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6 Download: 0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서비스 질에 관한 연구

Title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서비스 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Nurse’s Job Stress and Quality of Nursing Service in the COVID-19 pandemic
Authors
최고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숙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onditions for fostering nurses who can voluntarily provide high-quality nursing while maintaining low stress in crisis situation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as well as new infectious disease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o invsetigate nurse’s job stress and quality of nursing service in the COVID-19 pandemic. The sample consisted of 111 nurses who provided nursing care directly or indirectly in a COVID-19 Pandemic situ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es from January 7 to Feburary 28, 2021 through an online web site. Nurse’s Job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Nurse’ Occupational Stress Scale: K-NOSS, and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was measured using the Nursing Service Quality Measurement Tools Based on the SERVERF Mode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Koreaplus statistics 26,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and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mean score of all nurse’s job stress conversion was 53.39±5.13,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job stress was confirmed to be higher than the 25th quartile conversion score of general hospital nurses and lower than 57.0. The mean score for quality of nursing services was 55.09±5.67. 2. Nurse’s job str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marital status(t=2.392, p=0.018). The married nurse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job stress than the unmarried nurses. 3. Nurse’s job str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experience working at the new infectious disease screening clinic. It was observed that the group with the experience of at a new infectious disease screening clinic was experiencing higher job stress than the group without. (t=2.263, p=0.026). 4. Quality of Nursing Servi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Intention to participate in nursing when a new infectious disease occurs. It was observed that the group who responded positively to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nursing showed higher quality of nursing service than the negative respondent group(F=4.281, p=0.003). 5. A negative correlation was emerged between the 11 sub-areas of the nurse's job stress and the overall quality of nursing service. The sub-areas are physical work needs (r=-0.343, p=0.000), emotional work needs, (r=-0.241, p=0.011) roles and responsibilities (r=-0.440, p=0.000), relationship conflicts (r= -0.490, p=0.000), work-life balance (r=-0.337, p=0.000), workplace violence (r=-0.190, p=0.046), job autonomy (r=-0.337, p=0.000), social support (r=-0.201, p=0.034), Organizational support (r=-0.521, p=0.000), Reward appropriateness (r=-0.420, p=0.000), Organizational fairness (r=-0.511, p=0.000). The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factors of nurse’s job stress was correlated with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If each medical institution makes efforts to prepare it as a job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nurse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by using the factors that deteriorat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identified in this study as basic data,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In addition, it will help to provide conditions for nurturing nurses who can voluntarily provide high-quality care while keeping the stress of medical personnel low in crisis situations such as the current COVID-19 pandemic.;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서비스 질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팬데믹 상황뿐 아니라 추후 발생할 신종감염병 등의 위기상황에서 낮은 스트레스를 유지하면서 양질의 간호를 자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간호사를 육성하기 위한 여건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감염 확진 환자 혹은 의심환자에게 간호를 제공한 111명의 간호사로 구성되었다. 2021년 1월 7일부터 2월 28일까지 한 온라인 웹사이트 내 커뮤니티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한국 간호사의 직업 스트레스 척도(K-NOS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간호서비스의 질은 SERVPERF(Service Performance) 모델에 기초한 간호서비스 질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Koreaplus statistics 2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신종감염병 관련 경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간호서비스 질은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유의미한 경우 Scheffe’s test로 사후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간호서비스 질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평균 환산점수는 53.39±5.13점으로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서비스 질 평균 점수는 55.09±5.67점(100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2.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결혼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가 미혼 간호사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2.392,p=0.018). 3.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COVID-19 선별진료소 근무 경험이 있는 그룹이 없는 그룹보다 유의하게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2.263, p=0.026). 4. COVID-19 확진자 발생 시 간호에 참여할 의향에 따라 간호서비스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간호 참여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그룹이 부정적 응답 그룹보다 더 높은 간호서비스 질을 제공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F=4.281, p=0.003). 5.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의 14개의 하위 요인 중 11개 하위 요인과 간호서비스 질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해당하는 하위 요인은 물리적 업무요구(r=-0.343, p=0.000), 감정적 업무요구(r=-0.241, p=0.011), 역할과 책임(r=-0.440, p=0.000), 관계 갈등(r=-0.490, p=0.000), 일과 삶의 균형(r=-0.337, p=0.000), 직장폭력(r=-0.190, p=0.046), 직무 자율성(r=-0.337, p=0.000), 사회적 지지(r=-0.201, p=0.034), 조직 지원(r=-0.521, p=0.000), 보상의 적절성(r=-0.420, p=0.000), 조직의 공정성(r=-0.511, p=0.000)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요인 중 물리적 업무요구, 감정적 업무요구, 역할과 책임, 관계 갈등, 일과 삶의 균형, 직장폭력, 직무 자율성, 사회적 지지, 조직지원, 보상의 적절성, 조직의 공정성 영역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증가는 환자의 간호서비스 질 저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각 의료기관이 본 연구에서 확인된 간호서비스 질 저하 요인을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COVID-19 팬데믹 상황 속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으로 마련하고자 노력한다면 간호서비스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