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2 Download: 0

도시 공공미술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Title
도시 공공미술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irection for city of public art : Focusing on Pavilion
Authors
송지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본 연구는 동시대 미술의 영역에서 주목받고 있는 임시 건축물 파빌리온을 도시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실존 방식을 통해 분석하여 도시 공공미술로서의 유효성을 도출하고 그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동시대 미술에 있어 파빌리온은 2000년 이후부터 모더니즘 미술의 견고한 벽을 허물고 대중과의 소통 가능성을 통해 미술관과 같은 예술기관의 마당에 설치되기 시작했다. 미술관으로부터 파생된 파빌리온 프로젝트는 이제 시 단위로 진행되는 지역 중심의 공공미술 프로젝트에도 도입되고 있다. 파빌리온이 세계 다양한 도시에서 예술작품이자 지역의 쟁점을 표출할 수 있는 공공미술로 기능하기까지 기존의 공공미술은 역동적인 담론의 변화를 거쳐 왔다. ‘도시 계획 속의 미술(Art in Urban Design)’, ‘공공장소로서의 미술(Art as Public Place)’, ‘공적 관심의 미술(Art in Public Interest)’ 등 1960년대 태동부터 수많은 분류 기준을 낳은 공공미술의 변천사는 변화의 지점마다 제기되어 온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발전사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는 아직까지도 공공미술이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남아있는 상황 속에서 세계 여러 도시를 중심으로 성행중인 파빌리온 프로젝트가 이전까지 공공미술과는 다른 행보를 보여주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기존 공공미술의 근원적인 문제점을 고찰하고 대안으로서 새로운 공공미술의 방향성 제시를 위해서는 도시라는 물리적 장소를 기반으로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실존 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모던 경관 분석에 뛰어난 통찰을 보였던 인문지리학자 에드워드 랠프(Edward Relph)의 장소론과 사회학자 미셸 마페졸리(Michel Maffesoli)의 포스트모던 사회론은 본 연구에 있어 유의미한 방법론으로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랠프에게 있어 장소는 인간 실존의 근원이다. 장소경험은 일상적인 생활세계를 구체적으로 경험하는 과정이며 이는 곧 인간의 실존을 이룬다. 랠프는 현대인들이 다양한 요소들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장소의 본질을 보지 않고 관습적이고 폐쇄적인 태도를 통해 장소를 창조하고 경험함에 따라 장소로부터 소외되는 ‘뿌리 뽑힌 삶’을 살아간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랠프가 주장했던 고정적인 장소에 뿌리박힌 인간의 실존 방식은 마페졸리의 포스트모던 사회의 공동체 차원의 순간적인 경험을 통한 실존인 ‘역동적인 뿌리내림’으로 전환된다. 인간의 실존에 있어 장소는 여전히 필요한 것이지만 장소와 개인의 관계에서 장소와 집단의 관계로의 이행이 일어남에 따라 장소를 전제로 현존하는 타자와의 관계가 더욱 중요해진 것이다. 이제 도시적 삶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활성화된 개인의 다양한 정체성들이 일시적이면서 산발적으로 뿌리내림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렇게 방랑과 정주라는 양가적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실존 방식을 통해 공공미술의 새로운 방향성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시의 공공미술은 전체 속에서 소모 되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으로써 부족의 일원이 되어 개인의 다양한 정체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이이어야 한다. 또한 도시 공공미술은‘떠 있는 영토’로서 일시적인 부족들을 형성하여 도시를 유기적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두 이론가를 통해 알 수 있는 도시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실존 방식의 변화는 ‘장소-특수성’의 원칙이 적용된 초기의 공공미술에서부터 최근의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로 물리적 장소에서 공동체로 담론의 이행이 일어난 것과 연관지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배경으로 가변성, 임시성, 융통성이라는 특성을 가진 파빌리온이 물리적 제약에서 벗어나 다양한 사회·문화적 심층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세계의 도시와 상응을 이루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에 주목하고자 한다. 박람회와 함께 발전한 파빌리온은 기능적인 건축 이상의 예술작품으로서 지위를 획득하고 도시의 다양한 개인과 공동체를 포용할 수 있는 공공성을 함께 심화해왔다. 나아가 아트 파빌리온의 시초인 런던의 서펜타인 갤러리의 사례를 통해 지역 주민, 그 지역을 생활권으로 삼는 사람들, 한시적으로 머무는 관광객 모두를 아우르면서 도시와 그들을 이어주고 있는 모습을 통해 ‘장소-특수성’과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모두를 아우르는 공공미술로서 가능성을 고찰해보았다. 이어서 미술관의 아트 파빌리온 이후 도시를 중심으로 성행하게 된 파빌리온 프로젝트의 도시 공공미술로서 효용성을 도출하고자 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본 논문은 국내 서울의 다양한 지역의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진행한《『서울은 미술관』》과 안양시를 중심으로 공공미술을 통한 도시재생에 새로운 지평을 연《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APAP》,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MoMA PS1과 파트너를 맺어 진행하는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YAP》의 파빌리온을 도시와의 상관성 속에서 분석하여 도시 공공미술로서 효용성을 도출하고자 했다. 파빌리온은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위치, 경관, 공동체와 같은 장소의 본질을 성찰한 장소를 창출함에 따라 도시와 상생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파빌리온의 그 도시만의 장소 정체성을 형성하는 ‘장소-특정적’공공미술의 성격은 임시 건축물의 특성을 통해 장소를 재화로 환원하여 구별적 특징을 부여하는 것이 아닌 ‘의식의 힘’을 반영한 장소를 만들기를 실천한다. 이처럼 다양한 개인과 집단을 향해 개방된 장소는 곧 마페졸리의 ‘떠 있는 영토’의 가능성을 내재한 장소가 된다. 이 때 파빌리온은 기존의 ‘장소-특정적’원칙을 적용한 공공미술과 달리 설치와 철거가 용이한 특성을 통해 장소를 점유하는 것이 아닌 도시의 순환을 꾀하는 가변적인‘장소-특정적’공공미술이다. 건축 매체이면서도 뚜렷한 기능과 목적을 가지지 않는다는 특성은 신체를 이용한 작품 경험을 선사하고 타 장르와의 협업이 용이하다는 특이점을 가진다. 이와 더불어 관람자의 신체를 이용한 참여를 유도하는 다양한 활동들은 기존의 공공미술과 달리 끊임없이 이동하며 살아가는 다원적 주체로서 개인의 다양한 정체성을 활성화시키는 장이 된다. 이러한 물리적이고 감각적인 경험은 관람자들 간의 촉각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이 때 형성된 소규모 집단이 도시를 유기적으로 이어주는 요소로 기능하며 파빌리온은 ‘떠 있는 영토’가 된다. 