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트라우마 장소의 기억 보존 방안으로서 예술에 관한 연구

Title
트라우마 장소의 기억 보존 방안으로서 예술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rt as a way to preserve the memory of traumatic places : Based on the concept of ‘Cultural memory’ by Aleida Assmann
Authors
신지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본 논문은 과거 트라우마의 사건이 일어난 장소에 설치된 예술이 과거를 기억하는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설치미술이 기억의 매체로서 가지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기억의 매체로서 ‘설치미술’과 ‘장소’가 기능하는 방식에 주목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20세기는 전쟁, 학살, 테러 등의 비극적 사건이 발생한 격정과 혼란의 시기였으며, 한국 또한 마찬가지로 식민지 지배, 전쟁, 분단, 국가폭력 사건들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우리 사회에 지워지지 않을 트라우마를 남겼다. 비극적 사건이 일어났던 장소들은 과거의 기억이 잠재된 장소로, 사건에 대한 연구에서 중요한 대상으로 여겨진다. 이런 연유에서 장소를 보존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되었으며, 장소를 보존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 해당 사건이 발생한 장소에 추모지와 기념관 같은 기념시설을 세우는 방안이 실천되었다. 그러나 추모지화가 진행된 장소들은 장소의 파괴를 피할 수 없었으며, 장소의 기억이 상실 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또한 추모지화 이면에는 기억과 망각의 정치성이 작용하기 때문에 기억의 왜곡과 은폐의 위험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장소의 추모지화와 더불어 장소의 기억을 보존하기 위한 대안적인 매체가 필요함이 요구되었다. 본 논문은 알라이다 아스만의 논의를 통해 ‘설치미술’과 ‘장소’가 기억의 매체로서 작동하는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설치미술이 장소의 기억을 보존하기 위한 대안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억 예술가들이 설치미술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행하는 기억에 대한 성찰과 잠재된 트라우마를 가시화 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은 추모지화에 내재된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유효한 특징으로 사료된다. 국내 트라우마의 장소 연구 대상으로는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정치적 상황 아래에서 국가폭력이 자행된 장소로, 현재는 트라우마의 장소로 남게 된 구 남영동 대공분실과 구 국군광주병원으로 선정하였다. 두 장소에서 발생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장소의 기억을 살펴보고, 예술가들이 이 장소의 기억을 어떻게 시각적으로 표상시키고, 문화적 기억으로 이행시키는지 확인하였다. 트라우마의 장소에 설치된 예술은 장소의 기억을 다양한 표상 방식을 통해 시각화하고 있었다. 예술가들은 사회가 직면한 장소의 파괴와 장소의 기억이 상실될 위기 직전에 장소에서 행할 수 있는 마지막 기억술을 펼치는데, 이를 통해 비실체적인 장소의 기억은 예술의 실재성에 의존하여 다음 세대로의 전승 가능성을 지니게 되었다. 더 나아가서는 설치 미술은 현재의 시간까지 포괄하는 새로운 문화적 기억을 만들어 냄으로써 우리 사회의 망각을 지연시키도록 기능하였다. 본 논문은 설치미술의 이러한 특징에 입각하여 트라우마의 장소에 설치된 작품은 단순히 일회적 사건으로서 발생한 장소 특정적 예술이 아니라, 장소의 기억을 보존하는 기억의 매체로서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installation art has as a medium of memory by observing how art installed in places where traumatic incidents have occurred in the past.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this, Assmann’s concept of ‘cultural memory’ was introduce, and among them, it was noted that ‘place’ and ‘installation art’ function as a medium of memory. Around the world, the 20th century was a period of confusion and chaos when tragic incident such as war, genocide, and terrorism occurred. Korea also experienced colonial rule, war, division and national violence. Such experiences have left indelible trauma in our society. Traumatic places are places where memories of the past are latent, it was considered an important subject in the study of the incident. Preserving the place has become an important problem, and as a representative way to preserve the place, it was practiced to establish memorial facilities such as memorial sites and memorials at the place where the incident occurred. However, the places where the memorial sites were established could not avoid destruction of the places, and faced a situation in which the memory of the place was inevitably lost. In addition, there was a risk of distortion and concealment of memory because the politics of memory and behind the commemoration place. For this reason, an alternative medium was required to preserved of the memory of pla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installation art can function as an alternative to preserving the memory of the place by examining the way ‘installation art’ and ‘place’ operate as a medium of memory through the discussion of Aleida Assmann. Forming a space visualizes memory reflections and latent trauma perfomed by memory artist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installation art is considered a valid feature that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inherent in memorial paintings. The site of trauma in Korea was selected as the site of the former Namyeong-dong Anti-Communist Investigation Office and the former Armed Forces Gwangju Hospital, which were the places where national violence was perpetrated under the political situations of the 1970s and 1980s and which remain as places of trauma. After examining the memory of the place focusing on the events that occurred in the two places, I analyzed how the artists visually represent the memory of the place and transfer it to the cultural memory. The art installed in the traumatic place visualized the memory of the place through various representation methods. The artists performed the last arts of memory at the place just before the destruction of the place that society faces and the crisis of the memory of the place being lost. In this process, the memories of non-substantial places depend on the reality of art and have the possibility of being transmitted to the next generation. Furthermore, installation art functions to delay our society’s forgetfulness by creating new cultural memories that encompass the present time. Works installed in the place of trauma are not just site-specific art that occurred as a one-time event, but show the possibility that they can function as a memory medium that pereserves the meemory of the pla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