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9 Download: 0

장애여성 생활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유형 및 예측요인

Title
장애여성 생활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유형 및 예측요인
Other Titles
Longitudinal Trajectories and Predictive Factors in Life Satisfac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Authors
김필호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생활만족도는 개인의 삶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주요한 척도 중 하나이며,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은 해당 대상에 대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기에 중요하다. 본 연구는 장애여성의 생활만족도 변화궤적을 유형화하고 유형화의 예측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장애여성은 단일한 집단이 아니며 이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조건, 상황들이 상호작용하여 생활만족도의 장기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장애여성은 우리 사회에서 무성적 존재로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들의 생활만족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장애여성’으로서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이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상자의 개별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상중심적 접근을 통하여 장애여성 집단 내 특성 및 차이를 분석해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여성의 생활만족도 변화 유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장애여성 내 생활만족 변화의 차이에 대해 파악하고, 이후 영향요인들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불평등한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여성의 생활만족도의 유형을 보다 면밀히 분석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개입방안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자료(2016~2019)를 활용하여 신체적 장애여성을 중심으로 장애여성의 생활만족도 변화궤적의 유형을 파악하고 변화유형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들을 규명하고자 성장혼합모형과 다항로지스틱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장애여성의 생활만족도 변화유형은 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생활만족도를 저수준으로 유지하는 ‘저수준 유지형’, 고수준으로 유지하는 ‘고수준 유지형’, 초기보다 높은 수준으로 변화하는 ‘상승형’으로 나타났다. 장애여성 집단 내 다양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사례 수에 있어 ‘고수준 유지형’의 비율(75.5%)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승형’의 경우 변화율이 다른 유형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나 생활만족도의 향상 또는 개선을 위한 대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어 주목할만한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장애여성의 생활만족도 변화유형에 따라 다양한 특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인구학적 요인에서 연령과 학력, 배우자 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저수준 유지형’은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이 낮고, 일상생활에서 차별을 경험하는 정도가 평균적으로 높았으며, 사회경제적인 지위를 낮은 수준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고수준 유지형’과 ‘상승형’은 다양한 요인에서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의 비율이 나타났다. 셋째, 장애여성의 생활만족 변화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저수준 유지형’을 기준으로 배우자가 있는 경우,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취업상태일 경우, 수급자의 경우, 일상생활에서 차별경험의 정도가 낮을수록,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다고 느낄수록 ‘고수준 유지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저수준 유지형’을 기준으로 배우자가 있는 경우, 장애수용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취업상태일 경우,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다고 느낄수록 ‘상승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형’을 기준으로 ‘고수준 유지형’에 속할 확률은 취업상태일 경우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대상중심적 접근을 통해 장애여성의 생활만족도를 높은 수준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변화유형 중 ‘상승형’의 예측요인들에 초점을 맞춘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고수준 유지형의 집단이 지속적으로 고수준의 생활만족도를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저수준 유지형 집단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로서 본 연구는 장애여성의 생활만족도의 변화하는 수준에 따라 유형별 변화궤적집단의 존재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교차성이론의 측면에서 장애여성의 차별적 요소를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장애여성의 생활만족도의 수준이 중수준 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시간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는 집단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더불어 장애여성의 생활만족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은 다양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정책적·실천적 함의로서 첫째, 장애여성은 단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생활만족도 변화에 따라 ‘저수준 유지형’, ‘고수준 유지형’, ‘상승형’이 나타났다. 이에, 장애여성의 집단 내 특성 및 욕구를 반영하여 대상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및 정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애여성 대상의 사업들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복지서비스의 내용과 별반 다르지 않아 장애여성의 욕구나 특성에 기반한 지원이라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장애여성의 욕구에 따른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한 지원들이 구성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장애여성 친화적 사업의 확대가 필요하며 기존 장애인종합복지관들의 개선 및 추가적 지원을 통해 관련 사업들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저수준 유지형’은 생활만족도 수준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해당 변화유형 집단에 속한 장애여성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있어 보다 종합적 지원이 필요하다. 장애여성의 생활불평등을 해소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저수준 유지형’의 집단에 속하는 장애여성에 대한 종합적 지원을 통해 가능해질 수 있을 것이라 보여진다. 셋째, ‘상승형’의 유형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낸 요인들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상승형’은 생활만족도의 수준이 낮았다가 높은 수준으로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장애여성의 생활만족의 개선을 위해서는 관련 특징들이 반영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관련 방안으로는 장애수용을 높이기 위한 전문상담원의 배치 및 동료상담가 및 전문 양성과정의 확대, 사회경제적 지위의 향상을 위한 장애여성 중심의 평생교육 및 개별 맞춤형 교육 등을 제시하였다. 넷째, 장애여성의 생활만족도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취업과 관련된 고용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취업은 ‘고수준 유지형’으로 속할 확률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장애여성의 안정적인 생활만족도의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장애여성의 채용비율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직무와 근무조건 등이 고려된 일자리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상승형’을 기준으로 ‘고수준 유지형’을 예측하는 요인들 중 차별경험정도가 나타남에 따라 장애여성에 대한 무성적 인식, 단일한 장애인 집단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불어 장애여성의 생활만족도 연구결과 예측요인 중 유의한 영향을 준 요인들의 특성을 반영한 지원뿐만 아니라 유의미하지 않은 관계에 있는 요인들에 대한 고려도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장애여성의 생활만족도 변화유형과 특성이 집단 내 다양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또한 다양한 특성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단일한 장애 집단을 중심으로 진행해온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장애여성을 중심으로 생활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에 대해 대상중심적 접근을 통하여 실제 실천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 판단한다.; Life satisfaction is one of the main indexes that can measure an individual's quality of life. Therefore, research on life satisfaction and analyzing factors affecting it in detail is vital in improving the subject's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life satisfaction change trajectori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and examine the predictive factors of the classification. Women with disabilities are not a heterogeneous group, and the various conditions and situations they experience can interact and affect long-term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Disabled women are considered asexual in our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will reveal their existence as 'women with disabilities' by examining their life satisfaction in detail. Through this, more specific discussion about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will be possibl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within the group of women with disabilities can be analyzed through an object-centered approach as a method to identify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the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changes among women with disabilitie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types of changes i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then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unequal