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지역주민의 지역안전 인식도 관련요인

Title
지역주민의 지역안전 인식도 관련요인
Other Titles
Regional Stability Awareness Recognition : mainly focused on Gyeonggi-do Province Siheung city
Authors
이혜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명선
Abstract
안전은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다. 그러나 과학기술 발달과 함께 발생하는 최근의 각종 안전사고는 많은 경제적 손실과 인적 손실을 가져왔다. 이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지식, 안전예방 행동, 지자체의 관심도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런 모든 활동은 안전 인식 수준이 기본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지역안전인식도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지역 안전관련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시흥시 주민센터를 이용하는 만19세 이상의 성인 900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1일부터 4월16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불응 261명을 제외한 639명을 조사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지역안전 인식도 관련요인은 취약계층과 거주여부로 나타났으며 취약계층과 거주하지 않을수록 지역안전 인식도를 0.601배(p<.05)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고영역별 안전 인식도 중 지역안전 인식도 관련요인은 생활안전, 교통안전, 재난안전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안전은 OR=2.832 (p<.001)로써 생활안전 인식도가 높을수록 지역안전 인식도를 2.892배 (p<.001)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통안전은 OR=2.344 (p<.001)로써 교통안전 인식도가 높을수록 지역안전 인식도를 2.344배 (p<.001)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재난안전은 OR=1.964 (p<.001)로써 재난안전 인식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지역안전 인식도를 1.964배(p<.001)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지역안전 인식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취약계층과 거주하는 지역주민을 위한 안전 프로그램이나 생활안전, 교통안전, 재난안전등 안전 영역과 관련된 교육이나 정보 제공으로 지역주민의 안전 인식 수준 향상을 위한 다차원적인 프로그램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Safety is a fundamental condition to sustain people’s lives. However, as technology develops, recent accidents caused by safety such as failure to follow procedure or carelessness have given rise to a tremendous loss of economy and human capital. Importance of acknowledging safety guidelines, safety behaviors, and local government’s support has been the target of injury prevention and become essential towards safety awarenes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provide a program that contains basic information in regards to local safety based on how much local residents are aware of general safety guidelines. This survey was performed from April, 1, 2021 to April 16, 2021 among 900 Korean adults who age 19 and older and live in Siheung, Gyeonggi Province. Out of 900 people, there were 639 respondents and 261 nonrespon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e factor related to local safety awareness was local presence of vulnerable people, and local safety awareness dropped 0.601 times (p<.05) when there was an absence of vulnerable people. Second, among safety awareness for each accidental category, factors related to regional safety awareness were life safety, traffic safety, and disaster safety. Life safety was modeled as OR= 2.832 (p<.001) with awareness of local safety increasing 2.892 times (p<).001) with increased life safety awareness. Traffic safety was modeled as OR=2.344 (p<.As 001) with the awareness of local safety increasing 2.344 times with increased traffic safety awareness. In addition, disaster safety was modeled as OR=1.964 (p< .001), with awareness of local safety increasing 1.964 times (p<.001) with increased awareness of disaster safety awarenes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local safety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multi-dimensional programs should be sought to improve the safety awareness level of local residents by providing safety programs or education or information related to safety areas such as living safety, traffic safety and disaster saf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