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키르기즈스탄 신부 납치 결혼에 대한 여성학적 연구

Title
키르기즈스탄 신부 납치 결혼에 대한 여성학적 연구
Other Titles
A feminist study on the kidnapping in Kyrgyzstan : Focusing on Stigma and Sexuality Control
Authors
KUDAIBERDIEVA, ASEL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실
Abstract
본 연구는 키르기즈스탄에서 납치 결혼이 왜 발생하며 지속되고 있는지, 왜납치가 결혼의 한 형태가 되었는지, 납치의 대상인 피해 여성들이 왜 납치를 수용하게 되는지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키르기즈스탄 신부 납치가 성의 이중규범과 순결 이데올로기로 인한 낙인및 섹슈얼리티 통제라는 젠더차별 메커니즘을 통해 납치 피해 여성이 결국 납치 결혼을 받아들이도록 강제하는 가부장적 구조에서 기인하는 문제임을 밝혔다. 이에 대한 연구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남의 손을 거친 여성’ 이라는 낙인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납치 가해자는 미리 납치하기로 계획한 여성을 자신의 친구들과 공모하여 강제로 납치해서 자신의 집으로 데려온다. 납치 가해자의 집에 도착하여 그의 집 문턱을 넘어 들어간 순간부터 이미 피해자가 납치 가해자와 결혼한 것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피해자가 자신의 집으로 돌아갈 경우에도 순결에 대해 의심 받게 되어, '남의 손을 거친 여성', '돌아온 여자' 즉, 순결이 의심스러운 여자로 낙인이 찍히게 된다. 여성들은 사회로부터 거부 당하는 일을 무척 두려워하기 때문에 납치 결혼을 받아들여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또한 피해자는 그 상황에 저항하고 돌아갈 경우 가족이 당할 위와 같은 불명예를 생각하여 집안의 명예를 유지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저항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둘째, 이에 더해 납치 가해자 집안 여성들의 역할이 있다. 납치가 일어날 경우, 납치 가해자 집에서 그의 친척들이 미리 모여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납치 피해자가 오면 집단적으로 그녀가 결혼하도록 설득한다. 이들은 납치 피해자가 결혼에 응하도록 낙인의 의미를 강조하고 협박까지 한다. 납치 피해자가 이들의 설득에 저항하면‘미래에 불행한 삶을 살 여자’,‘어른을 모독하는 자’ 등의 낙인이 찍힌다. 따라서 이들의 집단적 설득에 의해 저항을 포기하는 피해자가 대부분이다. 셋째, 납치 여성 피해자 가족의 비 협조이다. 납치당한 여성의 부모들은 딸이 납치 당한 사실을 알게 될 때 좇아가서 딸을 집으로 데려갈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경우, 부모들은 사회적 눈초리를 의식하여 딸을 다시 데려오는 것을 포기하고, 딸이 그 시점에서 납치 결혼에 동의 하는 것이 좋다는 판단을 내린다. 이는 피해자 부모도 딸이 '돌아온 여자'라는 낙인이 찍히고 공동체에서 냉대를 받으며 살아가게 되는 것을 두려워하며, 딸이 돌아오면 이것이 가문에 수치가 된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는 다른 딸들의 결혼에도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넷째, 실제로 납치를 거절해서 돌아온 여성이 경험한 낙인이다. 신부 납치에 저항하여 부모 집에 돌아온 여성은 집안의 수치로서 가족뿐만 아니라 친척으로부터도 받아들여지지 않고 납치 가해자의 집에 다시 갈 것을 강요 받는다. 이러한 여성은 지역 공동체에서 ‘유부녀도 아니면서 아가씨도 아닌’ 여성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 참여자들의 일부는 스스로를 낙인 찍힌 자로 보지 않고 학업을 통해서 자신의 삶을 개척하고 자신의 상처를 극복하고자 노력한다. 납치 피해자들은 순결을 둘러싼 사회적 섹슈얼리티 통제로 인해 납치 결혼을 받아들이게 된다. 키르기즈스탄 사회에서 결혼은 아주 중요한 삶의 과정이다. 여성들이 비교적 어린 나이에 납치 당할 경우에도 부모는 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어떻게든 딸이 순결한 상태에서 결혼을 시키기 위해 납치 결혼을 결정해버린다. 부모들은 이렇게 함으로써 딸의 순결을 지키는 의무로부터 벗어나고 싶어한다. 한편 적당한 나이에 결혼을 하지 않는 미혼 여성이 납치를 당한 경우, 이에 저항할 때 피해자는 오히려 납치 가해자측으로부터 순결을 의심받아 결혼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취급되어 납치 결혼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도록 설득 당한다. 결혼 전에 교제나 동거로 순결을 잃은 여성의 경우 그녀의 어머니가 직접 납치 결혼을 계획하기도 한다. 이는 납치 결혼을 통해 딸의 순결성을 입증받으려는 것이다. 남성과 교제 경험이 거의 없는 여성 또한 이성과의 접촉과 결혼 기회를 놓칠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납치 결혼을 받아들이게 된다. 신부납치 결혼 과정에서 종종 강간과 같은 성폭력이 동원된다. 강간으로 처녀성을 잃은 신부납치 피해여성은 ‘처녀성’을 빼앗은 남자와 결혼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납치 결혼에 들어가게 된다. 납치 가해자 집안 여성 집단에 의해 피해 여성에게 강제로 스카프가 씌워진다. 스카프는 성관계 동의의 합법적 표시이자 피해자가 가해 남성에게 속한 것으로 간주된다. 위 내용을 종합하면 피해 여성이 납치 결혼을 받아들이게 하는 기제들은 복잡하게 얽혀 있다. 납치 가해자 부모 묵인, 납치 가해자 집안 여성들의 협조, 납치 피해자 부모 포기 및 동의, 지역사회의 낙인 씌우기, 납치범의 폭력성 등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과 피해자 자신이 어릴 때부터 학습해 온 순결 이데올로기의 영향이다. 이와 같이 성의 이중규범으로 여성에게만 지워지는 순결 이데올로기가 결국 피해자가 납치 가해자에게 섹슈얼리티를 통제 당하게 하는 기제로서 납치 결혼에서도 중요한 강압 수단으로 작동하고 있으며 성차별의 순환적인 구조를 생산해 내고 있다.;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why abduction marriages occur and continue in Kyrgyzstan, why abduction has become a form of marriage, and why the victims of abduction accept abdu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abduction of a Kyrgyz bride is a problem resulting from the patriarchal structure that forces the abductee victim to eventually accept the abduction marriage through the gender discrimination mechanism of stigma and sexuality control due to the double norm of gender and chastity ideology.