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29 Download: 0

임상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역량,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근무환경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임상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역량,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근무환경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Clinical Nurses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uthors
이지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지영
Abstract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임상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역량,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근무환경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71명을 편의 표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임상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역량은 Evidence Based Practice Questionnaire을 임경춘 등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비판적 사고성향은 권인수 등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근무환경은 Lake가 개발하고 조은희 등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천고운, 김지영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근거기반실무역량은 4.61±0.73점(7점 만점)이었다. 근거기반실무역량 중 수행이 가장 높았고, 태도, 지식/기술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3.44±0.43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성향 중 개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는 지적통합, 진실추구, 탐구성, 신중성, 객관성, 도전성, 창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은 2.37±0.45점(4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간호근무환경 중 간호 관리자의 능력, 리더십, 지지가 가장 높았으며, 양질의 간호사를 위한 기반,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병원 운영에 간호사의 참여 순으로 나타났으며,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자원이 가장 낮았다.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은 4.57±0.44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간호활동 중 수혈이 가장 높았고, 낙상, 수술/시술, 감염, 환자안전 보고체계, 환자확인, 욕창, 투약, 신체보호대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확한 의사소통이 가장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근거기반실무역량을 확인한 결과 최종학력이 석사졸업이상인 경우가 간호학사인 경우보다 근거기반실무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2.87, p=.00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을 확인한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았고(t=2.11, p=.036), 기혼상태가 미혼상태보다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았다(t=-2.45, p=.030). 최종학력이 석사졸업이상인 경우 간호학사인 경우보다 높았으며(t=-2.45, p=.015). 환자안전사고 경험이 없을수록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았다(t=-2.18, p=.030).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근무환경을 확인한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했으며(t=2.45, p=.015), 환자안전사고 경험이 없을수록 간호근무환경을 더 긍정적으로 인지했다(t=5.13, p=.04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를 확인한 결과 최종학력이 석사졸업이상인 경우 간호학사인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t=-2.62 p=.010). 3. 환자안전간호활동은 근거기반실무역량(r=.34, p<.001) 및 비판적 사고성향(r=.3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환자안전간호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형태(β=.24, p=.003), 근거기반실무역량(β=.23, p=.031), 비판적 사고성향(β=.20, p=.048), 총 근무경력(β=-.26, p=.003)의 순이었으며, 이들 영향요인의 설명력은 29%였다(F=3.27, p<.001). 본 연구는 기존의 환자안전간호활동과 관련된 연구가 개인적 특성, 직무 관련 특성과 관련지었던 것에서 더 나아가 근거기반실무역량, 비판적 사고성향과 환자안전간호활동과의 관계를 파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형태 중 3교대 근무, 근거기반실무역량, 비판적 사고성향, 총 근무경력임을 확인하였다. 근무형태 중 상근직보다 3교대 근무자가 환자안전간호활동이 높았고, 근거기반실무역량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을수록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가 높았으며, 총 근무경력 15년 이상의 근무자가 15년 이하의 근무자보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이 높았다. 즉, 간호사는 근거기반실무역량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증진시키는 체계가 조성된 임상현장에서 환자안전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과 업무수행이 가능하며 이는 환자안전간호활동의 향상을 도모하므로, 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역량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증진을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linical nurses’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For this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71 nurses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from December 25, 2020 to January 31, 2021,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Participants were 31.72±8.01 years old, mostly female (94.2%), not married (71.3), with a bachelors’ degree (78.4%). Most of them worked in three shifts (89.5%), at surgery ward (33.3%), with a total of 8.30±8.32 years clinical experiences and 3.22±2.31 years of current department work experience. 95.3% of the participants had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while 73.7% had patient safety accident experience. 2. The average scores for variables were as follows: 4.61±0.72 scores for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3.44±0.43 scores f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2.37±0.45 scores for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4.57±0.44 scores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3. Participants who had master's degree had higher scores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compared to those who had bachelor's degree(t=-2.62, p=.010). 4. The subject’s patient managemen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cognition of their own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r=.34, p<.001)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36, p<.001). 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participant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nurse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working three shifts (β=.24, p=.003), level of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β=.23, p=.03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β=.20, p=.048), and years of clinical experiences (β=-26, p=.003). In summary,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cogni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mong clinical nur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ystem which promotes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ould be proposed increas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by clinical nurs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inform researchers to develop measures for the quality of futur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