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5 Download: 0

취업준비생의 감사성향과 취업불안의 관계

Title
취업준비생의 감사성향과 취업불안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Job-Seeking Anxiety of Early Adulthood Youths: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Failure Tolerance
Authors
진예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 초기 진로결정이라는 발달과업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어려움으로 작용하는 취업불안을 낮추는 보호요인으로서 감사성향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감사성향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부정 정서를 다루는 방식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 경험에 대해 건설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성인 실패내성이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미취업상태이며 실질적인 취업준비경험이 있는 성인 초기 취업준비생(대학교 4학년 이상~만 29세)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342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통계프로그램 SPSS 23.0을 사용하여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분석 및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PROCESS Macro v3.4를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경로를 확인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감사성향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내성의 단순 및 이중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검증 결과, 성별과 종교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성별에 따른 차이의 경우 감사성향과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취업불안과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실패내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남자 취업준비생보다 여자 취업준비생이 높은 취업불안을 보이고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더 많이 사용했으며, 실패내성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교 유무에 따른 차이는 감사성향에서만 유의했으며, 종교를 가진 사람이 무교인 사람보다 감사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감사성향과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실패내성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이 변인들 각각은 취업불안,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감사성향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내성이 이중매개하는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으며, 이때 앞서 확인한 성별과 종교 유무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에 기반하여 성별과 종교를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감사성향에서 실패내성으로 가는 직접 경로와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서 취업불안으로 가는 직접 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다. 넷째, 감사성향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한 결과, 감사성향이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 취업불안으로 가는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감사성향이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내성 그리고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내성을 통해 취업불안으로 가는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하였다. 그러나 감사성향이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내성 각각을 통해 취업불안으로 가는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취업준비생의 감사성향이 취업불안을 직접적으로 예측할 뿐만 아니라 감사성향에 따라 적응적인 혹은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더 사용하거나 덜 사용함으로써 실패내성을 촉진시켜 취업불안을 간접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에서 성인 초기 청년이 취업으로 인해 겪는 심리적 어려움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되어지는 고질적인 문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취업준비생이 경험하게 되는 취업불안을 낮출 수 있는 개인 내적 자원인 실패내성을 발달시키는 기제를 탐색하고, 개입 방안으로써 감사성향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감사성향은 다양한 형태의 감사개입, 감사프로그램이 있을 정도로 개입의 가능성이 많은 변인이라는 점에서 취업준비생의 취업불안을 낮출 수 있는 개입점이 시사된다. 더불어, 누구나 경험하는 감사라는 정서가 취업준비생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실패경험에 대한 건설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 데에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긍정 정서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성인 초기 청년들이 진로결정이라는 발달과업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맞이하게 되는 위기를 극복하고 건강하게 발달단계를 거쳐나가기 위한 개입전략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failure toler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job-seeking anxiety.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342 early adulthood youths, and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o test whether the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and religion. Maladaptive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job-seeking anxiety, and failure tolerance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 Women showed higher levels of maladaptive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job-seeking anxiety than men, and showed a lower level of failure tolerance. Furthermore, gratitude disposition display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religion. Early adulthood youths with religion showed a higher level of gratitude than those without relig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correlations between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 Gratitude disposition, adaptive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failure tolerance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On the contrary, maladaptive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job-seeking anxie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other main variables. Third, the examination of the model demonstrated that all direct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the direct path from gratitude disposition to failure tolerance and the one that leads to job-seeking anxiety from adaptive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Fourth,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job-seeking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mediating effects of adaptive strategies and failure tolerance were both insignificant. In addition, the dual-mediated effect of adaptive/maladaptive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failure tolerance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job-seeking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ed that gratitude disposition is likely to increase adaptive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or decrease maladaptive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failure tolerance, and finally leading to lower job-seeking anxiety. Such results indicated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develop capabilities to cope with and respond to failure appropriately in relieving job-seeking anxiety. Therefore, improving gratitude and enhancing failure tolerance may protect job-seeking early adulthood youths from anxiety, which has implications for clinical interventions. More importantly, gratitude is a crucial element of mental health, which leads to the development of internal capability to cope with fail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