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49 Download: 0

안현정 작곡 거문고 독주를 위한 '바다결' 분석 연구

Title
안현정 작곡 거문고 독주를 위한 '바다결'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tic study on‘A Sea texture’for the Geomungo solo composed by Ahn, Hyun-Jung
Authors
신연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옥
Abstract
본 논문은 안현정 작곡 거문고 독주를 위한 ‘바다결’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거문고 독주를 위한 ‘바다결’은 2017년 7월 5일 안현정 작곡발표회 ⅩⅢ “독주곡의 饗宴(향연)”에서 국립부산국악원 단원 박은하에 의해 초연된 곡이다. 본 곡은 이성천 작곡 <바다>를 바탕으로 하여 새롭게 작곡된 곡으로, 본 논문의 필자는 본 곡에서 <바다>의 음악적 소재를 살펴보고 분석하여 가야금선율 바탕인 곡이 거문고 창작곡으로 새롭게 재구성되는 방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곡은 제1악장 “태양의 여운”과 제2악장 “푸른 노래”와 제3악장 “파도치는 언덕”과 제4악장 “소라의 꿈”으로 총4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곡의 특징과 분석을 위해 각 악장을 단락별로 나누고 부분적으로 세분화하여 구조와 선율을 살펴보았다. 첫째, 제1악장 “태양의 여운” 제1마디 ~ 제47마디까지 총47마디이고, 단락 구성은 A(a-a′-b-a″), B(c-d), C(e-f-f′), A′(c′-d′)로 이루어져 있다. 박자는 3/4과 4/4가 순차적으로 등장하며 변박되고, 빠르기는 ♩=50으로 연주한다. 조성은 C minor(다단조)로 C, F, G, E♭, B♭이 주요 음으로 나타난다. 제1악장은 이성천 작곡 <바다> 중 “태양의 눈(1)” 악장의 모티브가 녹아있는 단락이다. 제1악장의 나타냄말은 ‘아련하게’로 부드럽고 가냘픈 모습이 표현되는 선율과 리듬이 나타나며 악장 도입부에서 등장하는 주제선율을 시작 부분과 종결 부분에서 동일하게 사용함으로써 제1악장이 대칭적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제1악장에서 나타나는 거문고 연주법은 스르렁(↓)(4회), 트레몰로(󰁛)(1회), 퇴성(৲)(20회), 지이잉(12회), 추성(৴)(6회), 전성(ƾ)(4회)으로 총7가지의 연주법이 등장하고, 퇴성이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한다. 둘째, 제2악장 “푸른 노래”는 제48마디 ~ 제84마디까지 총37마디이고, 단락 구성은 A(a-b-c), B(d-e-e′), A′(a′-b-e″), C(f-e″)로 이루어져 있다. 박자는 12/8이고, 빠르기는 󰁜= 50으로 연주한다. 조성은 C minor(다단조)로 C, F, G, E♭, B♭음이 주요 음으로 나타난다. 제2악장은 이성천 작곡 <바다> 중 “저녁기도(5), 달과 덩쿨의 꿈(6)” 악장의 모티브가 녹아있는 단락이다. 제2악장의 나타냄말은 ‘노래하듯이’로 밝고 경쾌한 모습이 표현되는 선율과 리듬이 나타나며 원곡과 동일 주요 음으로 연주하도록 작곡되었고, 원 가락보다 박자를 세분화시켜 분할 리듬이 빈번히 나타난다. 제2악장에서 나타나는 거문고 연주법은 추성(9회), 전성(4회), 스타카토(·)(8회), 트레몰로(8회), 대점(┃)(4회), 스르렁(3회), 퇴성(2회), 싸랭(2회)으로 총8가지의 연주법이 등장하고, 추성이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한다. 셋째, 제3악장 “파도치는 언덕”은 제85마디 ~ 제115마디까지 총31마디이고, 이 곡의 단락 구성은 A(a-b-b′), B(c-d-d′), A′(b′-a′)로 이루어져 있다. 박자는 4/4이고, 빠르기는 ♩=100으로 연주하고, 제114마디 ~ 제115마디 총 2마디는 ♩=110으로 연주한다. 조성은 C minor(다단조)로 C, F, G, E♭, B♭음이 주요 음으로 나타난다. 제3악장은 이성천 작곡 <바다> 중 “폭풍의 언덕(4)” 악장의 모티브가 녹아있는 단락이다. 제3악장의 나타냄말은 ‘격정적으로’로 감정이 강렬하고 역동적으로 갑작스러워 감정을 누르기 힘든 모습이 표현되는 선율과 리듬이 나타난다. 본 악장은 작곡가의 음악적 소재를 주제선율로 결합하여 발전시키는 특징을 가지며 반음 선율이 등장하여 긴장감을 가지고 고조된다. 제3악장에서 나타나는 거문고 연주법은 그르렁(32회), 대점(14회), 트레몰로(4회), 전성(2회)로 총 4가지의 연주법이 등장하고, 스르렁이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한다. 넷째, 제4악장 “소라의 꿈”은 제116마디부터 제154마디까지 총39마디이고, 이 곡의 단락 구성은 A(a-a′-b-b′), B(c-a″), A′(d-d′-e-b″)로 이루어져 있다. 박자는 12/8이고, 빠르기는 ♩=40으로 연주한다. 조성은 C minor(다단조)로 C, F, G, E♭, B♭음이 주요 음으로 나타난다. 제4악장은 이성천 작곡 <바다> 중 “소라의 노래(3)” 악장의 모티브가 녹아있는 단락으로 소라를 통해 정서를 듬뿍 담고 있는 서정적인 형태로 표현되는 선율과 리듬이 나타나며 악장 종결부에서 종결 악절을 사용함으로써 본 곡은 대칭적인 구조로 되어있다. 제4악장에서 나타나는 거문고 연주법은 퇴성(6회), 대점(8회), 추성(3회), 전성(12회), 스타카토(3회), 스르렁(16회)으로 총6가지의 연주법이 등장하고 스르렁이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한다. 