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1 Download: 0

인스타그램을 활용한 대학도서관 홍보에 관한 연구

Title
인스타그램을 활용한 대학도서관 홍보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ublic Relations of University Libraries using Instagram
Authors
소하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미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활용한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인스타그램을 활용한 대학도서관의 홍보 활동에 대한 재학생의 이용 현황과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대학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도입, 필요성, 활성화 방안에 대해 수행되었으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대학도서관의 홍보가 실제로 이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최근 사용자가 증가한 인스타그램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연구에서는 인스타그램의 홍보 효과를 대학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도입 목적을 달성한 정도로 정의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대학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도입 목적을 크게 도서관 이용 활성화, 도서관 이미지 제고, 이용자와의 소통 개선 3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조사에서는 인스타그램 사용이 재학생의 도서관 이용, 도서관 이미지, 도서관과의 소통과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에 필요한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국내외 대학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현황조사를 통해 인스타그램을 운영 중인 대학도서관을 파악하였다. 또한, 국내외 대학도서관 인스타그램의 사례분석을 통해 대학도서관 인스타그램이 주로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지, 댓글이나 DM(direct message)을 활용하는지 파악하였다. 설문 조사는 현황조사를 통해 파악된 국내 49개 대학도서관 인스타그램 가운데 팔로워 수가 1,000명 이상이거나, 학부생 수 대비 팔로워 수 비율이 10% 이상인 대학도서관 중 조사에 응한 3개 대학도서관 인스타그램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방식은 본 연구의 설문대상이 인스타그램을 이용하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온라인 방식이 편리한 부분을 고려하여 접근의 편의를 높여 응답률을 높이기 위해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조사는 2021년 4월 21일부터 4월 30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재학생의 설문 참여를 위해 각 대학도서관에서 이벤트 형식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 결과, 총 303명이 응답하였으며 설문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9명과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2명의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 292명의 응답을 설문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신분은 학부생이 높은 비율로 나타나 인스타그램의 주 이용자가 학부생이며 이를 통해 홍보 전략 수립 시 학부생을 중심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행태를 살펴본 결과, 재학생이 일상생활과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가장 많이 사용하며 선호하는 유형이 모두 인스타그램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과반수는 인스타그램을 매시간 틈날 때마다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시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인스타그램이 효과적인 도서관 홍보 도구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도서관 관련 정보에 대한 재학생의 의견을 살펴본 결과 재학생이 도서관 인스타그램을 통해 얻고자 하는 정보는 주로 도서관 공지사항에 대한 정보와 도서관 행사 및 이벤트에 대한 정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인스타그램 사용에 따른 홍보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서관 이용 측면에서 대부분의 응답자가 인스타그램을 통해 실제로 도서관을 이용한 경험이 있었으며, 그중에서도 도서관 행사 및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얻고 이용한 경험이 가장 많았다. 이를 통해 재학생의 인스타그램 이용이 도서관 행사 및 이벤트 관련 정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도서관 이미지 측면에서 인스타그램 사용에 따른 도서관 이미지 인식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그렇다는 응답과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 인스타그램 사용이 재학생의 도서관 이미지 인식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스타그램을 통해 도서관 이미지에 대한 인식이 변했다는 응답자들은 ‘사서에 대한 인식이 친근하고 좀 더 다가갈 수 있는 이미지로 바뀌었다’, ‘인스타그램 운영을 통해 대학도서관이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스마트하게 진화했다고 느껴졌다’라고 응답하여 인스타그램이 도서관 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도서관과의 소통 측면에서 응답자들은 인스타그램을 도서관과 소통하기에 적절한 채널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댓글, DM을 사용하는 측면에서는 적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 인스타그램이 이용자와의 소통을 통해 관심사를 파악하고, 이용자가 문의한 내용에 대해 진정성있게 대응한다는 응답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이용자와의 소통을 통한 인스타그램 운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인스타그램 사용에 있어서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인스타그램을 사용한 후 ‘도서관 이미지가 친밀해지고 관심도가 높아졌다’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여 도서관 이미지 제고 측면에서 인스타그램의 홍보 효과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홍보를 위한 대학도서관 인스타그램 운영 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재학생이 주로 관심 있는 정보, 도서관 이용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 정보, 실제로 도서관 이용으로 이어진 정보에는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재학생의 도서관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도서관 이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도서관 인스타그램에 게시되는 정보는 주로 도서관 자료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이용자들이 관심 있는 정보와 도서관 이용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정보는 도서관 서비스와 시설에 관한 정보로 나타나 이용자들이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와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인스타그램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도서관 이미지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직원 차원에서 사서의 역할 및 태도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인스타그램을 통해 사서의 역할을 홍보하고 일상적인 게시물과 친근한 말투를 활용하여 이용자가 도서관을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콘텐츠를 기획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뿐만 아니라, 재학생이 갖고 있는 도서관 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공식적인 성격과 정보 제공 위주로 운영하는 것이 아닌 일상적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대부분의 도서관은 인스타그램을 통한 문의 방법에 대해 안내하지 않았으며 이용자 역시 댓글, DM을 사용하는 측면에서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도서관은 인스타그램에 이용자가 문의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여 이용자가 댓글, DM을 이용하거나 또는 다른 문의 방법을 사용하여 필요한 사항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주기적인 게시물 업로드와 모니터링을 통해 이용자의 댓글 및 DM에 빠르게 응답하고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 요구를 파악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students' use of the university library's public relations activities using Instagram through user research, while social network services are actively promoted in university libraries. Prior research on university library social network services was mainly conducted on introduction, necessity, and activation measures, but research on how the public relations of university librarie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 actually affects users was relatively limited. In addition, research on Instagram, which has recently increased users, is lacking. The study defined the public relations effect of Instagram as achieving the university library's social network service purpose, and divided the university