이를 통해 파빌리온은 공동체의 참여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의 측면을 보이면서도 대상을 지역 주민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닌 누구에게나 열린 도시 공공미술로서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해준다. 이렇게 파빌리온은 방랑과 정주라는 양가적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실존적 태도를 통해 도출된 공공미술의 새로운 방향성과 도시의 공공미술은 전체 속에서 소모 되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으로써 부족의 일원이 되어 개인의 다양한 정체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이이어야 한다는 역할을 수행한다. 나아가 임시 건축물이라는 매체 특성을 통해 실현할 수 있었던 도시차원의 효용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모호했던 건축의 영역에서 기존 건축의 대안적 행보를 보여줌에 따라 건축의 확장을 이루는 매체였던 파빌리온이 도시 공공미술로 조명받기까지의 구체적인 배경과 공공미술로서의 가능성, 나아가 도시 공공미술이 지향해야할 지점을 고찰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이렇게 도출된 도시 공공미술의 지향점은 추후 공공미술의 방향성 또한 제시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effectiveness as urban public art by analyzing the temporary pavilion,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existential method of modern people living in the city, and to suggest a new direction. In contemporary art, pavilions began to be installed in the yards of art institutions such as art museums through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by breaking down the solid walls of modernist art since 2000. The pavilion project, which was derived from the art museum, is now being introduced into a city-based, regional public art project. As such, until the pavilion functions as a work of art in various cities around the world and as a public art that can express local issues, the existing public art has undergone dynamic discourse changes. The history of the evolution of public art, which has given rise to numerous classification criteria since its inception in the 1960s, such as 'Art in Urban Design', 'Art as a Public space', and 'Art in the Public interest', is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efforts to overcome problems that have been raised at each point of change. can be understood as The researcher wants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pavilion project, which is popular in many cities around the world, is showing a different path from public art in the situation where public art still remains a problem to be solved. In order to consider the fundamental problems of existing public art and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public art as an alternativ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way of existence of modern people living in the physical place of the city. The place theory of Edward Relph, a human geographer, who showed excellent insight in analyzing modern landscapes, and the postmodern social theory of sociologist Michel Maffesoli can be introduced as meaningful methodologies in this study. For Ralph, place is the source of human existence. Place experience is a process of concretely experiencing the everyday world of life, and this constitutes human existence. Ralph points out that modern people live an “rootedness life” that is alienated from places as they create and experience places through a conventional and closed attitude without seeing the essence of a place made up of various elements. However, the method of human existence rooted in a fixed place as argued by Ralph is transformed into a dynamic rooted existence through the instantaneous experience of the community level of Mapesoli's postmodern society. Although place is still necessary for human existence, as the transitio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nd individual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nd group takes place,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existing on the premise of place becomes more important. A new approach to the public can be derived through urban life in which various identities of individuals activated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temporarily and sporadically take root. In this way, a new direction of public art can be derived through the existential way of modern people who live an ambivalent life of wandering and sedentary life. Urban public art should be a place where various identities of individuals can be activated by becoming a member of a tribe as human instinct to be consumed in the whole. This is a 'floating territory' that organically connects cities by forming temporary tribes. The change in the way of existence of modern people living in the city, which can be seen through the two theorists, is the transition of discourse from the physical place to the community from the early public art where the principle of 'site-specific' was applied to the recent 'new genre public art'. You can relate it to what happened.