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4 Download: 0

'수동적 자유' 개념 연구

Title
'수동적 자유' 개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cept of “Passive Freedom” in Kant’s Autonomy and Levinas’ Heteronomy
Authors
이나미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명수
Abstract
Although freedo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good things in human life, we live in constant conflict with others. On the surface, the principle of coordination and reconciliation seems to be the principle that drives society, but the threat of war continues to take shape in various forms in our daily lives, and individualism is getting deeper and deeper in the modern society of the endless competition system. War is a matter of confrontation with others, that is, a matter of my relationship with the other, and at the core of the relationship lies the issue of freedom. This dessertation began with a question of what the essential meaning of freedom is. The definition of freedom is “Können” in Heideggerian terms. But “Können”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nsidered “active”. What “can catch” means “Können”, but what “can be caught” is also a kind of “Können”. Strictly speaking, doing good is not done spontaneously. I do it because I have to. In this respect, the title of “Passive Freedom” explores ways to open a new horizon to the concept of freedom that we have known so far. The term “passive freedom”, which is employed in the sense of “taking passivity on one’s own”, can be thought to be grammatically contradictiory. Kant is brought in this dissertation because Kant’s “transcendental freedom” provides a clue in arguing this matter. Kant’s freedom as “an absolute spontaneity beginning from itself” implies the passive aspect of freedom that enables human relations beyond natural causal relations. This view makes it possible to link Kant’s freedom with Levinas’ "Ethics of the Other", so Levinas, who pushed Kant’s thoughts to their extreme, was invited as the interlocutor for a clearer argumentation of the concept of “passive freedom”. This study attempts to look at freedom from a different angle than before by comparing Kant’s concept of autonomy and Levinas’ concept of heteronomy. It is true that the position of others in the Kantian philosophy so far has been excluded or at best interpreted as the intersubjectivity due to his subjective way of thinking. Kant’s revolutionary Copernican way of thinking that the objects must conform to our cognition, not that our cognition must conform to the objects, has been regarded as a philosophy that identifies the Other by reducing it to me. Accordingly, Kant’s freedom has also been evaluated only as an active ability of human reason. Kant’s philosophy, however, is not, as is often said, the philosophy of identity that is confined to me. Rather, it can be said that Kant was the first philosopher to start the philosophy of finitude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thing in itself” that transcends human cognition. We usually think of freedom as expressing the proposition that I can do whatever I want. This corresponds to what Kant calls “Willkür” as the faculty of choice. However, Kant refers to the concept of freedom distinct from “Willkür”. The phenomenal world, which is limited in space and time, operat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natural causality. The result of natural causality must have a cause and the chain of causality is infinitely retroactive, so there is no freedom. Kant’s freedom consists in beginning a new series of events from myself by breaking this chain of infinite retroactive natural causality. This means the passivity that binds myself to follow the moral law that considers others before the principle of self-love or self-happiness. This is possible because we are not only a member of the phenomenal world that follows the laws of nature, but also a member of the noumenal world that obeys the law of freedom. As far as rational beings are concerned, every human being is conscious of the moral laws a priori given as a “fact of reason”. But since humans are only partially rational beings, the moral laws are given to us as an “ought”. At this time, if we don't have the freedom to “begin from myself”, it would be just heteronomous for us to abide by the moral laws. However, we are not constrained by any other reason or force in following the moral law, but by ourselves. This is what Kant calls autonomy. In the concept of Kant’s autonomy, active and