library's social network service purpose into three aspects: activating library use, enhancing library image, and improving communication with users. Therefore, the survey wanted to find out whether Instagram use was related to students' use of the library, image of the library, and communication with the library. To this end, the concepts needed for research were summari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university library operating Instagram was identified through a survey of social network services at home and abroad. In addition, through a case analysis of university library Instagram at home and abroad, the study identified what information the university library Instagram mainly provides and uses comments or direct messages (DM). The survey was conducted on Instagram users of three university libraries surveyed among the 49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with more than 1,000 followers or 10% followers to undergraduate students. The survey method was conducted online to increase the response rate 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access by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online methods, as the survey targets for students using Instagram.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1 to April 30, 2021, and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form of events at each university library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of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urvey, a total of 303 people responded, and the final 292 responses were used for the survey analysis, with the exception of nine not included in the survey and two not suitable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atus of the respondents showed a high percentage of undergraduates, indicating that the main user of Instagram is undergraduate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ent centered on undergraduates when establishing public relations strategies. Second, looking at social network service usage behavior, students use Instagram the most and preferable types of social network services provided in their daily lives and libraries. A majority of the respondents checked Instagram every hour, and the usage time was also high, indicating that Instagram could act as an effective library public relations tool. Third, a review of the student's opinions on library-related information showed that the information that the student wants to get through the library's Instagram is mainly information about library announcements and library events. Specifically, the public relations effects of using Instagram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erms of library use, most of the respondents actually used the library through Instagram, and among them, they had the most experience of obtaining and using information about library events. This showed that students' use of Instagram was closely related to library events-related information. Second, in terms of library images, the changes in library image recognition due to Instagram use showed that Instagram us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ibrary image perception of students. Meanwhile, respondents to Instagram's change in perception of library images confirmed that Insta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library image enhancement, saying,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has changed to a friendly and more approachable image” and “I felt that university libraries evolved smartly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Third, in terms of communication with the library, respondents perceived Instagram as an appropriate channel to communicate with the library, but were not actually active in terms of using comments and D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ibrary's Instagram identified interests through communication with users and responded sincerely to users' inquiries, indicating that Instagram operations need to be improv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users. Respon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overall use of Instagram, and after using Instagram, they responded the most, “The library image has become more intimate and interested,” indicating that Instagram has the highest promotional effect in terms of enhancing the library im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found on how to operate the university library Instagram to promote the library.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information that students were mainly interested in, information that they thought would help them use the library, and information that actually led to the use of the library.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activate students' use of the library, it is necessary to provide not only simple information but also ways that can lead to the use of the library.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osted on the university library Instagram was mainly concentrated on library materials, but information that users responded was interested in and helpful in using the library was found to be necessary to promote it on Instagram so that users could use various services and facilities provided by the library. Second, users' perceptions of the library image showe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librarian's role and attitude was low at the staff level, and it was necessary to promote the librarian's role through Instagram and to plan contents that allow users to feel familiar with the library. In addition, in order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library image of a student, it is necessary to plan content that allows users to feel familiar with the library by utilizing everyday posts and friendly speech, rather than by operating it mainly with official personality and information. Third, most libraries did not guide them on how to inquire through Instagram, and users also responded passively in terms of using comments and DM. Therefore, the library should guide users on Instagram how to make inquiries if necessary so that users can request necessary matters using comments, DM, or other methods of inquiry. In addition, it seems that efforts are needed to quickly respond to users' comments and DM through periodic uploads and monitoring of posts and to provide various contents by identifying users' desired information nee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