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7 Download: 0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Title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 Mediating Effects of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Authors
김현빈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스마트폰을 지나치게 사용하는 경우,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과 그 영향력에 대해, 기존에는 중독의 개념으로 많이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스마트폰 사용은 이미 일상화되었고, 최근 Covid-19 확산 방지를 위해 비대면으로 생활방식이 변화함에 따라, 스마트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폰이 점점 생활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생태환경이 되어감에 따라, 스마트폰의 지나친 사용을 스마트폰 중독이 아닌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개념화하고, 스마트폰 사용이 삶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저 과정에 대해 알아볼 필요성이 생겼다. 스마트폰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경우, 집행기능의 역할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주의집중이 저하되거나 해야할 일을 위해 욕구를 억제하지 못하고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모습이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다. 이러한 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과의존과 대학생 및 대학원생이 흔히 겪는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집행기능 결핍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구조적 관계가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만 18~33세에 해당하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 33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거하고, 만 33세 이하인 324명의 자료를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스마트폰 과의존 정조에 따라 집단을 나누는 기준은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 총점 24점을 기준으로 하였고, 스마트폰 과의존 고위험군과 잠재적 위험군을 위험사용자군으로 묶어, 24점 미만인 일반사용자군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마트폰 과의존, 집행기능결핍, 학업지연행동 간에 전반적으로 유의하게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사용자군에서 스마트폰 일반사용자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사용자군과 스마트폰 일반사용자군 사이에 집행기능결핍과 학업지연행동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바, 두 집단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전체 집단에서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집행기능 결핍이 부분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완전매개효과를 경쟁모형으로 하여 검정하였을 때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여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넷째,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사용자군과 일반사용자군 사이에서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 나타나는 집행기능결핍의 매개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다집단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간에, 스마트폰 과의존에서 학업지연행동으로 가는 경로에만 차이가 나타났으나, 각 집단 안에서는 그 경로가 유의미하게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스마트폰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은, 학업을 시작하거나 완료하는 것에 지연을 가져오고, 이 과정에서 집행기능의 결핍이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본 연구에서 집단간의 차이는 발견하기 어려웠지만, 생태환경이 된 스마트폰 사용을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정의하고, 집행기능의 결핍을 매개요인으로 삼아, 대학생과 대학원생이 일반적으로 겪을 수 있는 학업지연행동이라는 현상과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is kn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mental health. Regarding this excessive smartphone use and its influence, the concept of addiction has been studied in the past. However, smartphone use has already become commonplace, and as people's lifestyles change to non-face-to-face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smartphones become more and more essential to life as an ecological environment. So study about the impact of smartphone use with the concep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its underlying processes are needed. In addition, there are studies that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negatively affects the role of executive functions, resulting in decreased attention or impulsive behavior without suppressing desire for tasks. In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commonly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se structural relationships diff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To this end, a self-reporting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334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aged 18 to 33, and data from those who responded insincerely were removed, under the age of 33 were selected and data from 324 people was used for analyzing. The standard for dividing the group was based on a total score of 24 on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scal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has an overall significant correlation, and the correlation was higher in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risk user group than in the smartphone general user group.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tween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risk user group and the smartphone general user group.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partially and fully mediating effect of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significant in the entire group. By performing bootstrapp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fully mediating effect appeared. Through multi-group analysis,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deficit in executive function was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 difference only in the path from smartphone overdependence to academic procrastination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 path was not significantly confirmed within each group. Summarizing the research results, it can be seen that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leads to delays in starting or completing academic works, and a deficit of executive function is a factor in this process. Although it was difficult to find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as a mediat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