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디지털 성폭력과 그 기술적 대응에 대한 비판적 고찰

Title
디지털 성폭력과 그 기술적 대응에 대한 비판적 고찰
Other Titles
A Critical Study on the Digital Sexual Violence and its Technological Countermeasures
Authors
김민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허라금
Abstract
최근 디지털 성폭력이 중요한 사회 현안으로 떠오르면서, 그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처라고 할 수 있는 법과 정책이 빠르게 정비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기술(技術)적 대응’과 ‘처벌 강화’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대처 경향은 디지털 성폭력은 신종 범죄이자 기술적 문제이므로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판단, 그리고 처벌 강화를 통해 이러한 범죄를 통제하려는 의도에 기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고는 여성들이 디지털 성폭력을 경험할 때 개인의 특수하고 불운한 사건이나 놀라운 신종범죄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여성을 남성 성욕 해소의 도구로 삼고자 하는 젠더규범에서 비롯되는 일상적이고도 고질적인 문제로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디지털 성폭력이 어떻게 공론화 또는 문제화되어 왔으며 정책문제와 그에 따른 해결 과정이 어떻게 설정되고 있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적 관심 밖으로 밀려나 있는 문제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반(反) 성폭력 운동과 마찬가지로 반 디지털 성폭력 운동의 많은 부분은 이전까는 성폭력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던 것을 성폭력으로 명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디지털 성폭력이 본격적으로 공론화되기 이전에는 인터넷 공간에 대한 낙관주의와 기대, 대책의 공백으로 인해 소수의 전문가와 여성운동가들 외에는 인터넷과 기기를 이용한 성폭력에 관심을 가지거나 성폭력으로 이해하지 않았다. 관심의 부재 속에 디지털 성폭력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변화하며 점차 일상적인 것이 되었다. 남성 이용자 위주의 온라인 커뮤니티는 이러한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놀이문화의 일환으로 삼는 경향을 보인 한편 여성 이용자 위주의 온라인 커뮤니티는 2015년경을 기점으로 페미니스트 의식화가 이루어지며 디지털 성폭력과 관련한 담론이 활성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둘째, 여성들은 디지털 성폭력을 문제화하는데 있어, 피해자가 겪는 고통을 강조하여 디지털 성폭력이 부정할 수 없는 인권침해와 범죄라는 것을 확고히 하는 한편, 문제의 해결을 위해 국가가 진지하게 임할 것을 요구하였다. 반 디지털 성폭력 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들에게 있어 국가는 최근까지 디지털성폭력의 문제를 사실상 방치해 왔다고 여겨지며 남성동맹의 일부로 인식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국가는 디지털 성폭력으로 인해 여성들이 겪는 공포와 고통에 조치를 취할 능력이 있으며 그러한 의무가 있다는 점에서 협력의 대상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이러한 점에서 여성들은 때로는 국민청원이나 대규모 시위와 같은 방식으로 국가를 비판하고 때로는 책임을 촉구하거나 협상을 시도하며 문제 해결에 직접 참여하고자 했다. 한편, 반 디지털 성폭력 운동의 외부에서는 피해자를 ‘어린 딸’로, 가해자를 ‘악마’로, 그리고 문제 해결의 주체를 ‘부모’로 칭하며 성폭력에 대한 오래된 도식을 재생산하기도 했다. 이러한 구도 하에서 피해자들은 문제를 논하고 해결에 참여하는 주체가 아니라 보호받으며 해결을 기다려야 하는 수동적 객체로 밀려나게 된다. 셋째, 디지털 성폭력과 관련하여 새롭게 정비되고 있는 정책들은 처음에 반 디지털 성폭력 운동이 강조하고자 했던 ‘피해자의 관점’과는 다른 시각에서 구성되었다. 피해자들이 가장 큰 고통을 느끼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고려하고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 데서 출발하였던 조치들은 정책의 테두리 안에 들어오면서 그 맥락이 삭제되었다. 피해자의 관점이 삭제된 정책들은 디지털 성폭력이 마치 기술의 발전과 보급에서 비롯된 것처럼 책임을 전가하거나 기술적 문제만 해결되면 디지털 성폭력 또한 사라질 것처럼 성폭력의 문제를 과소평가하였다. 또한 그러한 정책의 실행이 성착취물 차단이라는 결과로 이어지지 않음으로써 기술적 대응에 기대했던 성과를 거두는 것에도 실패하였다. 성폭력의 문제 해결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기술’에 권위를 부여하는 것은 성폭력의 문제에서 남성성에 대한 의논과 반성을 피해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피해자와 사회의 회복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도록 하는 결과를 낳았다. '처벌 강화’는 디지털 성폭력 대책의 또 하나의 축으로서 선호되고 있다. 처벌 강화에 대한 담론에서 국가는 가해자를 처벌할 권력을 지니게 되며 문제 해결의 과정을 수사와 증명과 처벌로 대신한다. 이러한 절차에서 디지털 성폭력 문제의 해결에서 피해자와 조력자들이 주체가 되고자 했던 문제화의 과정과는 달리 피해자는 제3자로 밀려나게 된다. 또 가해자의 처벌에 사회의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은 디지털 성폭력 피해자와 사회 전체가 입은 피해에 대해 돌아보고 회복하기 위한 노력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게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성폭력이 '기술 발전'과 '처벌 부족'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하는 경향과 그 해결에 있어 피해자와 여성운동의 관점을 배제하는 현재의 정책적 경향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하였다. 또, 계속해서 새롭게 변주되고 확산되어가고 있는 디지털 성폭력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디지털 성폭력을 기술과 처벌의 문제이기 이전에 성평등의 문제로 바라보며 사회 구성원 모두의 변화와 참여를 촉구해온 여성주의적 관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Recently, digital sexual violence has emerged as an important social issue. As a result, laws and policies, which are national-level countermeasures, are being reorganized rapidly. Among them, 'technical response' and 'enhanced punishment' occupy a large proportion. This policy trend is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digital sexual violence is a new crime and a technical problem, so it must be solved technically and the intention to control these crimes by strengthening punishment. However, such thinking overlooks the way in which women experience digital sexual violence. Women do not accept digital sexual violence as an individual's special and unfortunate event or a new type of crime. Rather, they experience digital sexual violence as a daily and chronic problem stemming from gender norms that seek to use women as a tool to relieve men's sexual desire. This study aimed to critically analyze how digital sexual violence has been publicized or problemized in Korean society, how policy problems and their corresponding processes are being set up, and to see what problems are being pushed out of inter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ch