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3 Download: 0

유성준제 <수궁가> 진양조 대목 비교연구

Title
유성준제 <수궁가> 진양조 대목 비교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f Yu Song Jun Je Style , Jin Yang Jo part : Focused on Lim Bang Ul·Kim Yeon Su·Jeong Gwang Su·Park Cho Wol
Authors
민아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영석
Abstract
본 연구는 유성준 계보인 임방울·김연수·정광수·박초월의 <수궁가> 진양조 대목을 중심으로 사설·악조·붙임새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 창자의 사설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동일하지만, 김연수는 ‘여봐라 주부야’, ‘가자가자’ 대목에서 임방울·정광수·박초월과 상이한 내용의 사설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김연수가 신재효의 사설을 수용하여 첨삭한 대목의 사설임을 알 수 있었다. 정광수는 사설에서 인물의 행동과 소리 등을 정확히 묘사하고 사설의 내용을 확장시켜 부연사설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임방울과 박초월은 사설의 내용을 축소하여 생략사설 사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8대목의 출현음을 종합한 음역을 살펴보면, 임방울·정광수·박초월은 D~f′의 2옥타브 3도, 김연수는 D~e′의 2옥타브 2도로 네 창자는 유사한 음역을 사용하였고, 주요음역 또한 A~a의 음역을 주로 활용하였다. 임방울은 저음인 D·E·F·G와 고음인 d′·f′의 출현음이 적게 나타났고, 주요음역과 출현음이 유사하여 단조로운 음으로 가창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김연수는 ‘왕왈 연하다’, ‘영덕전 뒤로’, ‘계변양류’ 대목에서 최저음을 A로 동일하게 활용하였으며, 주로 A~a의 음역을 주로 사용하였다. 정광수와 박초월의 음역은 D~f′의 음역에서 출현음을 고르게 활용하고 있었다. 정광수는 전체 대목에서 저음과 고음의 출현음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여성 창자인 박초월보다 최고음인 f′의 음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네 창자의 악조를 살펴본 결과, 임방울·정광수·박초월은 계면조를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김연수는 우조 중심의 악조를 사용하였다. 김연수는 주로 악조를 변조 시키지 않고, 일시적인 변청·변조를 활용하여 선율의 변화를 주었다. 정광수는 변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채로운 선율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박초월은 모든 대목에서 계면조의 악조 사용이 보였고, 계면조로 종지하는 변조 선율을 공통적으로 활용하였다. 셋째, 네 창자 모두 동편제 판소리에서 주가 되는 붙임새인 대마디 대장단(79%이상)을 사용하였다. 임방울의 대마디 대장단 사용율은 99.4%이며, 대마디 대장단 외 잉어걸이 1회(0.5%)를 적용하여 창자 중 가장 높은 대마디 대장단 사용율이 나타났다. 김연수는 대마디 대장단을 83.7% 사용하였고, 잉어걸이는 20회(9.8%), 엇붙임 13회(6.4%)를 적용하여 대마디 대장단 외 잉어걸이와 엇붙임을 활용하고 있었다. 김연수는 잉어걸이를 1박 또는 3박에 사용하였고, 엇붙임은 앞장단의 5박부터 뒷장단의 2박까지 사설이 붙여 자신만의 패턴을 구축한 잉어걸이와 엇붙임을 사용을 알 수 있었다. 정광수는 79.5%의 대마디 대장단 사용율이 나타났고, 잉어걸이 27회(12.5%), 엇붙임 14회(6.5%), 당겨붙임 3회(1.3%) 등을 적용하여 대마디 대장단 외 붙임새 사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정광수는 한 음절의 사설 사이를 쉬고 다시 사설이 어어서 붙는 잉어걸이와 󰁔박을 쉬고 사설이 붙는 짧은 시가의 잉어걸이 사용이 특징적으로 드러났다. 박초월은 95%의 높은 대마디 대장단 사용율이 보였으며, 대마디 대장단 외 잉어걸이와 엇붙임을 각 4회(2.2%) 적용하였고, 당겨붙임 1회(0.5%)를 활용하였다. 임방울과 박초월은 대마디 대장단을 중심으로 붙임새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정광수와 김연수는 대마디 대장단 외 다른 붙임새 사용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임방울·김연수·정광수·박초월의 <수궁가> 공통 진양조 대목을 중심으로 사설, 악조, 붙임새 등을 비교·분석하여 네 창자의 음악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비교·분석하기 위해 종지형태, 선율, 시김새 등과 같은 자세한 음악적 분석은 제외하고 살펴보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느껴지며, 이 논문을 시작으로 유성준제의 <수궁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SaSeol·tone·Butimsae, focusing on the Jin Yang Jo part of of Lim Bang Ul·Kim Yeon Su·Jeong Gwang Su·Park Cho Wol, which is the genealogy of Yu Song Ju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Sa Seol of four Chang Ja are the same overall. However, Kim Yeon Su used Sa Seol with different content from Lim Bang Ul·Jeong Gwang Su·Park Cho Wol in ‘Yeobwarajubuya' and ‘Gajagaja' parts. It can be seen that Kim Yeon Su is the Sa Seol of Shin Jae Hyo's Sa Seol which was edited by accepting it. Jeong Gwang Su accurately described the actions and sounds of the characters in Sa Seol and expanded the content of Sa Seol to use ‘Amorous Sa Seol' the most. Lim Bang Ul and Park Cho Wol reduced the content of Sa Seol, and the use