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에서의 도시 소공원 공간디자인 연구

Title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에서의 도시 소공원 공간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of Urban Pocket Park from the Viewpoint of Landscape Urbanism
Authors
김미혜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공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현중
Abstract
현대의 복잡한 도시 공간에서 소공원은 경제적으로 녹지 불균형을 해소하고 도시환경을 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닌 공간이다. 조경은 픽처레스크적 정태적 풍경 개념이 아닌 도시를 형성하는 기반이 되는 매체로 부상하였으며 조경 영역은 도시의 장식적인 요소만 다루던 과거와 달리 도시설계의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바탕으로 조경과 도시의 경계를 허무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대두되었다. 소공원은 생활권에 인접하여 도시와의 직접적 상호작용이 가능한 공간이므로 대상지 위주의 설계가 아닌 주변 환경이 고려된 섬세한 설계가 필요하다. 도시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해 소공원은 도시로부터 고립된 ‘그림 같은 공원’을 탈피할 필요가 있으며, 도시와 융화될 수 있는 개방적 구조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소공원은 녹지면적의 양적 증가에만 집중하여 픽처레스크적 조경 개념을 탈피하지 못한 일률적 디자인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소공원 디자인에 있어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적 관점 반영의 중요성을 제언하고, 소공원 디자인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2021년 발표된 연구자의 학술지 논문인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특성에 의한 도시 소공원 고찰” 일부를 수정 및 발전시킨 것으로,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Ⅰ장에서는 국내 소공원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가치를 설명하고, 연구 범위 및 방법과 같은 연구체계를 서술하였다. Ⅱ장에서는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해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과 소공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주요특성과 도시공간에서 소공원이 가지는 가치를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앞서 도출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주요특성을 바탕으로 선진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사례분석을 통해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에 의한 도시 소공원 디자인 기준을 설정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목적에 적합한 대상지를 선정하고 대상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목표를 정립하고 디자인을 전개하였으며,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이 반영된 디자인 최종안을 제시하였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기존의 근대적인 ‘이상적인 자연’을 탈피하고 도시와 조경, 건축의 경계를 흐린다. 탈중심화가 가속화되며 도시를 완결된 형태가 아닌 동적 프로세스로 인식하는 방향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이상적인 자연을 옮겨와 도시의 오아시스로 인식되던 도시공원에 대한 인식 또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원의 형태도 기존의 옴스테드식 공원처럼 도시와 분리된 자연이 아닌 도시 시스템의 일부로서 도시와 구분되지 않고 연속성을 가지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공원과 도시의 경계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소공원은 대형 공원에 비해 경제적 조성이 가능하고 도시와의 상호작용 또한 활발히 일어날 가능성을 가진 공간이다. 그러나 국내 소공원은 아직 픽쳐레스크적 양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일률적인 디자인을 보이며 도시와 단절되어 있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적 관점에서의 도시 소공원 연구는 단절되어 있는 도시와 소공원의 연속성을 높이며 개성 있는 도시공간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추후 다른 분야와의 협업을 통해 구체적인 디자인 방향 모색이 이루어진다면 질적으로 향상된 도시환경의 형성하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In modern urban spaces, pocket parks are valuable spaces that can solve the green imbalance economically and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qualitatively. Landscape emerged as a medium for forming city, not as a static concept of picturesque landscape. As a result, the landscape area was expanded to the area of urban design, unlike in the past, when only decorative elements of the city were dealt with. Based on this paradigm shift, Landscape Urbanism has emerged that breaks down the boundaries of landscaping and cities. Pocket parks are located in the living area and allow direct interaction with the city, so they need a delicate design conside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not a target-oriented desig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urban environment, pocket parks need to break away from the "picture-like parks" isolated from the city and be designed with an open structure that can integrate with the city. Currently, however, pocket parks in Korea have shown uniform designs that have failed to deviate from the concept of picturesque landscaping, focusing only on quantitative growth in green a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reflecting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Urbanism in designing pocket parks in Korea, and to propos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ocket park design. The study was a revision and development of some of the researchers' journal papers published in 2021, "A Study on the Urban Pocket Park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Urbanism", which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ss. The chapter I describes the overall status and problems of pocket parks in Korea, the value of Landscape Urbanism, and describes research systems such as research scope and methods. The chapter II conducts theoretical researches of Landscape Urbanism and pocket parks through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studi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Urbanism and the value of pocket parks in urban space. In Chapter Ⅲ,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ly derived Landscape Urbanism, which established the urban pocket park design standard by Landscape Urbanism. In Chapter Ⅳ, a target site suitable for research purposes was selected and the target site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is, the design goal was established and the design was developed, and the final design proposal was presented that reflected the Landscape Urbanism perspective. Landscape Urbanism breaks away from the traditional modern 'ideal nature' and removes the boundaries between urban and landscape and architecture. As decentralization accelerates, the paradigm shifts in recognizing cities as dynamic processes rather than finished forms. Thus, the perception of urban parks, which had been recognized as an oasis of the city, has also changed. As a result, the form of the park is changing into a continuous form, not distinct from the city,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 park and the city are gradually disappearing. Pocket parks are more economical than large parks, and they are more likely to have active interactions with cities. However, pocket parks in Korea are cut off from the city with a uniform design, unable to deviate from the picturesque style. The study of urban pocket parks from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urbanism can enhance the continuity of cities and parks an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unique city. Furthermore, if specific design direction research is conducted in collaboration with other fields in the future, it could serve as the foundation for the formation of a qualitatively improved urban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