이처럼 거문고 독주를 위한 ‘바다결’은 단순히 이성천 작곡 <바다>의 모티브를 차용한 작품의 형식을 넘어서 원곡의 음악적 소재와 작곡가의 새로운 주제와의 결합과 발전 등에 대한 창조적인 접근방식을 보여준다. 본 논문을 통해 가야금 창작곡이 거문고 창작곡으로 재구성되는 방식에 대해 파악하여 가야금 창작곡을 주제로 한 거문고 창작곡의 창작활동이 활발해지길 바라며, 거문고 독주를 위한 ‘바다결’을 연주할 연주자들에게 이 곡에 대한 이해를 돋고 실제 연주에 있어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This paper analyzed the ‘A Sea texture’ for the Geomungo solo composed by Ahn, Hyun-Jung. 'A Sea texture' for the Geomungo solo premiered in the Ahn Hyun-Jung composition presentation-Meeting “A Feast of solo music” played by Park Eun-ha, a member of the Busan National Gugak Center which was 5th, July, 2017. The song is a creative work based on the played by Lee Seong-cheon’s Gayageum Solo. For the analysis on the piece above, firstly the study examined music backgrounds and tendencies of the composer Ahn Hyeon-jeong. Secondly, examined the original form of to uncover the musical elements in the song and analysed them to discover a methodic structure that readers the transformation of Gayageum Solo Song into Geomungo Solo Song. Thirdly, it reviewed commentaries, Tuning method, How to play of Geomungo and overall musical structure on the ' A sea texture' for the Geomungo solo. Fourthly, Divide each movement into paragraphs, the structure, melody flow, and performance method were examined in part of part. The results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movement “lingering imagery of sun”consists of 47 that are grouped into A paragraph (a-a′-b-a″), B paragraph (c-d), C paragraph (e-f-f′), A′paragraph (c″-d″). The beats appear in an alternate sequence of 3/4 time and 4/4 time, beats happen in irregular time so that it is played in ♩=50 speed units with 3/4 time, and it is played in ♩=50 speed units with 4/4 time. The tonality is C minor and the primary tones are found to be C, E♭, F, G, B♭. The first movement is a paragraph that contains the motif of “The Eye of the sun(1)”the in Lee Seong-Cheon’s. The player’s expression of “dimly”evokes a melody and rhythm reminiscent of a soft, slender figure, By using same theme melody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movement, we can see that it consists of a symmetrical structure. As for the Geomungo techniq ues in first movement, Srurung(4 times), tremolo(2 times), Toeseong(22 times), Jiiiiing(13 times), Chuseong(6 times), Jeonseong(4 times) techniq ues were used. The Toeseong technique occupied the highest frequency. The second movement “Blue song”consists of 37 that are grouped into A paragraph (a-b-c), B paragraph (d-e-e′), A′ paragraph (a′-b-e″), C paragraph (f-e″). The beats appear in 12/8 time it is played in 󰁜=50 speed units. The tonality is C minor and the primary tones are found to be C, E♭, F, G, B♭. The second movement is a paragraph that contains the motif of “Evening Prayer(5)”, “Dreams of the Moon and Vines(6)”the in Lee Seong-Cheon’s. lt appears musical characteristic that is associated