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3 Download: 0

2-30대 며느리의 행위성을 통해 본 가족주의의 변화

Title
2-30대 며느리의 행위성을 통해 본 가족주의의 변화
Other Titles
Changes in familism through the agency of a daughter-in-law in their 20s and 30s : Focused on high-educated middle-class women
Authors
이경하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허라금
Abstract
본 논문은 2-30대 며느리의 행위성을 통해 한국 사회의 가족주의가 개인화 및 개인주의와 맞물리며 변화하는 양상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30대 기혼 여성의 결혼에 대한 욕망, 배우자 선택 기준, 시가와의 관계 설정 방식을 살펴보고, 이들이 어떠한 가족을 기대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들의 며느리 경험에서 가족주의와 개인화의 충돌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드러내었다. 이들이 ‘며느리’라는 위치성에 대해 발휘하는 행위성이 기존의 젠더 및 가족 질서와 실천을 어떻게 재편하고 재구성하는지 조명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결혼을 통해 부모의 통제에서 벗어나는 독립적·자율적 삶에 대한 욕구, 장기적인 전념과 책임을 포함하는 친밀한 관계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고, 이는 규범적 가족주의와 긴밀히 얽혀 있었다. 이에 결혼으로 인한 손해를 최소화하고 자아를 잃지 않기 위한 전략으로서, 안정적인 경제력을 기대할 수 있으면서도 ‘비전통적 남성성’을 수행하는 남성을 배우자로 선택하였다. 이는 가부장의 권위를 내세우지 않는 소통방식, 근대적 성별 분업을 답습하지 않는 태도, 원가족으로부터의 자아 분화를 의미하였다. 아내를 성 역할로 도구화하지 않고 아내의 학업과 직업을 지지하는 등 개인으로서 삶을 존중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더불어 연구 참여자는 남편과 서로 ‘대리 효도’를 시키지 말고 ‘셀프 효도’를 하기로 협상하였다. 며느리로서 의무나 연기를 수행하기보다 자기 자신의 일관적·통합적 자아감을 유지하는 것을 중시하였다. 며느리 규범을 수행하더라도 자아가 소외되지 않을 수 있도록 본인의 특성과 그 행위가 부합하는지 숙고하고자 했다. ‘며느리’라는 정체성은 이들에게 그다지 중요한 의미를 지니지 않았으며, 다만 시부모에게 어른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를 갖추고자 했다. 이러한 태도는 연구 참여자의 취업 여부, 남편과의 연봉 차이, 시가의 경제적 지원 여부에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규범적 가족주의는 연구 참여자에게 며느리와 사위의 위치성 차이, 며느리의 개인적 삶에 대한 관심 및 존중 부재, 며느리를 성 역할로 도구화하는 것으로 경험되었다. 이와 함께 시부모로부터 비난이나 미움을 받고 싶지 않은 마음이 뒤섞이면서, 이들이 결혼 이후에도 보존하고자 했던 자율적이고 동등한 개인으로서 자아는 위협을 받았다. 이때 “좋은 시부모님”이라는, 며느리 억압의 정도를 비교하여 위계화하는 사고방식이 내포된 관점은 이들의 불만을 사소화하였다. 이는 불만에 내재하는 이들의 욕구, 신념, 가치, 감정에 대한 협상의 가능성을 차단함으로써, 시부모와 성찰적 가족주의에 기반하는 가족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방해하였다. 더불어 부계 가족주의, 여성의 재생산 능력을 사회적 기능으로 간주하는 사고방식, 자녀 중심적 모성 이데올로기를 강조하는 육아 관련 과학적 지식은 연구 참여자에게 이들이 개인적인 영역에서 구축하고 있는 출산 및 양육 서사의 경계를 침해하고, 이들의 몸을 부계 혈통 재생산 도구로 대상화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이들을 사생활 공간이 있는 한 명의 독립적 개인으로 인정하지 않고, 부계가족에 편입된 존재로 여기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한편 연구 참여자의 남편은 성차별적 가족 질서를 자각하지 못하고, 아내의 며느리 경험을 개인적 성격이나 대인관계의 문제로 받아들이는 경향을 보였다. 시부모의 선의를 강조하고 며느리의 이해와 순응을 유도하면서, 규범적 가족주의를 견지하고 관계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자 했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남편과 동등한 개인으로서 존중받고자 하는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아들-며느리-사위의 위치성을 동등하게 만들고자 했으며, 며느리-시부모의 문제를 아들-부모의 문제로 전환하였다. 기존의 ‘고부갈등’ 담론에서 제삼자였던 남편은 부계 중심성과 자기 중심성의 안락함에서 탈피하여 ‘당사자’로서 관계적 실천을 하도록 독려받았다. 이는 ‘돌보는 남성성’과 성찰적 가족주의로의 변화를 의미하였다. 이러한 관계 구성의 질적 성격 변화는 며느리와 시가 식구들의 관계에서도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는 시가 식구들이 자신의 개인적 견해를 억압하며 규범적 가족주의를 내세우는 경우 가족으로서 관계를 차단하였다. 한편 시가 식구들과 남편이 연구 참여자를 며느리 정체성으로 고착화하지 않고 한 명의 개인으로 존중하는 경우, 며느리 규범에 해당하는 행위를 시어머니 개인의 삶의 방식과 성향을 존중하면서 본인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행위로 재의미화하였다. 더불어 연구 참여자는 기혼 여성을 투사적 상상과 여성주의 직관을 통해 타율적 존재로 타자화하는 관점을 비판하며, 기혼 여성이 가부장적 가족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가족 내의 개인’에서 ‘개인 내의 가족’으로 중심축이 변화하고 있는 현실에서, 성장 과정에서부터 개인화의 영향을 받았던 2-30대 기혼 여성이 ‘며느리’라는 위치성에서 가족에 대해 가지는 욕구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들을 규범적 가족주의에 순응하는 존재로 타자화하기보다, ‘개인의 삶과 가족의 삶의 경계’에 서서 가족의 유대 관계를 재구성하는 주체로 조명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개인의 독립성·자율성과 더불어 성별과 세대를 아우르는 친밀성·연대성을 구현하는 공동체로 가족이 재구성되기 위해 어떠한 논의가 필요할지 탐색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한국의 역사적·사회적 맥락에서 가족주의, 개인화, 개인주의를 개념화하고 그 관계를 정리하고자 했으며, 1990년대 이후 급격한 가족 변화 속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결혼을 통한 가족 형성’의 단면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This paper tried to analyze the changing aspects of familism in Korean society in conjunction with individualization and individualism through the agency of daughters-in-law in their 20s and 30s. To this end, the desire for marriage of married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criteria for choosing a spouse, and the way they established relationships with husband’s family were examined, and what kind of family they expected was confirmed. In their experiences of daughter-in-law, the conflict between familism and individualization was revealed. It sheds light on how their agency toward the position of ‘daughter-in-law’ reorganizes the existing gender and family order and practic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expected that marriage would satisfy their desire for an independent and autonomous life out of parental control and their desire for an intimate relationship that includes long-term commitment and responsibility, which was closely intertwined with normative familism. Therefore, as a strategy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marriage and not to lose their self, a man who can expect stable economic power while performing ‘non-traditional masculinity’ was selected as a spouse. This meant a communication method that did not assert the patriarchal authority, an attitude that did not follow the modern gender division of labor, and self-differentiation from the original family. It included respecting wife’s life as an