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4 Download: 0

혈액투석환자의 투석증상경험, 운동자기효능감, 운동의사결정균형이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영향

Title
혈액투석환자의 투석증상경험, 운동자기효능감, 운동의사결정균형이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Dialysis Symptom Experience,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Decisional Balance on Physical Activity of Hemodialysis Patients
Authors
김여울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alysis symptom experience,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decisional balance on the physical activity of hemodialysis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10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hronic renal failure and were undergoing hemodialysis at two hemodialysis units in Chung-Cheong Nam do. Dialysis symptom experience, exercise self-efficacy, exercise decisional balance, and physical activity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s of dialysis symptom index(DSI), exercise self-efficacy(SEE-K), exercise decisional balance scale, and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IPAQ).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s 21.0 program using real frequency, percentages, mean, standard deviation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were 1,745.76±1598.03 METs for physical activity; 21.23±13.31 for dialysis symptom experience; 39.03±23.29 for exercise self-efficacy; 17.72±4.83 for exercise decisional balance of perceived benefits; and 7.78±2.6 for perceived barriers. 2. Among the patients’ general characteristics, sex(t=2.073, p=.041), occupational status(t=5.940, p<.001), and number of hemodialysis sessions per week(F=3.111, p=.049)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physical activity. 3. Patients’ physical ac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xercise self-efficacy(r=.729, p<.001)and perceived benefits(r=.693, p<.001). Furthermore, physical activity and dialysis symptom experie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r=.568, p<.001). 4.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patients’ physical activity were, in order, exercise self-efficacy, perceived benefits (β=.246, p=.013), dialysis symptom experience (β=-.211, p=.009), and occupational status (β=.187, p=.013).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physical activity of hemodialysis patients were, in order, exercise self-efficacy, perceived benefits, dialysis symptom experience, and occupational status. This suggests that inspiring confidence among hemodialysis patients that they can exercise even in conditions which obstruct exercise and with environmental constraints is most effective toward promoting physical activity. In addition, by educating and experiencing the benefits of exercise, these benefits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in exercise decision making. Moreover, the dialysis symptoms experienced by hemodialysis patients should be carefully assessed and interventions should be made. Lastly,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should be needed according to occupational status.;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신체활동량, 투석증상경험, 운동자기효능감, 운동의사결정균형의 수준을 파악하고,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영향변수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2개의 기관의 인공신장실에서 혈액투석요법을 시행하고 있는 혈액투석환자 102명이다. 연구 도구로 신체활동량은 한국어판 국제 신체활동량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투석증상경험은 한국어판 Dialysis Symptom experience(DSI)을 사용하였다. 운동자기효능감은 한국어판 Self-Efficacy for Exercise(SEE-K)를 사용하였고, 운동의사결정균형은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번안한 한국어판 Exercise Decisional Balance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신체활동량, 투석증상경험, 운동자기효능감, 운동의사결정균형 대상자의 신체활동량의 평균은 1,745.76±1,598.03 METs, 투석증상경험(0~120점)의 평균은 21.23±13.31점, 운동자기효능감(0~90점)의 평균은 39.03±23.29점, 운동이익요인(5점~25점)의 평균은 17.72±4.83점, 운동손실요인(5~25점)의 평균은 7.78±2.61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량, 투석증상경험, 운동자기효능감, 운동의사결정균형 대상자의 일반적·질병관련 특성 중 연구대상의 성별(t=2.073, p=.041), 직업유무(t=5.940, p<.001), 주당 혈액투석횟수(F=3.111, p=.049)에 따른 신체활동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대상자의 신체활동량이 여자 대상자 보다 더 높았으며, 직업이 없는 대상자보다 있는 대상자의 신체활동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주당 혈액투석횟수 2회의 신체활동량이 4회 이상의 신체활동량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투석증상경험은 성별(t=-3.604, p<.001), 주당 혈액투석횟수(F=6.582,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투석증상경험은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았고, 주당 혈액투석횟수는 4회 이상이 2회와 3회보다 높게 나타났다. 운동이익요인은 직업 유무(t=-4.774, p=.00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업이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보다 운동이익요인의 점수가 더 높았다. 운동손실요인은 학력(F=4.406,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학교 졸업이 고등학교 졸업보다 운동손실요인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투석증상경험, 운동자기효능감, 운동의사결정균형, 신체활동량의 상관관계 신체활동량은 투석증상경험(r=-.568, p<.001)과 부적 상관관계, 운동자기효능감(r=.729, p<.001), 운동이익요인(r=.693, p<.0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석증상경험은 운동자기효능감(r=-.524, p<.001), 운동이익요인(r=-.534, p<.001)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운동자기효능감은 운동이익요인(r=.740, p<.0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투석증상경험, 운동자기효능감, 운동의사결정균형이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운동자기효능감(β=.361, p<.001), 운동이익요인(β=.246, p=.013), 투석증상경험(β=-.211, p=.009), 직업 유무(β=.187, p=.013)로 나타났다. 운동자기효능감, 운동이익요인, 투석증상경험, 직업유무 순으로 신체활동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를 투입한 Model 1의 설명력은 26.3%, 연구변인을 추가로 투입한 Model 2의 설명력은 64.0%로 나타났으며 Model 1에 비해 설명력이 37.7% 향상되었다. 연구 결과, 혈액투석환자의 신체활동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동자기효능감, 운동이익요인, 투석증상경험, 직업유무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혈액투석환자의 신체활동량 증진을 위해 운동 방해 여건 및 환경적 제약 상황에서도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고취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또한 운동의 이익을 교육하고 경험하게 함으로써 신체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격려하고, 혈액투석환자가 경험하는 투석증상에 대해 면밀히 사정하고 중재해야하며, 직업의 유무에 따른 차별화된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