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4 Download: 0

한국판 대학생용 코로나 팬데믹 스트레스 척도(The Korean Version of the COVID-19 Pandemic Stress Questionnarie for College Students; K-CPSQ)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itle
한국판 대학생용 코로나 팬데믹 스트레스 척도(The Korean Version of the COVID-19 Pandemic Stress Questionnarie for College Students; K-CPSQ)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Other Titles
A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VID-19 Pandemic Stress Questionnaire for college students(K-CPSQ)
Authors
정예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생이 겪는 코로나 스트레스를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한국판 대학생용 코로나 팬데믹 스트레스 척도(The Korean Version of the COVID-19 Pandemic Stress Questionnarie for College Students; K-CPSQ)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팬데믹 스트레스 척도(Pandemic Stress Questionnarie, Kujawa et al, 2020)를 기초로 척도 개발이 진행되었다. 첫 번째 집단(N=230)과 두 번째 집단(N=237)의 자료는 만 18~26세를 대상으로 진행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모집되었다. 첫 번째 집단의 자료(N=230)를 사용하여 예비척도의 문항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실시한 후, 두 번째 집단의 자료(N=237)를 사용하여 2차 문항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한 결과, 4요인 구조를 지닌 13문항이 최종 척도로 선정되었다(Cronbach's alpha=.84). 이후, 척도의 구인타당도와 준거 관련 타당도를 분석하여 본 척도의 타당화를 검증하였다. 구인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코로나 우울을 선정하였고, 법칙적 망조직(Nomological network analysis)을 사용하여 구인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코로나 팬데믹 스트레스를 부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코로나 팬데믹 스트레스가 코로나 우울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준거 관련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정신적 안녕감(정서적 안녕감, 사회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과 코로나 우울, 불안을 선정하였고, 분석 결과, 코로나 팬데믹 스트레스가 코로나 우울, 불안, 정신적 안녕감의 하위 요인인 정서적 안녕감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코로나 팬데믹 스트레스 척도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임이 입증되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COVID-19 Stress Questionnaire for college students(K-CPSQ). In the item development phase, item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pandemic stress scale. The Study 1(N=230) and the Study 2(N=237) were completed by online survey whose ages ranged from 18 to 26. The results of exploratory and confirmtatoy analyses susgested the Corona Stress Scale could be conceptualized as four-dimensional and 13 items remained to constitute for final scale(Cronbach alpha= .84). It was validated using evidences obtained from nomological network analysis and criterion validity. As a result, enhancing stress mindset, corona blue could mutually explain corona stress. Next, Criterion validity was supported by moderate positive associations of corona stress with corona blue(ΔR^2= .26), and anxiety(ΔR^2= .21), as well as negative associations of corona stress with emotional well-being of mental well-being(ΔR^2= .13).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VID-19 Stress Questionnaire is a vaild and reliable scale to measure a corona stress about COVID-19 pandemic sitiu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