lives by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Through this study, the type of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women is analyzed more closely to examine interventions via policy and practice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second wave (2016~2019) to find out the types of life satisfaction change trajectori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and applied growth mixture model and multinominal logistic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the types of change. The result first shows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life satisfaction change types in disabled women, which are 'low-level maintenance type' for people maintaining life satisfaction at a low level, 'high-level maintenance type' for those who maintain high life satisfaction, and 'ascending type' for those whose life satisfaction has changed to a higher status than the initial stage. This resul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within the group of women with disabilities. Also, since 'high-level maintenance type' shows the highest case (75.5%) and change rate in the 'ascending type' was the highest compared to other types,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the primary data to improve or prepare alternatives for improvement. Second, the research reveals that the various features appear according to the types of change in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women. In particular, differences were found in demographic factors according to age,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The 'low-level maintenance type' had low disability acceptance and low self-esteem, experiencing discrimination frequently in daily life on average, and assumed themselves in low socioeconomic status. On the other hand, 'high-level maintenance type' and 'rising type' showed a higher ratio in various factors than average. Third, the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change pattern of women with disabilities were as follows. Assuming the 'low-level maintenance type' as a norm, if their spouse is present, the higher the disability acceptance and self-esteem, the better their health status is, they are in employment status, they are recipients, the lower the degree of discrimination experienced in daily life, the higher they recognize their socioeconomic status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they belong to the 'high-level maintenance type'. Also, setting 'low-level maintenance type' as a base, if there is a spouse, the higher the disability acceptance, the better their health status is, they are recipients, the higher they recognize their socioeconomic status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they belong to the 'ascending type.' Based on the 'ascending type',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level maintenance type' was found to increase if they are in employment status. Overall results show that to help women with disabilities to change their life satisfaction to a high level through an object-oriented approach, support focusing on predictive factors of 'ascending type' is needed. Also, the ways for high-level maintenance type group to keep their high life satisfaction and for low-level maintenance type group to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were suggest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at there is each type of trajectory-changing group according to the changing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a theoretical implication. This result is believed to contribute to eliminating discriminative elements against disabled women in terms of intersectionality theory. Also, it verifies that there are groups in which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e intermediate level and maintained a similar level even time passes. In addition, this study finds out that various factors influence the change in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women. As a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 first, women with disabilities did not show a single type but showed 'low-level maintenance type', 'high-level maintenance type', and 'ascending type' according to changes in their life satisfaction. In response, it suggests that target-oriented customized services and policies are necessary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desires of disabled women in the group. The projects for disabled women conducted in the actual field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general welfare service, so those supports have limitations in reflecting the features and needs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it seems necessary to organize support, including various contents according to the needs of women with disabilities. Disabled-women-friendly projects have to be expanded for this, and related projects will be enabled through improvement and additional support of existing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Second, as the 'low-level maintenance type' group keeps their life satisfaction low, more comprehensive assist is needed to support service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in that group. Solving and improving inequality in the daily life of disabled women is possible through the overall support for disabled women in the 'low-level maintenance type' group. Third, a support plan is needed to strengthen the 'ascending type' factors characteristic. As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ascending type' shows a change from low to high, the support that reflects those characteristics is needed to enhance disabled women's life satisfaction. This paper suggests the related measures as allocation of professional counselors to increase the acceptance of disabilities, expansion of training courses for peer counselors and professionals, and lifelong education center focused on disabled women and individually tailored education to improve socioeconomic status. Fourth,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e enlargement of employment-related services is needed to maintain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disabled women stable. Employment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can increase the probability of being classified as a 'high-level maintenance type. Also, for disabled women to keep the constant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 job development that accounts for the recruitment ratio of disabled women, job positions, and working conditions is necessary. Fifth, as the degree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is a predictive factor for 'high-level maintenance type' when 'ascending type' is standard,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efforts to improve existing social awareness that sees disabled women as a single, asexual group is essential. Also, the research on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women presents that support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among other predictors, and consideration of factors in an insignificant relationship is need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at there are various differences i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women within the group and in the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them. Second,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discussed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actual practice through an object-centered approach against longitudinal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disabled women,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a heterogeneous group of disabled peop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