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0 Download: 0

대학생들의 부모화 경험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 분석

Title
대학생들의 부모화 경험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 분석
Other Titles
Latent Profil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Parentification : Differences in Mentalization, General Sef-Efficacy, and Internalized Shame.
Authors
임지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에 주목하여, 부모화 경험의 서로 다른 양상이 개인의 대인관계와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정신화, 일반적 자기효능감, 내면화된 수치심에서 어떤 역할을 하게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부모화 경험의 발달적 결과에 대한 비일관적 발견이 하위차원별로 변인 중심적 접근을 취했던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기존 연구들과 달리 부모화 경험의 하위차원 모두를 함께 고려한 사람 중심적 접근을 취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초기의 남녀 대학생 42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410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로, 주요 변인들에 대한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다음으로 부모화 경험의 수준에 따른 프로파일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χ2 차이 검증(BCH)을 이용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통해 부모화 경험 차원에 따른 프로파일 유형을 파악한 후,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정신화, 일반적 자기효능감, 내면화된 수치심에서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초기 남녀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 하위 요인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 유형을 살펴본 결과, ‘저경험형’, ‘중간경험-정서적 부모화 중심형’, ‘고경험-물리적 부모화 중심형’의 세 가지 프로파일로 구분되었다. ‘저경험형’은 전체적인 부모화 경험 수준이 가장 낮았으며, 전체 표본 중 6.34%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간경험-정서적 부모화 중심형’의 경우 부모화를 중간 정도로 경험했으며, 그 중 정서적으로 부모 및 가족 구성원을 보살피는 정서적 부모화 경험 수준이 높았고 그에 대해 상호호혜적이지 못하다고 느끼는 불공평 수준이 그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경험-정서적 부모화 경험형’집단은 전체의 54.15%를 차지해 표본의 과반을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고경험형-물리적 부모화 중심’은 전체적인 부모화 경험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물리적 부모화가 두드러졌고, 전체의 39.51%를 차지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선보였다. 둘째,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정신화,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내면화된 수치심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단일 요인 수준에서는 정신화와 내면화된 수치심을 제외한 일반적 자기효능감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화 경험이 낮은 ‘저경험형’의 경우 다른 두 유형에 비해 일반적 자기효능감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각 종속변인의 하위요인별로는 부모화 유형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정신화의 경우 하위요인 중 <자기 및 타인 성찰>은 유형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타인 마음 확신에 대한 조심성>은 ‘고경험-물리적 부모화 중심형’집단이 다른 두 유형에 비해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경험형’ 집단은 <정서 인식>능력이 부모화 경험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한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유연한 사고> 능력은 ‘저경험형’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은 프로파일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과제 난이도 선호>는 ‘고경험-물리적 부모화 중심형’이 ‘저경험형’보다 높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하위요인인 <자기 조절 효능감>은 부모화 경험을 가장 적게한 ‘저경험형’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의 하위 요인중 <부적절감>과 <자기처벌>은 ‘고경험-물리적 부모화 중심형’이 ‘중간경험-정서적 부모화 중심형’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저경험형’은 다른 유형들과 비교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수불안>은 ‘고경험-물리적 부모화 중심형’이 다른 두 유형들에 비해 더 낮게 나타났다. 종합하면, 성인진입기 남녀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 차원의 수준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세 가지의 잠재 프로파일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물리적 부모화가 두드러지는 고경험형과 정서적 부모화가 더 두드러지는 중간경험형이 약 93%에 해당하여 우리 문화에서 부모화 경험이 드물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프로파일의 유형에 따라 대인관계와 관련 있는 요인들에서 다른 결과들이 나타났다. 즉, 고경험-물리적 부모화 중심형은 물리적으로 가족 내의 필요를 조율하고 지원했던 경험이 두드러지면서 타인의 마음에 대한 일방적인 확신을 덜 하고 어려운 과제도 마다하지 않으며 실수불안 또한 낮은 경향이 나타났지만, 부모와 가족에 대한 정서적 돌봄이 주가 되었던 중간경험형에 비해 부적절감이나 자기처벌은 더 높았다. 한편, 정서적 부모화가 중심인 중간경험형은 부모화 경험이 가장 적었던 저경험형과 비교하여 부적절감이나 자기처벌 경향성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단순히 부모화 경험이 많은 것이 항상 부정적인 것은 아니며 자신의 부모와 가족들을 정서적으로 위로하고 보호했던 경험은 적절한 수준에서는 오히려 긍정적 경험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저경험형은 유연한 사고나 자기 조절 효능감은 다른 유형에 비해 높았지만,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는 능력은 가장 떨어지며 어려운 과제를 선호하지 않고 실수불안 또한 높게 나타나 마찬가지로 부모화 경험이 적은 것만이 긍정적인 것은 아님을 시사하였다. 즉, 부모화 경험의 서로 다른 차원과 그 수준에 따라 대인관계와 관련된 역량에서 다른 결과를 보이며, 이러한 결과는 만족스러운 대인관계 형성과 유지를 위한 개입 시 고려해야 할 부분들이라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t patterns of parentification among college student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mentalization, general self-efficacy, and internalized shame according to the different patterns. Self-reported data of 410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with SPSS 26.0 and Mplus 7.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draw the latent profiles of parentification based on three different sub-dimensions of parentification. Results from the analysis provided three distinct profiles. More specifically, the first group(‘low experience’ type) had the lowest parentification experience level. The second group(‘intermediate experience -emotional parentification centered’ type) experienced intermediate levels of parentification in an overall sense, but had experienced emotioal parentification the most, followed by unfairness and instrumental parentification in the according order. The third group(‘high experience- instrumental parentification centered’ type) showed the highest level of overall parentification, while the experience was mostly focused on instrumental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was followed by emotional parentification and unfairness subsequentl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dimensions of mentalization, general self-efficacy, and internalized shame as well as general self-efficacy as a single variable. More specifically, general self-efficacy was the only factor which depic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profile group,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dimensions of mentalization and internalized shame as well. Although mentalization failed to show differences between groups as a single factor, subdimension of mentaliz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ut was experienced significantly higher by the ‘high experience-instrumental parentification centered’ type than the other two types. subdimension was experienced significantly lower in the ‘low experience group’ than the other two higher parentified groups, while was experienced highest in the ‘low experience type’. subdimension of general self-efficacy did not portray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parentification profile groups, but subdimension were experienced higher by the ‘high experience- instrumental parentification centered’ group than the ‘low experience’ group. subdimension was experienced significantly more by the ‘high experience-instrumental parentification centered’ type than the other two low experiencing types. and subdimensions of internalized shame were experienced more by the ‘high experience-instrumental parentification centered’ type than the ‘intermediate experience-emotional parentification centered’ type but the ‘low-experience’ typ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gainst the other two types. subdimension was experienced significanlt more by the ‘high experience- instrumental parentification centered’ type than the other two experience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arentification is a concept that can lead to different and diverging interpersonal consequences according to the sub-dimensions and the magnitude of the experience, and thu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ly so when seeking intervention for future interpersonal well-being and compete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giv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