passive overlap. Kant’s autonomous subject has been regarded as having nothing to do with others, like a “monad” without a window. However, when asked what it “limits itself” for, its true meaning comes to light. Only then will it be revealed that Kant’s autonomous subject is open to others. Levinas’ “Ethics of the Other” is a phenomenological expression of the moral laws that Kant formally established to be independent of experience. In other words, the content of the moral laws can be said to be “the face of the Other”. While Levinas’ subject is “the one affected by the Other,” Kant’s subject is “the one affected by the moral law”, all of which imply passive aspects. Kant speaks of autonomy from the moral law and Levinas speaks of heteronomy from the other, so, on the surface, the two seem to take opposite positions, but Levinas’ passive subject who is “condittioned by the others”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Kant's autonomous subject who is “unconditioned for others”. It is also true that the philosophy of the two is clear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mission of the times. Kant's moral duty does not go as far as Levinas calls it. Kant and Levinas, the two agree in that ethics transcends the natural causality operating in the order of the phenomenal world. The only difference is that Kant transcends to the other through the detour of the moral laws, and Levinas directly transcends to the other. ;자유란 인간의 삶에서 가장 중요하고 좋은 것 중에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끊임없이 타자와 갈등 관계에 놓여 시시각각을 살고 있다. 겉으로는 조정과 화해의 원칙이 사회를 움직이는 원리인 듯이 보이지만, 전쟁의 위협은 우리 삶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계속 형성되고 있으며, 무한경쟁 체제의 현대사회 속에서 개인주의는 점점 더 심화되어 가고 있다. 전쟁은 남과 부딪히는 문제 즉 타자와 나의 관계 문제이며, 타자와 나의 관계의 핵심에는 자유의 문제가 놓여 있다. 이런 문제 의식 속에서 본 논문은 자유의 본질적 의미가 무엇일까에 대한 물음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연구자는 우리가 이제까지 알고 있던 자유의 개념에 새로운 지평을 열고자 본 논문의 제목을 ‘수동적 자유’로 정했다. 연구자는 이 문제를 논증함에 있어서 칸트의 ‘초월적 자유’가 그 실마리를 제공해 주기에 칸트를 불러 들였다. ‘단적으로 나로부터 시작한다’는 의미를 지닌 절대적 자발성으로서의 칸트의 자유에는 자연인과성을 넘어서는 인간 관계를 가능하게 해 주는 수동적 측면이 함축되어 있다. 이런 식의 관점은 칸트의 자유 개념과 레비나스의 타자윤리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기에, ‘수동적 자유’ 개념의 좀더 명확한 논증을 위해 레비나스를 그 대화 상대자로 초대했다. 본 논문은 칸트의 자율 개념과 레비나스의 타율 개념의 비교를 통하여 자유를 이제까지와는 다른 각도에서 살펴보는 것을 시도한다. 칸트 철학의 주관적인 사고방식의 혁명으로 인하여 그의 철학에서 타자의 자리는 배제되거나 기껏해야 상호주관적인 것으로 해석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나의 인식이 대상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대상이 나의 인식에 따른다는 칸트의 코페르니쿠스적 사고의 전환은 타자를 나로 환원시키는 철학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그에 따라 칸트의 자유 개념 역시 인간이 지닌 이성의 능동적인 능력으로만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칸트의 철학은 흔히 말해지는 것처럼 나에 갇혀 있는 동일성의 철학이 아니다. 오히려 칸트는 인간의 인식을 초월한 ‘물자체’라는 ‘바깥의 사유’를 도입하여 이성의 한계를 말함으로써 유한성의 철학을 처음으로 시작한 사람이다. 우리는 보통 자유를 ‘내가 원하는 것을 내 마음대로 할 수 있음’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칸트가 선택의사의 능력으로서 ‘자의’라고 부르는 것에 해당된다. 그러나 칸트는 ‘자의’와 구별되는 ‘자유’ 개념을 말한다. 시공간에 한정되어 있는 현상계는 자연인과성의 원리에 따라 움직인다. 자연인과성이란 결과는 반드시 원인을 가지며, 그 인과의 연쇄는 끝없이 무한소급되므로 자유란 없다. 칸트의 자유는 이런 무한 소급의 자연인과성의 사슬을 끊음으로써 나 자신으로부터 새로운 사태를 무조건적으로 시작하는 것이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인간은 자연 법칙을 따르는 현상계의 일원이기도 하지만, 자유의 법칙을 따르는 예지계의 일원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성적 존재인 한에 있어서, 인간이라면 누구나 “이성의 사실”로서 주어져 있는 선험적인 도덕법칙을 의식한다. 하지만 인간은 부분적으로만 이성적 존재자이기에. 도덕법칙은 ‘당위’로서 주어진다. 이 때 우리에게 ‘나로부터 시작하는’ 자유가 없다면, 우리가 도덕법칙에 따르는 것은 타율에 불과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도덕법칙을 따르는 일에 있어서 어떤 다른 이유나 힘에 의해서 강제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에 의해 강제된다. 이것이 바로 칸트가 말하는 자율이다. 따라서 자율의 개념에는 능동과 수동이 겹쳐 있다. 칸트의 자율적 주체는 '창이 없는 단자'처럼 타자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칸트의 자율이 무엇을 위해 ‘스스로를 제한하는’지를 물어 볼 때 그것의 진정한 의미가 드러나게 된다. 그 때에야 비로소 칸트의 자율적 주체가 타자에게 열려 있는 개념임을 알게 된다. 칸트의 자율적 주체는 자기사랑 혹은 자기행복의 원리 이전에 타자를 고려하도록 도덕법칙에 나 자신을 묶는 것이다. 레비나스의 타자는 칸트가 경험을 배제하기 위해서 형식적으로 수립한 도덕법칙을 구체적인 내용으로 현상학적으로 나타낸다. 레비나스의 주체가 ‘타자로부터 영향받은 주체’라면, 칸트의 주체는 도덕법칙에 ‘영향받은 주체’로 양자 모두 수동적 측면을 지니고 있다. 칸트는 도덕법칙을 향한 자율을 말하고 레비나스는 타자로부터 오는 타율을 말하므로, 겉으로 보아서 두 사람은 반대되는 입장을 취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타자에 의해서 조건지어지는”(conditioned by others) 레비나스의 수동적 주체는 “도덕법칙에 의해서 무조건적으로 되는”(unconditioned for others) 칸트의 자율적 주체와 크게 다르지 않다. 두 사람의 철학은 각각 시대적 사명에서 오는 차이가 분명한 것도 사실이다. 칸트의 도덕적 의무는 레비나스가 말하는 타자를 위한 대속까지는 가지 않는다. 하지만 칸트와 레비나스. 두 사람은 윤리란 현상계의 질서에서 작동하는 자연인과성을 초월하는 것이라고 보는 점에서 일치한다. 단지 칸트는 도덕법칙이라는 우회로를 거쳐서 타자에게로 가고, 레비나스는 타자에로 직접 초월하는 것이 다를 뿐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