of ‘Omitted Sa Seol' was prominent. Second, looking at the comprehensive range of the appearance sounds of 8 parts, it is as follows. Lim Bang Ul·Jeong Gwang Su·Park Cho Wol used 2-octave thirds from D to f′. Kim Yeon Su used a 2 octave 2 of D~e′, and the four Chang Ja singers used a similar range, while the main range was also mainly used the range A~a. In Lim Bang Ul, low tones of D·E·F·G and high tones of d′·f′ appeared less, and they were sung in a monotonous tone because the appearance tones were similar to the main range. Kim Yeon Su used the same lowest note as A in the parts ‘Wangwal Yeonhada', ‘Yeongdeokjeon Dwiro', and ‘Gyebyeonyangryu', and mainly used the range of A~a. The sound range of Jeong Gwang Su and Park Cho Wol was evenly used in the range of D~f′. In Jeong Gwang Su, the appearance of bass and treble was the most in the overall part. The female Chang Ja, Park Cho Wol, was using the highest note of f′ more frequen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one of the four Chang Ja singers, Lim Bang Ul·Jeong Gwang Su·Park Cho Wol mainly uses Gyemyeonjo. Also, Kim Yeon Su used a Woojo-centered tone. Kim Yeon Su mainly did not modulate the tone but changed the melody by using temporary alteration/modulation. Jeong Gwang Su actively utilized modulation to use various melodies. Park Cho Wol showed the use of Gyemyeonjo tone in all parts, and commonly used the modulated melody ending with Gyemyeonjo. Third, all of the four Chang Ja singers used Dae-madi Dae-jang-dan (over 79%), which is the main Butimsae of Dongpyeonje Pansori. Lim Bang Ul's Dae-madi Dae-jang-dan was used 99.4%. Dae-madi Dae-jang-dan and Ingeogeoli were applied once (0.5%) to show the highest Dae-madi Dae-jang-dan usage rate among Chang Ja. Kim Yeon Su used Dae-madi Dae-jang-dan 83.7%. Ingeogeoli was applied 20 times (9.8%) and Eotbutim was applied 13 times (6.4%) to utilize Dae-madi Dae-jang-dan and Ingeogeoli and Eotbutim. Kim Yeon Su used Ingeogeoli for 1beat or 3beat. Eotbutim uses Ingeogeoli and Eotbutim, which Sa Seol built his own pattern from the 5 beats of the front gang-dan to the 2 beats of the rear gang-dan. In Jeong Gwang Su, the usage rate of Dae-madi Dae-jang-dan was 79.5%. Ingeogeoli was applied 27 times (12.5%), Eotbutim was applied 14 times (6.5%), and Dang-gyeo-but-im was applied 3 times (1.3%). appeared is confirmed. Jeong Gwang Su used Ingeogeoli, which rests between Sa Seol of one syllable and is joined by Sa Seol again. Also, the use of Ingeogeoli in short cigars with Sa Seol followed by a break of 󰁔 beats was characteristic. Park Cho Wol showed a high Dae-madi Dae-jang-dan usage rate of 95%. In addition to Dae-madi Dae-jang-dan, Ingeogeoli and Eotbutim were applied 4 times (2.2%) each, and Dang-gyeo-but-im was used once (0.5%). Lim Bang Ul and Park Cho Wol were using Butimsae mainly in Dae-madi Dae-jang-dan. It is confirmed that Jeong Gwang Su and Kim Yeon Su used a lot of Butimsae other than Dae-madi Dae-jang-dan. In this study, SaSeol, tone, Butimsae, etc.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 common Jin Yang Jo part of by Lim Bang Ul·Kim Yeon Su·Jeong Gwang Su·Park Cho Wol. Through this, I was able to underst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four Chang Ja singers. For overall comparison and analysis, detailed musical analysis such as cadence form, melody, and Si Gim Sae was excluded.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and it is expected that by Yu Song Jun Je Style will be actively conducted based on this pap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