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7 Download: 0

아르네 네스의 심층생태주의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Oneness」에 관한 연구

Title
아르네 네스의 심층생태주의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Oneness」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Oneness」 based on Deep Ecology of Arne Næss
Authors
박지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오늘날 4차 산업사회, 물질주의, 과학문명의 발달로 사람들은 풍요로운 삶을 누리는 이면에 환경오염 및 생태계 파괴와 인간성 상실이라는‘생존의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산업화로 인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막론하고 전 세계가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등 환경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 생태학적 위기는 인간중심주의적 세계관에서 기인했다고 볼 수 있으며 이에 근본적인 대안과 실천 노력의 일환으로 등장 한 것이 생태주의이다. 이러한 생태적 위기상황을 직시 하고 인간의 근원적 물음에서 출발한 아르네 네스(Arne Næss, 1912-2009)의 심층생태주의는 생명의 연결망 속에 유기체들은 본래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하나의 존재는 다른 존재와의 관계성 속에서 그 본질을 파악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네스는 생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세계관 자체를 바꾸고 모든 자연적 존재와 상호 평등한 관계 속에서 공생할 때 큰 자아를 실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현대사회가 처해 있는 세계적 화두인 생태위기에 대해 각성하고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이 해결을 위한 주체가 되어야하며 이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되어야 할 것에 주목하고, 무용창작작품 「Oneness」(2020)를 안무하였다. 작품의 내용은 총 세 장으로 구성하였고, 각 장면에 따라 주제 및 내용, 공간구성과 무용수의 이동경로 및 움직임, 오브제와 의상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 분석하였다. 1장은 인간의 욕망으로 인해 자연은 파괴되고 인간 역시 위기를 맞이하여 불안해하는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하수 뒤쪽 탑 조명 아래의 연기에 쌓인 오브제를 잠시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작품이 시작된다. 이후 상수 앞 위기의 공간에 파란색의 원형조명과 인간의 잘못된 가치관을 상징하는 의자를 사용하여 인간의 위태롭고 고통스러운 모습을 불균형 상태로 몸을 기울이며 팔과 다리를 수축하고 뻗어내는 무용수의 움직임을 통해 표현하였다. 또한 자연의 경고에 대한 주체의 강한 부정이 느껴지도록 여성의 목소리와 피아노가 묵직하게 연주되는 곡을 사용하였다. 2장은 자연의 파괴를 자신과 동일시하며 그 관계성을 인식하게 되는 장면을 표현하기 위해 도입부에서는 불규칙적이고 갈라진 고보조명을 사용하여 위기의 공간에서 벗어난 무용수가 아직 자연과의 관계맺음에 마음을 열지 못한 상태를 표현하였다. 이 때 효과음으로 사용한 바람소리와 잔잔한 현악기들이 점점 중첩되어 나오는 선율의 흐름을 통해 인간의 주체내면에 변화가 생기고 있음을 암시하였다. 자연의 파괴를 상징하는 오브제인 찌그러진 공을 무용수가 어루만지거나 들어 올리고 무릎을 꿇는 움직임을 통해 자연의 파괴에 대한 주체의 슬픔과 죄책감이 생겨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무대 전체를 자각의 공간으로 설정한 2장의 후반부에서는 노란색의 사선 길 조명을 사용하여 밝은 분위기를 나타내었고 풍선 오브제가 무대 안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나오는 연출을 통해 자연의 생명력과 주체의 생태적 자아실현이 확장되고 있음을 시각화하였다. 현악기와 플롯의 맑은 음색이 고조를 이룰 때 무용수 역시 힘 있게 다리를 들어 올리며 움직임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연속적으로 회전 동작을 함으로서 내면에 생태적 본질을 찾고자 하는 강한 의지가 생겨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3장은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되어야하는 깨달음을 얻고 생태적 자아실현을 표현하기 위해 공존의 공간인 하수 뒤쪽에 노란색 탑 조명에서 상수 앞으로 타원의 사선 조명을 확장시킨다. 음악의 템포가 빨라지고 현악기 소리가 오르내리는 선율이 더해질 때 팔을 위로 열면서 높은 레벨로 뛰는 에너지 넘치는 움직임으로 무용수와 자연과의 내적교감이 확장되어 짐을 표현하였다. 3장의 후반부에서는 1장에서 사용했던 파란색 조명과 초록색 조명으로 분위기가 전환되는데, 이는 인간의 잘못된 가치관은 언제든 다시 생길 수 있지만 생태적인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주체의 각성과 다짐에 의해 상생의 삶을 영위할 수 있음을 상징한 것이다. 이때 무용수는 고개를 흔들며 거부하듯 팔을 강력하게 밀어내는 움직임을 한 뒤 마지막에는 풍선을 끌어안으며 안정된 무게감과 높아지는 신체 밀도감으로 부드럽고 희망적인 감정을 표현하며 자연, 조화, 평안이라는 심적 변화를 드러낸다. 이와 같이 본 연구자는 아르네 네스의 심층생태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무용창작작품 「Oneness」를 안무하여 생태위기에 직면한 현대사회에서 인간과 자연이 함께 존중받는 동등한 관계라는 인식변화와 생태적 자아실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미래를 향한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실천적 의미를 재고하며 이를 전하고자 하였다.;Today, we enjoy an abundance of life due to development of the society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terialism and scientific civilization. On the other side of this prosperity, we are facing “crisis of survival” produc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and loss of humanity. Due to industrialization, the entire world is going through inevitable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aspect of contaminated air, water and soil, regardless of the origin of the country, either from advanced countries or from developing countries. It is interpreted that the ecological crisis manifesting diverse facets around the globe has originated from the anthropocentric view of the world. Ecology has emerged as a part of fundamental alternative and efforts of implementation. Deep ecology advocated by Arne Næss (1912-2009), which was seeded from the fundamental question of humans facing the situation of ecological crisis puts emphasis on the fact that the organisms are intrinsically inter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of life and one being can identify