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불안을 마주하다

Title
불안을 마주하다
Other Titles
Facing Anxiety
Authors
윤주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본 논문은 제대로 마주하지 못했던 연구자의 내면의 불안한 감정을 직시하고 이를 조형작품으로 표현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내면에 항상 자리잡고 있던 불안의 감정을 오랜 시간 외면해 왔다. 하지만 외면하려고 아무리 애를 써도 이 불안은 사라지지 않았고 오히려 더 부풀어 오른 상태로 연구자 앞에 나타났다. 연구자는 더 이상 감정을 외면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불안의 원인을 찾기 시작하면서 이를 마주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칼 야스퍼스(Karl Theodor Jaspers)의 한계상황 개념을 살펴보았다. 야스퍼스는 인간이 한계상황을 겪는 것은 필연적이며, 한계상황을 마주함을 통해 실존으로써 존재한다고 말한다. 즉, 한계상황을 통해서 인간은 자기의 존재를 의식하게 되고 자신의 존재방식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게 되다는 것이다. 나아가 판 하네프(Arnold Van Gennep)와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리미널리티(Liminality) 개념을 통해 감정의 경계에 대해 연구했다. 리미널리티 개념은 통과의례의 ‘분리, 전이, 통합’에서 ‘전이’에 해당되며, 여기서 ‘전이’는 문지방(threshold)이라고 불리기도 하고 연결과 동시에 분리하는 경계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한계상황의 연구를 통해 불안을 적극적으로 마주하였고, 리미널리티 개념 통해서 경계의 감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연구자의 불안의 이유를 한계상황에서 찾고, 리미널리티를 통해서 불안의 고조와 소강의 사이를 연구하고 적극적으로 이를 마주하고 작품으로 시각화하는 과정을 통해 불안으로부터 자유로워 지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내면의 감정의 고찰은 예술이라는 매개를 통해 효과적으로 드러난다. 따라서 한계상항과 리미널리티의 단계를 적극적으로 드러낸 작가들의 작업을 먼저 살펴보았다. 이들의 작업을 살펴본 후에 외면하고 싶은 감정을 마주하는 방법과 그 감정의 경계를 시각화 하고 구체화 하는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불안의 감정을 시각화 하는 작업을 통해 외면해 왔던 감정을 마주하고자 한다. 감정을 직시함으로써 연구자가 겪고 있는 불안이 누구나 겪는 것이기에 충분히 극복 가능한 감정이며 두려워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불안으로부터 자유로워 질 수 있었고 감정이 완전하지 않아도 온전할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연구과정에서 손에서 시작되어 흙으로의 완성이 연구자가 감정을 마주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이며, 그런 면에서 도자 작업은 연구자의 감정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매체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비로소 ‘나’를 그대로 받아드릴 수 있게 되었다. 회피해 왔던 부정적 감정을 마주하는 과정을 통해서 연구자는 불안한 감정을 그대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러한 감정은 누구나 겪는 것이며 불안을 받아들이는 것이 실존으로써 존재하기 위함에 그 의미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리고 불안한 감정의 고조와 소강의 경계에 위치해 있음을 인지하고 이 또한 내면의 안정을 찾기 위한 과정 중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앞으로도 또다시 마주하게 될 한계상황으로부터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임으로써 좀 더 안정적이고 온전한 자아를 확립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e the inner anxiety of the researcher which have not been properly confronted, but by expressing them through sculptures she could finally face the emotion. The researcher has been avoiding the feelings of anxiety that has lingered somewhere inside. However, no matter how hard she tried to avoid it, the anxiety did not go away but rather appeared in front of the researcher in a more swollen state. The researcher realized that she could no longer turn away from the emotions. Therefore, the researcher tried to face them in order to find the reason of this anxiet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looked at Karl Theodor Jaspers' concept of limit situation. Jaspers states, it is inevitable for humans to face limitations and that they exist through encountering it. In other words, through limit situation, humans become aware of their existence and can choose their own way of being. Furthermore, the researcher studied the boundaries of emotion through Arnold Van Gennep and Victor Turner's concept of liminality. The concept of "liminality" corresponds to "transfer" in the "separation, transition and integration" of the rite of passage, where "transfer" is sometimes called a threshold and serves as a boundary which connects and separates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researcher actively faced anxiety through the study of limit situation, and the concept of liminality allowed them to consider the boundaries of emotion. This paper aims to find the reason for the researcher's anxiety in limit situation and studies the boundary between the heightened and lulled emotion. By this study the researcher faced the anxiety and definitize this boundary. This inner reflection of emotion is effectively revealed through the medium of art. Therefore, the researcher first looked at the work of artists who actively revealed the liminality. After looking at their works, she realized the way of facing the emotion and specify and visualize the boundaries of emotion.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the researcher encountered emotions by visualizing emotions of anxiety that have been shunned. By confronting the emotion, she realized that the anxiety experienced is not personal situation. Rather, it is experienced by everyone in general and can be overcame by anyone, thus there is no reason to be afraid. Through the process, the researcher was able to be free from anxiety and accepted that emotions fully. In this respect, ceramic work has become a suitable medium for expressing researchers' emotion. The study reveals that the researcher was able to accept herself fully. By this process of confronting negative emotions that have been avoided, she was able to manage anxiety. The researcher realized that these feelings can be experienced by anyone and accepting anxiety was meaningful to exist as the actual existence. And recognizing the emotional border of the anxiety leads to the process of finding inner stability. As a result, the researcher was able to establish a more stable and intact self by accepting oneself as it 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