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9 Download: 0

질베르 시몽동(G. Simondon)의 기술-미학에 관한 연구

Title
질베르 시몽동(G. Simondon)의 기술-미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chno-aesthetics of Gilbert Simondon
Authors
장문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일호
Abstract
본 논문은 질베르 시몽동(Gilbert Simondon, 1924-1989)의 독창적 개체화론에 기반을 둔 기술철학과 ‘기술-미학(techno-esthétique)’이라는 새로운 사유 영역에 관한 연구이다. 오늘날 국내외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예술과 기술의 융합 현상에 주목하면서 두 영역 간의 역사적 전개를 고찰한 뒤 동시대 작가들의 작업을 기술-미학의 사유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시몽동의 사유는 학제적 구분을 넘어서는 유비적인 통찰과 백과사전적 종합을 통해 전체를 탐구하는 시각이 특징적이다. 특히나 양립 불가능하고 불일치하는 것들 사이를 연결하고 소통하며 공존 가능하게 하는 ‘관계’에 주목한다. 실재의 영역에 대한 일반적인 탐구가 개별적이고 개체화된 실재를 바라봤던 것과 달리, 시몽동은 관점을 변환시켜 결과적으로 주어진 구조나 형태가 아닌 그러한 결과를 발생시키게 된 과정 자체를 추적하고 실재 전체가 어떤 방식을 통해 분화되어 개체를 산출하게 되었는지 탐구한다. 발생의 과정과 관계에 주목하는 그의 태도는 기술과 미학의 영역을 논의함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유지되며 구분과 분리의 이원론적 사고가 아닌 유비적이고 통합적인 통찰을 향해 나아간다. 현대사회에 이르게 되면서 문화는 특정 방향이나 양식을 추구하고자 하는 경향성에서 벗어나 다양한 목소리를 가진 양식들이 각자의 가치를 지닌 채 공존하는 흐름을 형성하게 되었다. 위계적 가치관은 수평적으로 이동했으며, 이분법적 경계는 사라지고 사이를 연결하는 소통과 관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기술의 괄목할 만한 발전은 삶을 반영하고자 하는 예술의 영역에서도 꾸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예술과 기술을 분리하던 과거의 예술론부터 통합적인 사고를 추구하는 동시대 기술과 예술의 융합의 현상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영역간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이고 이론적인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동시대 기술과 예술의 융합은 기존 예술의 태도에 단순히 기술적 도구가 추가된 것으로는 이해할 수 없으며 예술의 본성 자체를 다시금 정의하게 하는 개념적인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즉, 새로운 예술에 발맞추어 이를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미학적 사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술과 예술의 융합이 다채롭게 이뤄지는 동시대 예술경향을 적절하게 이해하기 위해 시몽동이 제시했던 기술-미학적 사유를 탐구하고자 한다. 시몽동은 기술과 미학을 인간과 자연, 그리고 세계와의 관계 안에서 고려하고자 했으며 두 영역의 분리불가능성을 주장했다. 따라서 예술작품 감상의 기준이 되는 감성과 미의 영역을 기술적 대상의 존재에게도 동일하게 적용하면서 각 영역이 가진 아름다움을 포착하고자 했다. 양립 불가능한 것들 사이의 관계에 주목했던 특징을 이어가며 기술과 미학의 관계에 있어서도 두 영역이 가진 접면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이질적인 것들 사이의 소통과 관계를 통해 기술과 융합한 예술이 세계와 인간의 삶에 어떠한 방식으로 삽입되어 그들만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드러내고 있는지 기술-미학의 사유를 통해 읽어나가고자 한다. 시몽동의 기술-미학적 사유가 동시대 예술의 본성을 설명하기에 유효하다는 점을 토대로 단 로세하르데(Daan Roosegaarde)와 올라퍼 엘리아슨(Olafur Eliasson)의 작업을 기술과 예술의 융합을 선보이는 동시대 예술 실천으로 제시한다. 시몽동이 제시하는 기술-미학의 관점들이 동시대 예술실천에서 확인되고 지속된다는 점과 그의 이론이 인간과 기술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 그리고 예술과 기술의 접면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예견하고 제시했다는 점에서 여전히 유효한 전략이며 유의미한 지점일 수 있다. 장르를 넘나드는 융합과 초연결의 시대에 걸맞은 그의 이론은 현 시대에 풍부한 영감과 적합한 개념적 도구를 제공하며 새로운 미학적 사유를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의 삶을 구성하는 하나의 환경이 된 기술과 삶을 반영하는 예술의 융합을 시몽동의 통찰력 있는 시각을 통해 분석하여 자연 세계와 인간의 삶에 삽입되어 있는 기술-미학적 관점을 탐구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based on Gilbert Simondon(1924-1989)’s original individuation theory and a new domain of though called techno-aesthetics(techno-esthétique). Noting the convergence of art and technology that is expanding at locally and abroad today, we will consider the historical development between two areas and analyze the work of contemporary artist through the thought and practice of techno-aesthetics. Simondon’s thoughts are characterized by a view that explores the whole through an encyclopedia and a preliminary insight beyond the interdisciplinary distinction. In particular, we note ‘relationship’ that connect, communicate and enable coexistence between incompatible and inconsistent things. Unlike the usual exploration of the real world looking at individualized and individualized reality, Simondon transforms the perspective to track the process itself resulting in such results, not a given structure or shape, and in what way the whole reality differentiates to yield objects. His attitude, noting the processes and relationships of occurrence, remains the same in discussing the realm of technology and aesthetics, and moves toward an analogical and integrated insight rather than dualistic thought of distinction and separation. As a result of reaching modern society, culture broke away from the tendency to pursue certain directions or styles and formed a trend in which styles with diverse voices coexisted with their values. Hierarchical values have shifted horizontally and dichotomous boundaries have disappeared,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linking between them is being highlighted. Along with these social changes, remarkable developments in technology have continued to exert influence in the art realm, which aims to reflect life. To fundamentally understand the convergence of contemporary technology and art that sought integrated thinking from the art theory of the past, histor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areas is needed. The blending of contemporary technology and art cannot be understood simply as the addition of technical tools to the attitude of existing art and calls for a conceptual change that redefined the nature of art itself.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new aesthetic reasons to understand and explain it in line with new art.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explore the techno-aesthetics thoughts presented by Simondon to properly understand the contemporary art trends in which the convergence of these technologies and arts takes place in a variety of ways. Simondon sought to consider technology and art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nature, world, and argues for the inseparability of technology and aesthetics. Therefore, the areas of sensibility and beauty, which are criteria for appreciating works of art, were applied equally to the technical objects to capture the beauty of each area. Furthermore, continuing the characteristics that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patible things, analyzed in-depth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area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aesthetics. Through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heterogeneous things, we want to read through the thoughts of techno-aesthetics how art fused with technology is inserted into the world and human life to reveal their unique beauty. Based on the face that Simondon’s techno-aesthetics thoughts are valid to explain the nature of contemporary art, the work of Daan Roosegaarde and Olafur Eliasson is presented as contemporary art that showcase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art. It may still be a valid strategy and a significant point that Simondon’s techno-aesthetics perspectives are identified and sustained in contemporary art, and that his theory foresaw and presented a new perspective on the ralationship between man and technology and the interface of art and technology. In line with the era of genre-crossing convergence and hyper-connectivity, his theory offers rich inspiration and appropriate conceptual tools for the present era and suggests new aesthetic reason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echnological and aesthetic perspectives inserted into the natural world and human life by analyzing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that has become an environment that constitutes human life through Simondon’s insightful perspec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