to suicidal ideation was also positively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eaning in life was verified. Second, although extraversion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warted belongingness and suicidal ideation, i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warted belongingness and meaning in life, which indicated that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xtraversion was confirmed. In other words, the more extraverted students were, the more strongly thwarted belongingness predicted low levels of meaning in life. It implies that extraverted undergraduate students who experience thwarted belongingness might perceive a bigger decrease in meaning in life than those who are introverted, which makes extraverted ones vulnerable to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appropriate clinical attention to extraverted students who have problem with satisfying the needs of relatedness or belongingness is necessary to prevent suicide which is becoming pervasive due to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proved extraversion which was known to contribute to one’s well-being could act as a risk factor for adapt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