melody and bright rhythm and cheerful figure through “Like singing”. lt was composed with the same major notes as the original and the division rhythm is more frequent appear by subdividing the beat than the original song. As for the Geomungo techniq ues in second movement, Chuseong(9 times), Jeonseong(4 times), staccato(6 times), tremolo(8 times), Daejum(4 times), Srurung(3 times), Toeseong(3 times), Ssaraeng(2 times) techniq ues were used. The Chuseong technique occupied the highest frequency. The third movement “A wave hill” consists of 31 that are grouped into A paragraph (a-b-b′), B paragraph (c-d-d′), A′ paragraph (b′-a′). The beats appear in 12/8, it is played in ♩=100 speed units. but it is played in ♩=110 speed units in 114, 115. The tonality is C minor and the primary tones are found to be C, E♭, F, G, B♭. The thrid movement is a paragraph that contains the motif of “The hill of Storm(4)”the in Lee Seong-Cheon’s. lt appears musical characteristic that is associated intense rhythm and dynamic figure through “Feelingly”. lt appears widely by using pitch and rhythm as musical materials, ha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combining and developing the composer's musical material with theme melody, and through the appearance of semitone melody elates highly atmosphere with tension. As for the Geomungo techniq ues in third movement, Srurung(32 times), Daejum(12 times), tremolo(4 times), Jeonseong(4 times) techniq ues were used. The Srurung technique occupied the highest frequency. The Forth movement “Sora’s Dream”consists of 39 that are grouped into A paragraph (a-a′-b-b′), B paragraph (c-a″), C paragraph (d-d′-e-b″). The beats appear in 12/8, it is played in ♩=40 speed units. The tonality is C minor and the primary tones are found to be C, E♭, F, G, B♭. The Forth movement is a paragraph that contains the motif of “Sora’s Song(3)”the in Lee Seong-Cheon’s. lt appears musical characteristic that is associated that capture the emotion and lyrical rhythm figure through “lyrically”. By using uses the ending a passage at the end of the movement, we can see that it consists of a symmetrical structure. As for the Geomungo techniq ues in Forth movement, Toeseong(6 times), Daejum(8 times), Chuseong(3 times), Jeonseong(12 times), staccato(3 times), Srurung(16 times) techniq ues were used. The Srurung technique occupied the highest frequency. The music “Sea texture” by Ahn, Hyun-Jung is a unique recreation of the as a combination of the original melodic lines of in Lee Seong-Cheon’s and the new genuine ideas of the composer. The thesis is an analytic result of Gayageum instruments can be transformed into the music Geomungo instruments, and will contribute to the methodic approaches to compose Geomungo musics. Through this paper,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and playing the ‘A Sea texture’ for the Geomungo sol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