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9 Download: 0

음조직 구성이 다른 음악의 정서가 및 각성 수준에 대한 비교 연구

Title
음조직 구성이 다른 음악의 정서가 및 각성 수준에 대한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perceived valence and arousal among different textures in music
Authors
이선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 요소 중 하나인 음조직의 차이에 따른 감상자의 정서 지각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구글 설문지를 활용하여 모노포니, 호모포니, 폴리포니의 음악을 감상자에게 제공하였고 정서가, 각성, 정서적 역동감 및 선호도를 평가를 위한 11점 의미분별척도와 정서-색채 스펙트럼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19세-29세의 성인으로 온라인에서 모집하였고 135명이 참여하였다. 참여자는 설문지 내 포함된 음악 감상 과제를 수행하여 제출하였고 최종적으로 128명의 설문지의 데이터가 분석되었다. 결과 분석을 위해 먼저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시행하였고 이후 감상자를 전공 배경에 따라 음악 전공자 그룹과 비음악 전공자 그룹으로 나누어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음조직에 따라 정서가와 각성, 정서적 역동감의 지각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폴리포니 음악에서 가장 긍정적인 지각 반응이 나타났고 가장 높은 각성 수준과 가장 강한 정서적 역동감이 나타났다. 또한 폴리포니에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감상자 그룹을 음악 전공자 그룹과 비음악 전공자 그룹으로 나누어 음조직의 차이에 따른 그룹 간 정서 지각을 분석한 결과 각성과 정서적 역동감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근사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특히 호모포니와 폴리포니에서 비음악 전공자 그룹에 비해 음악 전공자 그룹의 각성 수준과 정서적 역동감이 크게 증가되었다. 음조직의 차이에 따른 그룹 간 선호도에서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음조직의 차이에 따라 감상자의 정서 지각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음악 내 음조직의 변화가 정서 반응을 유도하는 것에 대한 기초 근거 자료를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perceived emotion among different textures in music. To this end, the musical stimuli were composed of three textures divided into monophony, homophony, and polyphony.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to 135 participants between the ages of 19-29 years old. After listening to each musical stimuli, participants rated their responses on the 11-point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that examined the three dimensions of valence, arousal, and potency of emotion, in addition to preference. Individuals also chose color that was consistent with each musical stimuli on Affect Color Matching Spectrum. The data of 128 individual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repeated measure ANOVA, and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between two groups: non music and music majors.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isteners perceived polyphony as the most positive, the highest energy level and the strongest among the three textures. The scores of three dimensions rose significantly in order of monophony, homophony, and polyphony. The highest level of preference was also shown in polyphony. Secon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at an approximate level between music majors and nonmusic majors according to the different texture in two dimension, arousal and potency. Music majors perceived increased level of arousal and intensity of potency in homophony and polyphony compared to nonmusic majors. In addition,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also observed in preference. In conclusion, a listener’s emotional perception can be affected by change of texture in music and is anticipa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theoretical foundation for using texture in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