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0 Download: 0

코로나19 시기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의 종단적 매개효과

Title
코로나19 시기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의 종단적 매개효과
Other Titles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control in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worr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uthors
정진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는 상황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 및 외출 제한 등으로 일상생활에 제약이 생기고, 사회적 고립 등 여러 변화를 맞이하며 걱정 등 심리적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걱정은 미래 사건에 대비하도록 하는 문제 해결적 속성을 가지고 있지만 연속적이고 과도한 걱정은 범불안장애, 우울장애 등 심리적 고통을 초래 한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지각된 통제감은 걱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주로 횡단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편, 코로나19 상황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인들의 변화를 보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 상황에서 일반 성인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치료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변인들의 변화를 확인하므로 국제적 재난 상황 등의 격동기에 걱정에 개입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1차 1400명, 2차 850명, 3차 500명, 4차 3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및 인구통계학적 질문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지각된 통제감, 걱정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SPSS 23.0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MPLUS 7.0를 이용하여 잠재성장모형으로 변인들의 종단적 관계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19 상황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지각된 통제감 및 걱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코로나 19 상황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걱정에 영향을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 유의하였다. 셋째, 코로나 19 상황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지각된 통제감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 유의하였다. 넷째, 코로나 19 상황에서 지각된 통제감이 걱정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에 대한 지각된 통제감의 간접효과가 모두 종단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초기 시점에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할수록 지각된 통제감이 낮아져 걱정이 높아졌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이 낮아질수록 지각된 통제감이 높아지고 걱정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코로나 발병 이래에 일반 성인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기질이 어떠한 경로로 걱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 19와 같이 예상치 못한 큰 생활의 변화에서 지각된 통제감을 높이는 개입이 유용할 수 있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worr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s the pandemic continues with various measures such as social distancing, stay-at-home orders, restrictions on daily life, and social isolation, the number of people experiencing psychological sufferings such as worry has increased. Although worry has a problem-solving attribute of preparing for future events, constant and excessive worry causes psychological distress such a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control are known variables that influence worry, however, they have been mainly examined in cross-sectional studies, and studies looking at the change of variables over time in a pandemic situation are scarce. In this regard,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ry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of general adults in a pandemic situation, and to establish a basi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By identifying the changes in the variables that appear in the unique circumstance of the COVID-19 pandemic, the study can suggest a direction to intervene in worry during turbulent times such as international disaster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total of 4 waves of an online survey on adults over the age of 20, including 1,400 adults for the first wave, 850 adults for the second wave, 500 adults for the third wave, and 300 adults for the fourth wave. The survey used tools to measure pandemic responses, demographics, intolerance of uncertainty, perceived control, and worry.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longitudinal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s of the variables in a latent growth model were identified using MPLUS 7.0.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tolerance of uncertainty, perceived control, and worry changed linearly over time. Second, the longitudinal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anxie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as significant. Third, the longitudinal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perceived contro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as significant. Fourth, the direct effect of perceived control on anxiety and the indirect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control on worr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ere all longitudinally significant. To summarize, it was found that the more intolerance for uncertainty at the initial time point, the lower the perceived control and the higher the worry. This study revealed the specific psychological mechanism of how intolerance of uncertainty of general adults affects worr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t also suggests an implication that interventions increasing perceived control can be useful in large, unexpected life changes such as COVID-19.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