individual, such as supporting her studies and careers, without instrumentalizing his wife as a gender role. In addition, the study participants negotiated with their husbands to ‘self-filial piety’ rather than ‘vicarial filial piety’. She emphasized maintaining her own coherent and integrated sense of self rather than performing duties as a daughter-in-law. She wanted to reflect on whether her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were consistent so that her self would not be alienated even if she carried out the daughter-in-law’s norms. The identity of ‘daughter-in-law’ did not mean much to them, but they wanted to show their parents-in-law the minimum courtesy towards adults. These attitudes were generally found regardless of whether the study participants were employed, the difference in their annual salary with their husbands, or whether they received financial support from their husbands’ parents. Second, normative familism was experienced by the study participants as the difference in position between daughter-in-law and son-in-law, the lack of interest and respect for her personal life, and instrumentalizing daughter-in-law as a gender role. At the same time, as the desire not to be criticized or hated by parents-in-law was mixed, the self-esteem as an autonomous and equal individual that they wanted to preserve even after marriage was threatened. At this time, the perspective of “good parents-in-law,” which included a way of thinking that compares and hierarchizes the degree of oppression of daughter-in-law, diminished their dissatisfaction. This prevented the creation of a family relationship based on reflective familism with parents-in-law, by blocking the possibility of negotiating the desires, beliefs, values, and emotions of those inherent in dissatisfaction. In addition, paternalism, a mindset that considers women’s reproductive abilities as social functions, and scientific knowledge of parenting emphasizing child-centered maternal ideology were recognized to violate the boundaries of childbirth and parenting narratives they were building in their personal areas. It was also interpreted that they were not recognized as one independent individual with a private space, but as incorporated into a paternal family. Meanwhile, the husband of the study participants didn’t understand the sexist family order and tended to accept his wife’s daughter-in-law experience as a matter of personal character 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le emphasizing the good will of parents-in-law and encouraging her to understand and conform, he tried to maintain the normative familism and avoid responsibility for the relationship. Third, the study participants tried to make the position of son, daughter-in-law, and son-in-law equal in order to satisfy their desire to be respected as individuals equal to their husbands, and turned the problem of daughter-in-law and parents-in-law into the problem of son and parents. The husband, who was a third party in the existing ‘Gobu(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Conflict’ discourse, was encouraged to break away from the comfort of paternal centrality and egocentrism and engage in relational practice as a ‘the person directly involved’. This meant a shift in ‘care masculinity’ and reflective familism. This qualitative change in the composition of the relationship was also se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ughter-in-law and the husband’s family. The study participant cut off the relationship as a family if the husband’s family suppressed her personal views and advocated normative familism. On the other hand, if the husband’s family and husband respected her as one individual without sticking to her daughter-in-law’s identity, the agency corresponding to the daughter-in-law’s norms was reconsidered as an act that satisfies her needs while respecting her mother-in-law’s lifestyle and tendencies. In addition, the study participants criticized the perspective of otherizing married women as heteronomous through projective imagination and feminist intuition, emphasizing that married women can change patriarchal family relationships. In the reality that the central axis is changing from ‘individual within family’ to ‘family within individual’, this paper wanted to examine how marrie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were influenced by individualization from the process of growing up, have the desires about family in the position of ‘daughter-in-law’. Rather than otherizing them as conforming to normative familism, I wanted to illuminate them as subjects that stand at the “border between individual life and family life” and that reconstruct family ties. Through this, I tried to explore what discussions would be needed to reorganize the family into a community that implements intimacy and solidarity across gender and generation, along with individual independence and autonomy.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d to conceptualize and organize familism, individualization, and individualism in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of Korea, and revealed a cross-section of “family formation through marriage” that has not been relatively noticed in the rapid family changes since the 1990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