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fear of being stigmatized as a ‘woman who has gone through other people’s hands’. Her kidnapper conspires with his friends to kidnap the woman who he had previously planned to kidnap, and forcibly kidnap her and bring her to his house. Since the victim is already treated as married to the kidnapper as soon as the moment she crosses the threshold of the kidnapper's house, even when the victim returns to her own home, her innocence is questioned, and people brand her as 'a woman who has gone through other's hands' ', 'the woman who returned', that means, a woman whose chastity is questionable. Women are so afraid of being rejected by society that they are forced to accept kidnapping marriages. In addition, the victim often resists the situation and gives up the resistance, thinking that she must maintain the honor of the family in view of the above dishonor that her family will suffer if she returns. Second, there is the role of women from the families of the kidnapper. In the event of a kidnapping, the kidnapper’s relatives gather and prepare at the kidnapper's home, so when the kidnapping victim arrives, they collectively persuade her to marry. They emphasize the meaning of the stigma and even threaten the victim to agree to marriage. If the victim resists their persuasion, they will be labeled as 'a woman who will have an unhappy life in the future' and 'a person who insults adults'. Therefore, most of the victims give up resistance by their collective persuasion. Third, the non-cooperation of the family of the female victim of abduction. Parents of a kidnapped woman have the option of following up and taking their daughter home when they learn that her daughter has been kidnapped. However, in the majority of cases, parents are conscious of social suspicious eyes and give up bringing her daughter back, deciding that it is better for her to agree to the kidnapping marriage at that point. This is because the victim's parents also fear that their daughter will be branded a 'returned woman' and live with scorn in the community, and they feel this is a shame for the family when her daughter returns. Furthermore, this is because it can interfere with the marriage of their other daughters. Fourth, it is the stigma experienced by women who actually returned after refusing to be kidnapped. A woman who returns to her parents' home in resisting the abduction of a bride is forced to go back to her kidnapper’s home, not accepted by her family as well as her relatives as a shame in her family. These women become “neither married nor unmarried” women in the community. Nevertheless, som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do not see themselves as stigmatized, but try to pioneer their own lives and overcome their wounds through their studies. Kidnapping victims are forced to accept kidnapping marriages because of the social and sexual controls surrounding their chastity. Marriage is a very important life process in Kyrgyz society. Even when women are kidnapped at a relatively young age, the parents decide to abduct and marry their daughter in order to get their daughter to marry in a state of chastity, regardless of the daughter's will. By doing this, parents want to free themselves from the obligation to keep their daughters chastity. And also, when an unmarried woman who does not marry at an appropriate age is kidnapped, the victim is rather persuaded to accept the abducted marriage because she can be suspicious of her chastity if she resist about this. In the case of a woman who has lost her virginity through dating or cohabitation before marriage, her mother may even plan a kidnapping marriage. This is to prove the purity of her daughter through a kidnapping marriage. A woman who has little experience with men also accepts a kidnapping marriage out of fear of losing her marriage opportunity. In the process of abduction of a bride, sexual violence such as rape is often mobilized. A abducted woman who lost her virginity through rape enters into a abduction marriage with the idea that she should marry a man who has taken away her "virginity". A group of women from the kidnapper's family forcibly puts a scarf on the victim. The scarf is a legal sign of consent to sexual intercourse and the victim is considered to belong to the perpetrator. Summarizing the above, the mechanisms that allow victims to accept kidnapping marriages are intricately intertwined. It is the influence of various social networks such as acquiescence of the kidnapper's parents, the cooperation of the women of the kidnapper's family, the renunciation and consent of the abductee's parents, the stigma of the abductee, the violence of the abductee, and the chastity ideology that the victim herself has been learning since childhood. As such, the chastity ideology, which is erased only to women due to the double norm of sexuality, is a mechanism for the victim to have their sexuality controlled by the kidnapper, and is also working as an important means of coercion in kidnapping marriages, producing a cyclical structure of gender discrimin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