the essence in the relationship created with others. Næss views that,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a bigger self can be fulfilled only when one changes the view of the world and builds a way of coexistence in the equal relationship with all natural creatures. With this in mind, I, in quality of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awakening of the ecological crisis, the global topic of today’s contemporary world as well as the mission of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as actors solving this problem to change awareness of the pending issue, and devised a creative dance work called Oneness (2020) based on this idea. The content of the work is composed of three chapters. According to each scene, this study made an analysis regarding the theme, content, space composition, the dancer’s moving path and movement, symbolic meaning of objet and costume. Chapter 1 starts by symbolically demonstrating the objet, for a while, which is covered with smog under the top lighting of the Stage Left, in order to express how the nature has been destroyed by human greed as well as human anxiety facing the crisis. Later, by using the blue circle lighting and a chair representing wrong human values in the space of crisis in front of the Stage Left, I expressed the aspect of humans overwhelmed by precariousness and suffering through the movement of the dancer who inclined her body with an unstable position while shrinking and stretching arms and legs. In addition, to enhance the subject’s strong denial regarding the warning of nature, I used a piece of music with a female voice and deeply heavy piano melody. To illustrate the Chapter 2, I used irregular and divided gobo lighting to express the state of the dancer who escaped from the critical space but still hesitates to open her heart in creating the relationship with nature. I hinted at some ongoing change in the subject by adopting the flow of overlapped and created by the sound effect of wind along with gentle melody of the string instruments. The dance caresses a crushed ball, the objet symbolizing destroyed nature, and sometimes lifts it while kneeling down. Through this movement, I stressed the fact that the subject starts to feel sad and guilty of the destruction in nature. In the latter part of Chapter 2 with a setting of the entire stage as a space of self-awareness, I used a yellow oblique street lighting to bring a bright mood. At the same time, by directing the scene where the objet balloon comes out one after another from inside the stage, I intended to visualize the state of expansion of vitality in nature and ecological self-realization of the subject. When the limpid tones of string instruments and flute are in full swing, the dance lifts her legs with strength to expand the range of movement. Moreover, the dancer also repeats the rotation movement to display her strong will to find the ecological essence in her heart. In Chapter 3, to express ecological self-realization of humans who finally realize the importance of coexistence with nature, the oval oblique lighting is extended from a yellow top lighting in the backside of the Stage Right to the Stage Left. When the music tempo quickens and the fluctuating melodies of string instruments are added, the dancer is jumping high spreading her arms wide, trying to express that the internal empathy between the dancer and nature is increasingly expanding. In the latter part of Chapter 3, the mood changes by the blue and green lighting used in Chapter 1. This denotes that incorrect values of humans can be formed any time again but the subject’s awakening and resolution of maintaining an ecological life have the power to bring a life of coexistence. At this very moment, the dancer makes an intense gesture of pushing her arms as if to deny something while shaking her head. Later, she hugs a balloon to express a soft and hopeful feeling supported by a sense of stable weight and growing physical density until finally manifesting her changed state of mind such as nature, harmony and peace. Like this, this study devised a creative dance work entitled Oneness based on the theory of deep ecology of Arne Næss. It aimed to reconsider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towards the future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not only change of awareness of an equal relationship where humans and nature are respected in the contemporary society facing ecological crisis but also ecological self-real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