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0 Download: 0

노인 생애단계별 삶의 질 다중궤적 연구

Title
노인 생애단계별 삶의 질 다중궤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quality of life multiple trajectories by life stage for older adults
Authors
이선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본 연구는 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사회 전반에서 노인의 삶에 대한 학문적, 정책적 관심은 증대하였지만, 이들 삶의 개별성에 기초한 통시적 연구는 부족하다는 문제 인식 하에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애과정 관점에서 노인 생애단계별 이질성에 기초하여, 삶의 질의 다차원적 개념을 바탕으로 그 변화과정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도모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기존 논의에서 협소한 범주로 논의되었던 노인의 생애과정에서 생애단계를 예비노인, 전기노인, 후기노인으로 세분화하여, 삶의 질의 변화를 경험적으로 규명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연구패널 2008년 제2차 자료부터 2018년 제7차 자료까지 약 10년에 걸친 자료를 활용하여, 2008년 기준 예비노인(55세~64세), 전기노인(65세~74세), 후기노인(75세 이상) 총 3,97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안점으로 둔 생애단계별 이질성과 궤적 유형화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분석방법으로, 집단중심 다중궤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질을 구성하는 하위 영역을 중심으로 10년간의 시계열 변화를 절대적 수준과 생애단계별 차이의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전체 노인의 하위 영역별 삶의 질 수준은 전 시점에서 건강, 가족 및 사회적 관계, 사회참여, 경제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중 사회참여 및 경제 영역의 삶의 질은 앞선 두 영역에 비해 절대적으로 그 수준이 낮았다. 생애단계별 진입시점(2차년도)을 기준으로는 전 영역에서 예비노인, 전기노인, 후기노인 순으로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가족 및 사회적 관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생애단계별 삶의 질 수준은 시계열적으로도 유지되었다. 생애단계별(예비노인-후기노인) 차이는 진입시점을 기준으로 사회참여, 경제, 건강, 가족 및 사회적 관계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생애단계별 삶의 질의 종단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집단중심 다중궤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노인이 전기노인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삶의 질 궤적은 총 4개의 유형으로 도출되었고, 건강 호전형, 경제 안정형, 저수준 유지형, 고수준 유지형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건강 호전형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한편 전기노인이 후기노인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삶의 질 궤적은 총 5개의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다중 저하형, 참여 향상&경제 저하형, 건강․관계 저하형, 저수준 유지형, 경제 안정형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다중 저하형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후기노인기의 과정에서 삶의 질 궤적은 총 4개의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참여 향상&경제 저하형, 건강․관계 저하형, 다중 저하형, 저수준 유지형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참여 향상&경제 저하형에 가장 많은 후기노인이 포함되었다. 셋째, 노인 생애단계별 삶의 질 다중궤적 유형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축적된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련의 삶의 질 시계열 분석결과는 연령효과(age effect)와 기간효과(period effect)가 교차됨을 시사한다. 연령효과는 전 영역에서 발견되나, 특히 노화과정과 직결된 건강 영역 및 가족 및 사회적 관계 영역에서 두드러진다. 기간효과는 사회참여 영역과 경제 영역에서 두드러지며, 우리사회의 정책적 관심과 지원 여하에 따른 생애단계별 차이를 입증하였다. 둘째, 생애단계별 삶의 질 다중궤적 분석을 통해 노인은 동질적 집단이 아닌 삶의 주요 영역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화되는 이질적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연령증가에 따라 낮은 수준의 삶의 질을 나타내는 정책적 관심 요구 집단이 증가한다는 점에서, 향후 노인복지정책 방향성 설정시 이를 염두에 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삶의 주요 영역별 분화시기 및 속도의 차이가 생애단계를 관통하여 발견되었다. 셋째, 생애단계별 도출된 삶의 질 다중궤적 유형별로 상이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나타나, 향후 생애단계별로 경험하는 변화와 주요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맞는 접근이 모색되어야 함을 주지하였다. 일련의 논의에 기반하여 향후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향점과 세분화된 생애단계별 접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우선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방향 수립은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노년기 생애단계를 기반으로 한 접근이 기본 전제가 되어야 한다. 즉 노년기 전체를 하나의 단계로 보고 접근하기 보다는 예비노인과 전․후기 노인간 정책적 방점을 달리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호역동적으로 나타나는 삶의 주요 영역의 변화를 고려하여야 한다. 둘째, 노년기의 각 생애단계가 지니는 고유성에 대한 이해와 노년기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삶의 경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목표 설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같은 정책 방향성 설정을 기반으로 노인 생애단계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개입방안은 다음과 같다. 노년기 전 생애단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요 영역별 삶의 질 저하 속도를 낮추기 위한 접근과 함께, 장기적 관점에서 삶의 질 취약집단에 대한 우선적 개입이 모색되어야 한다. 나아가 예비노인에 대해서는 예방적, 사전적 차원의 개입이 이루어져야 하며, 건강관리 서비스 강화, 법정 정년까지 일할 수 있는 환경 마련, 다양한 수요를 반영한 노후준비 서비스 개발, 소득보장제도의 내실화를 바탕으로 한 경제적 노후준비 등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전기노인에 대해서는 현재의 삶의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는 개입이 이루어져야 하며, 적극적인 만성질환 관리와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다각화, 사회참여와 관계망 증진의 유기적 개입, 소득감소에 대처할 수 있도록 노후준비 교육 및 서비스 연계가 강화되길 제안한다. 후기노인 역시 현재의 삶의 수준을 보완하면서 후기노년기를 건강하게 보낼 수 있도록, 방문형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 강화, 건강수준을 고려한 사회참여 지원, 건강 및 관계 증진을 위한 통합적 개입, 절대 빈곤 해소를 위한 정책 대안 마련이 긴요하다. 그간 사회의 고령화에 주목함으로써 개인의 고령화에 대한 관심은 최근에 들어 가시화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길어진 생애주기 하에서 노년의 생애단계를 구분한 종단적 논의는 풍부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같은 측면에서 본 연구는 기존 담론 수준에 머물렀던 논의에서 진일보하여, 생애단계별로 경험하는 삶의 맥락 속에서 비선형적으로 발현되는 삶의 질의 변화 양상을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re exists a lack of conventional research based on the individuality of the lives of older adults, despite the academic and policy interests in older people's lives have increased immensely throughout the society with the entry into an aged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mo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lives of older adults,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of quality of life, and the heterogeneity among of older adults. The scope of the course of the life of older adults, which was discussed in a narrow dimension in previous discussions, was expanded in this study into prospective, former, and latter stages to identify the changes in the quality of lif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from the second wave in 2008 to the seventh wave in 2018, and analyzed a total of 3,975 participants of pre-elderly (55 to 64 years old), young-old (65 to 74 years old), and old-old (75 years or older). In this work, group-based multi-trajectory method was adopted, which is the most suitable analytical method for simultaneously solving life-stage heterogeneity and trajectory typific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changes in the 10-year time series on the subdimensions that make up quality of life in terms of absolute levels and differences in life stages were examined, overall quality of life was shown in the order of health, family and social relations, social participation, and economic status in all subgroups of age. Among them, quality of life regarding social participation and economic statu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remaining two dimensions. Based on the entry point (2nd wave) of each stage in old age, quality of life was high in the order of young-old, middle-old, and old-old in all dimensions.