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7 Download: 0

청소년의 불평등한 진로포부 형성과정과 체화된 형태의 자본의 영향

Title
청소년의 불평등한 진로포부 형성과정과 체화된 형태의 자본의 영향
Other Titles
Unequal Formation Process of Career Aspiration and Impact of Embodied Cultural Capital in Youths
Authors
차영화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샛별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find the factors that create dreams contributing to inequality during times when youth’s dreams are being ranked according to their socioeconomic household backgrounds, and based on this finding, to discover the hidden mechanisms in which youths dream through class reproduction that occur in the formation process. To this end, dream is defined as career aspiration, and in order to examine its formation, which is composed cumulatively and complexly by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parents, Bourdieu’s embodied cultural capital was used as the main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is centered on mixed methods research based on qualitative analysis.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2017 Korean National Youth Survey was used as analysis material for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d for qualitative analysis, in-depth interview was used. The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analyzed variables including monthly household income of parents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main caregiver that represent household class background, desired occupation and desired level of education, which are career aspirations that are the center of this study, and lastly, private education experiences, part-time job experiences, scientific information activity experiences, time spent with fathers, academic achievement, and work value that can affect career aspiration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variables fall under three groups – upper, middle, and lower – depending on household class background and relative social hierarchy of career aspirations. In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ge, gender, and scale of area were added as control variables, and desired occupation and desired level of education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The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was a common outcome derived from the two trials.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more the young aims for a job with high authority and desires to graduate at an advanced educational institution. Using the results of the two qualitative analyses,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differences in class-specific mode of recognition were found in both the process of forming and adjusting career aspirations. In the process of forming career aspirations, teenagers all decided their dreams considering their aptitude to a certain extent. However, their consideration of aptitude varied depending on their class background. When considering aptitude, upper-class teenagers showed a more comprehensive attitude by considering other values as well, such as economic income and stability. Such an attitude soon led upper-class teenagers to recognize high-income and socially influential jobs of high rank as their favorite. Middle-class teenagers emphasized happiness the most when considering their aptitude, which allowed them to choose a career path that they liked and could serve as a positive connotation. Finally, lower-class teenagers perceived aptitude as incompatible and exclusive with other values, which pressured them to choose a career path within a limited range of choice and under deep anxiety of the future. All teenagers were experiencing adjustment to a certain extent when adjusting their dreams, but the results were ver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lass background. Upper-class teenagers maintained or strengthened their dreams with the help of their parents’ strong economic, emotional, and informative support. Behind such phenomenon lies pressure and influence from the surrounding that stimulated them to maintain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status through many private education experiences. Middle-class teenagers were trying to maintain their dreams, but were considering switching to a more stable career path due to their realistic perception of the family, limited parental support, the strong influence of grades, and parents emphasizing stability. Lastly, lower-class teenagers have already replaced their dreams with realistic employment, which is the result of environmental limitations in economic, emotional, and informative aspe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the process of forming career aspirations, class background affects the attitudes and values that teenagers possess toward their career path. This shows that the hidden mechanism within the formation process of career aspirations, which is based on the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naturally allows youths to choose their dreams that fit their class without being aware themselves, which is a fundamental cause of class reproduction and deepening social inequali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nequal formation process of career aspirations of youths through a mixed methods research centered on qualitative analysis,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found class-specific reproduction mechanism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dreams in youths based on Bourdieu’s theory of embodied cultural capital.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가구 배경에 따라 청소년의 꿈이 계급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러한 불평등에 기여하는 꿈의 형성요인을 찾고 이를 기반으로 형성과정에서 계급 재생산의 방식으로 꿈을 꾸게 하는 숨겨진 메커니즘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꿈을 진로포부로 정의하였으며,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누적적이고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진로포부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르디외의 체화된 형태의 문화자본을 주된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다. 질적 분석 중심의 혼합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양적 분석에서는 2017 청소년종합실태조사를 분석자료로 중다대응분석과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질적 분석에서는 심층면접법을 사용하였다. 중다대응분석에서는 가구계급 배경을 보여주는 부모의 월가구소득과 주양육자의 학력, 본 연구에서 조작화한 진로포부인 장래희망 직업과 희망 교육수준, 그리고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교육 경험, 아르바이트 경험, 과학정보활동 경험, 아버지와 보내는 시간, 학업성취도, 직업가치 변수를 대응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구계급 배경과 진로포부의 상대적인 사회적 위계 조건에 따라 상, 중, 하의 세 집단으로 변수들의 범주가 대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항로지스틱 분석에서는 연령, 성별, 지역규모를 통제변수로 추가하였고 장래희망 직업과 희망교육 수준을 각각 다른 종속변수로 놓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2번의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도출된 결과는 학업성취도의 영향력이었다.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보다 높은 지위의 장래희망 직업과 상급의 교육기관 졸업을 희망하였다. 이러한 두 양적 분석결과를 참고하여 반구조화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진로포부를 형성과는 과정과 조정하는 과정 모두에서 계급별 인지방식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진로포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청소년들은 모두 어느 정도의 적성을 고려하여 꿈을 결정하고 있었지만, 적성에 대한 고려는 청소년들의 계급 배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상층계급 청소년들은 적성을 고려하며 경제적 수입, 안정성 등의 다른 가치들을 함께 고려하는 포괄적인 태도를 보였고, 이는 곧 상층 청소년들이 직업 지위와 소득이 높거나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직업을 자신이 좋아하는 직업으로 인식하게 만들고 있었다. 중간계급 청소년들은 적성을 고려할 때 행복을 제일 강조하였으며, 이는 중간계급 청소년들이 자신이 좋고, 스스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진로를 선택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하층계급 청소년들은 적성을 다른 가치들과 양립할 수 없는 배타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하층계급 청소년들이 제한된 범위에서 미래에 대한 높은 불안감을 가진 채 진로를 선택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꿈을 조정하는 과정에서도 청소년들은 모두 어느 정도의 조정을 경험하고 있었지만 결과는 계급별 배경에 따라 매우 달랐다. 상층계급 청소년들은 부모의 경제적, 정서적, 정보적 측면의 막강한 지원을 바탕으로 꿈을 유지하거나 더욱 강화했고 이러한 바탕에는 많은 사교육을 통한 높은 학업성취도와 높은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도록 자극하는 주변의 압력과 영향이 있었다. 중층계급 청소년들은 꿈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지만 가정에 대한 현실적인 인식과 부모의 제한된 지원, 성적에 대한 큰 영향력과 안정성을 강조하는 부모의 영향으로 보다 안정적인 진로로의 전환을 고려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하층계급 청소년들은 이미 꿈을 현실적인 취업으로 대체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경제적, 정서적, 정보적 측면 모두에서의 환경적 한계로 인한 결과물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계급적 배경이 진로포부의 형성과정에서 계급별 청소년들의 진로에 대한 다른 태도와 가치관을 형성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이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바탕으로 구성된 진로포부 형성과정 내부의 숨겨진 기제가 자신도 의식하지 못한 채 자연스럽게 계급에 맞는 꿈을 선택하게 하여 계급 재생산과 사회 불평등 심화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불평등한 진로포부 형성과정을 질적 연구 중심의 혼합방법론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부르디외의 체화된 형태의 문화자본이론을 기반으로 청소년들의 꿈의 형성과정에 존재하는 계급 기반의 재생산 메커니즘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