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4 Download: 0

대학생의 외적 속박감, 무망감, 자살사고의 관계

Title
대학생의 외적 속박감, 무망감, 자살사고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Among External Entrapment, Hopelessness, and Wuicidal Ide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Living in the Age of COIVD-19 : The Moderate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avoring the Moment Savoring Belief and Anticipating Savoring Belief.
Authors
이지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COVID-19 이후 2-30대의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자살사고 및 행동 문제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중심으로 자살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의 첫 단계인 자살사고(suicidal ideation)의 구체적 기제를 탐색하여 자살 행동의 예방 및 개입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고통스러운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벗어날 방법이 없다고 지각할 때 자살을 생각하게 된다는 이론에 근거하여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외부적 사건이나 상황적 요인들에 갇힌 느낌인 외적 속박감(external entrapment)과 자살사고의 관계를 미래는 부정적일 것이며 자신은 이를 변화시킬 수 없다는 지각인 무망감(hopelessness)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관계가 자신의 의지에 따라 긍정 정서를 생성, 강화, 지속시키는 향유하기에 대한 지각인 향유신념(savoring beliefs) 중, 현재향유 향유신념과 미래기대 향유신념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알아보고자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06명의 자료를 기반으로 SPSS 22.0과 PROCESS macro v3.5를 통해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외적 속박감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무망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외적 속박감은 직접적으로 자살사고를 증가시키기도 하지만 무망감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자살사고를 증가시켰다. 다음으로, 외적 속박감, 무망감,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현재의 긍정적 경험을 음미하는 향유하기에 기반한 현재향유 향유신념과 긍정적 미래를 상상하여 향유하기에 기반한 미래기대 향유신념의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외적 속박감이 무망감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현재향유 향유신념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그리고 무망감이 자살사고를 증가시키는 효과는 미래기대 향유신념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는데, 미래기대 향유신념 수준이 높은 경우 무망감은 자살사고로 이어지지 않았다. 또한 외적 속박감이 무망감을 매개로 하여 자살사고로 이어질 때 현재향유 향유신념의 수준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는 미래기대 향유신념 수준이 중간이거나 낮은 경우에만 유의했다. 미래기대 향유신념이 높은 수준인 경우 현재향유 향유신념의 수준과 상관없이 외적 속박감이 무망감을 통해 자살사고를 예측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있어 부정적인 심리적 요인뿐만 아니라 향유신념과 같이 긍정 정서를 촉진하는 능력도 함께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외적 속박감이 자살사고에 이르는 기제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키고, 보호 요인으로서 향유신념 각 하위 요인들의 차별적인 역할을 밝혀 자살사고의 예방 및 개입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moderating effects of savoring the moment savoring belief(SB) and anticipating savoring belief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entrapment and suicidal ideation through hopelessness. Self-reported data of 406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v3.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hopeless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entrapment and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external entrapment predicted suicidal ideation not only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through hopelessnes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avoring the moment SB and anticipating SB were significant. Specifically, savoring the moment SB buffered the effect of external entrapment on hopelessness and anticipating SB buffered the effect of hopelessness on suicidal ideation. Moreover, moderate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avoring the moment SB and anticipating SB on the relationship of external entrapment,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external entrapment on suicidal ideation through hopelessness was significant only when the anticipating SB level was average or lower, and the indirect effect was weakened as savoring the moment SB rose. However, when the anticipating SB level was high, the indirect effect of external entrapment on suicidal ideation was not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level of savoring the moment SB. Such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ositive emotion and different roles of SB subscales on the development of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ntervention strategies for undergraduate students’suicidal ideation were discussed.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positive emotion on suicidal ideation and the distinctive effects of SB subscal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