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was maintained in time series in all dimensions except for family and social relations. The difference between life stages (young-old and old-old) was shown in the order of social participation, economy, health, family and social relations based on the entry point. Second, the results of the group-based multi-trajectory analysi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changes in the quality of life for older adults are as follow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young-old to middle-old, a total of four types of health improvement, economic stability, low-level maintenance, and high-level maintenance were derived in the quality of life trajectory. Among them, health improvements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On the other hand, a total of five types were derived during the transition from middle-old to old-old, including multiple degradation, improved participation & economic degradation, poor health and relationship, low-level maintenance, and economic stability. Among them, multiple degradation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Finally, a total of four types were derived in the quality of life trajectory in the transition from old-old to the super-aged, including participation improvement & economic degradation, health and relationship degradation, multiple degradation, and low-level maintenance. Among them, the highest number of old-old were included in the type of improved participation and economic decline. Third, wh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quality of life multiple trajectory types of older adults were examined, differences were examined depending on the accumulated socioeconomic status. Discus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 series of quality of life time series analysis suggest that age effects and period effects intersect. Age effects were found in all domains, but were particularly pronounced in the dimensions of health, and family and social relation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e aging process. Period effects were notable in the dimension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economic, and demonstrated the differences in life stages in keeping with the policy interests and support of our society. Second, the group-based multi-trajectory analysis of quality of life by life stage confirmed that older adults are not a homogeneous group, but rather a heterogeneous group that differentiate into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major areas of life. Furthermore, the need to recognize the following fact was suggested in setting the direction of welfare policies for older adults in the future since the number of people who demand policy attention due to low level of quality of life increases with age. Additionally, differences in the time and speed of differentiation by major areas of life were found throughout the life stage. Third, the quality of life derived from each stage of life showed differen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oting that approaches should be sought to suit the changes experienced in each stage of life and maj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a series of discussions, the policy orient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older adults in the future and the segmented approach by life stage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of all, policy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s of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should be considered from two main perspectives. First, an approach based on the old life stage should be a basic premis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set different focuses on policy with regards to the young-old, middle-old and old-old, and the major areas of life that appear to be mutually dynamic in the process should be considered. Second, it is necessary to set goals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uniqueness of each life stage in old age and the common life experiences in old age. Based on this policy direction,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older adults are as follows. Prior interventions should be sought in groups that are vulnerable to quality of lif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long with approaches to slow the rate of decline in quality of life in major areas common in old age. Furthermore, preventive and proactive interventions should be made for the young-old, and suggestions such as strengthening health care services, establishing an environment to work until the legal retirement age, developing retirement preparation services that reflect various demands, and economic retirement preparation based on the income security system are made. For the middle-old, interventions should be made to raise the current standard of living, and it is suggested to strengthen the link between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and service in order to deal with active chronic disease management and customized health care services, diversification of senior jobs and social activities support projects, organic interventions to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and networking, and reductions in income. Policy support should also be provided to the old-old in order to reinforce the current standard of living in the transition to the oldest-old. Specifically, it is essential to develop policy alternatives to strengthen visiting health care and medical services, support social participation that consider health level of individuals, make integrated intervention to promote health and relationships, and address absolute poverty. Interest in the aging of individuals has recently escalated as greater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aging of society. However, there is still not enough longitudinal discussions on the stages of old age in spite of longer life expectancy.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making an advance from previous discussions that remained at the level of discourse, and discovering nonlinear aspects of change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of life experienced by life stag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