of the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like the anti-digital sexual violence movement was intended to name what was previously not accepted as sexual violence as sexual violence. Before digital sexual violence became publicized in earnest, only a few experts and women activists were interested in it and understood it as sexual violence. That's partly because there was optimism and expectation of the internet space among people, and there was a policy vacuum. In the absence of attention, the digital sexual violence has been changed into everyday affairs and accepted as commonplac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Online communities centered on male users are showing a tendency to actively accept this culture and make it a part of the play culture. On the other hand, online communities centered on female users are showing active discourse on digital sexual violence. It was triggered by the online feminist consciousness-raising spread online in South Korea around 2015. Second, feminist activists have firmly established that digital sexual violence is an undeniable violation against human rights and crimes by emphasizing the pain suffered by victims in questioning digital sexual violence. It also called for the Government to take serious action to resolve the problem. For women participating in the anti-digital sexual violence movement, the Government is sometimes perceived as part of the male bonding, as the government has been virtually neglecting the issue of digital sexual violence until recently.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Government has also been seen as an object of cooperation in the sense that it has the capacity and obligation to act on the fear and suffering women experience as a result of digital sexual violence. South Korean women sometimes criticized the government, urged responsibility, and sometimes tried to negotiate and directly participated in solving the problem in the way of national petitions and mass protests. Meanwhile, outside the anti-digital sexual violence movement, the victim were referred to as a "young daughters," the perpetrators "devils," and the agents of solving the problem as a "parents," reproducing the old schema. Under this structure, victims are pushed out as passive objects who have to wait for a solution while being protected, rather than discussing problems and participating in resolution. Third, the newly reorganized policies on the digital sexual violence do not reflect the "victim's perspective" that the anti-digital sexual violence movement initially wanted to emphasize. Measures that started in considering what the victims felt the most painful and in helping them return to their daily lives have lost their contexts when they came into the frame of policies. Policies that deleted the victim's perspective underestimated the problem of sexual violence as if digital sexual violence was due to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echnology, or as if digital sexual violence would disappear if only technical problems were solved. Also,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policy does not lead to the blocking of the producing and disseminating of sexual exploitation images and videos, and thus fails to achieve the expected results by the technical response. Above all, giving authority to "technology" in solving the problem of sexual violence has resulted in avoiding discussion and reflection on masculinity in sexual violence, and being indifferent to the recovery of the victims and society. Strengthening punishment is favored as another pillar of measures against to digital sexual violence. In the discourse on strengthening punishment, the government has the power to punish the perpetrators and replaces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with investigation, proof and punishment. In this procedure, unlike the problematic process in which victims and assistants wanted to be agents in solving the digital sexual violence problem, the victims would be relegated to a third party. In additi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society's attention is focused on the punishment of the perpetrator prevents us from paying attention to the efforts to reflect on and recover the damage suffered by digital sexual violence victims and the society. This study critically approached the policy tendency to understand that digital sexual violence stems from "technological advances" and "lack of punishment", and the current policy tendency to exclude the victim's perspective and feminist movements in solving digital sexual violence. In order to address the ever-changing and spreading digital sexual violence issu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feminist perspective that has urged changes and participation of all members of society, viewing digital sexual violence as a matter of gender equality before it is a matter of technology and punish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