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the appearance of the pavil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ility, temporaryness, and flexibility, freeing from physical constraints and matching with the city of the world where various social and cultural depths are intricately intertwined. The pavilion, which developed along with the exposition, has acquired status as a work of art that is more than a functional architecture, and has deepened its publicness to embrace the city's diverse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ccordingly, through the case of the Serpentine Gallery in London, the beginning of the art pavilion, the 'site-specific' and The possibility of 'new genre public art' as public art encompassing all was considered. Next, after the art pavilion of the art museum, the pavilion project, which became popular in the city, tried to derive its utility as an urban public art.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thesis is 《Seoul is Art Museum》, which carried out public art projects in various regions of Seoul, and 《Anyang Public Art Project: APAP》, which opened a new horizon for urban regeneration through public art centered on Anyang ,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in partnership with MoMA PS1, analyzed the pavilion of 《Young Architect Program: YAP》 in its correlation with the city to derive its utility as an urban public art. As the pavilion creates a place that reflects the essence of the place, such as location, landscape, and community, which appear differently in each region, coexistence with the city could be seen. The nature of 'place-specific' public art that forms the identity of the city's unique place in the pavilion is a place that reflects 'power of consciousness' rather than giving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by reducing the place to good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ry buildings. A place open to various individuals and groups in this way becomes a place with the inherent potential of Mapezoli's 'floating territory'. In this case, the pavilion is a variable 'site-specific' public art that seeks circulation of the city rather than occupying a plac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easy installation and removal, unlike public art that applies the existing 'place-specific' principle. Although it is an architectural medium, the characteristic that it does not have a distinct function and purpose has the peculiarity of providing an experience of works using the body and easy collaboration with other genres. In addition, various activities that induce participation using the viewer's body serve as a venue for activating the individual's diverse identities as a pluralistic subject who constantly moves and lives, unlike the existing public art. These physical and sensory experiences form a tac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ers, and the small group formed at this time functions as an element that organically connects the city, and the pavilion becomes a 'floating territory'. Through this, the pavilion shows the aspect of a “new genre public art” centered on community participation, while presenting a new direction as an urban public art that is open to anyone, rather than limiting the subject to local residents. Based on this study on the existence of modern people living on the premise of the cit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urban public art aspect of the pavilion that could be developed in various cities and regions around the world. Also, the utility at the city level that could be realized through the medium characteristics of temporary buildings was considered and the possibility was confirmed.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s the specific background until the pavilion, which was a medium for architectural expansion, was illuminated as urban public art, as well as its potential as public art, as well as urban public art by showing alternative steps to existing architecture in the ambiguous realm of architecture. It is meaningful that it considered the point to be directed.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the direction of urban public art derived in this way can also suggest the direction of public art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