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5 Download: 0

코로나 19 시기 마음챙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itle
코로나 19 시기 마음챙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mindfulness on depress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uthors
노예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시기에 사람들이 경험하는 우울,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의 변화를 살펴보고, 마음챙김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코로나 19는 일상생활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그로 인해 우울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증가하였다. 이에 코로나 19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횡단적 연구는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었지만, 코로나19 시기에 우울을 예방하고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심리적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마음챙김과 사회적지지는 일반적으로 우울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알려져 있 으나 그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마음챙김이 사회 적지지를 매개로 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질문과 마음챙김, 사회적지지, 우울을 측정 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은 2020년 10월 7일에 서 13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1400명의 응답이 수집되었다. SPSS 23.0을 이용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MPLUS 7.0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챙김은 연령과 최종학력,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사회적 지지는 성별, 최종학력, 직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성별, 연령, 거주지역, 최종 학력, 직업 모두에서 유의한 집단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음챙김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음챙김이높은 경우 우울 점수는 낮고, 마음챙김이 낮은 경우 우울 점수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마음챙김과 우울의 관계를 사회적지지가 유의하게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음챙김 점수가 높은 사람은 우울점수에 직접 부적인 영향을 미쳐 우울 점수가 낮은 동시에, 사회적지지 점수를 매개로 하여 우울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코로나 19 시기에 마음챙김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 우울의 감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적지지의 향상을 일으켜 우울의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사람들의 우울을 감 소시키기 위한 개입의 방향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depression,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experienced by individual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depression. The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drastic changes to daily lives and increased the number of people experiencing depression. Thus, many cross-sectional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on depression. However, studies on psychological factors that help prevent and alleviate depression during the pandemic are insufficient. In particular,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are generally known as protective factors against depression, but studies on this relationship have been scarc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mindfulness on depression through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using scales measuring demographics, mindfuln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adults over 20 years of age in South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7 to 13 October 2020 and a total of 1400 responses were collec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MPLUS 7.0.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ndfulness by age, educational attainment, and occupation.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in social support by gend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occupation. Depression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gender, age, residential area, educational attainment, and occupation. Second, mindfulnes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That is, when the mindfulness score was high, the depression score was low, and when the mindfulness score was low, the depression score was high. Thir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depression. That is, a high mindfulness score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the depression score, leading to a low depression score, and simultaneously, it led to a low depression score mediated by the social support score. The above study findings confirmed that improving the level of mindfuln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not only directly affected the reduction of depression,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the reduction of depression by increasing social support. Thu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to reduce depression of individu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