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희성-
dc.contributor.author구본경-
dc.creator구본경-
dc.date.accessioned2021-07-29T16:32:07Z-
dc.date.available2021-07-29T16:32:07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811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8113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799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이 함께 살아가기 위하여 한국인의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 회복이 필요함을 규명하고 이를 위한 한국적 목회상담 모형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한국에서 안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 모두 다양한 돌봄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들의 삶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 사회 안에서 소외를 느끼거나 적응적으로 살지 못하는 것으로 인해 탈북을 후회하거나 제 3국으로 이동을 생각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북한이탈주민의 고립으로 이어져 사회 분열과 갈등을 증폭시킬 가능성이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불안정한 삶은 한국 사회의 안정과 통합을 저해하는 조건이 될 수 있기에 통일 이후 평화롭고 건강한 한국 사회를 위하여 북한이탈주민 돌봄을 재정비하는 것은 매우 시급하다. 본 연구는 정부와 민간 차원의 북한이탈주민 돌봄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북한이탈주민 돌봄의 이론적 기반인 이주민 이론을 분석하고 새로운 접근 방안으로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의 회복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의 예와 회복 노력들을 고찰하고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 회복 이론과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한국인의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 회복을 위한 논의로 이어갔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관련된 한국인의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인 분단과 한국전쟁, 그리고 여기에서 파생된 남북 각각의 트라우마와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한국인의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 회복을 위한 노력으로 예술로 담아내기와 구술 채집을 탐색하고 고찰하여 이의 회복을 위한 목회상담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국인의 역사적 트라우마 회복을 통한 북한이탈주민 돌봄을 구현하기 위하여 ‘함께살이’ 목회상담을 제안하였다. ‘함께살이’ 목회상담의 구성과 실제, 그리고 회복 메커니즘인 ‘함께살이’로 일깨우기, ‘함께살이’로 씨름하기, ‘함께살이’로 벗어나기, ‘함께살이’로 힘기르기, 마지막으로 ‘함께살이’로 함께살기의 다섯 가지 회복 단계를 제시하였다. 북한이탈주민 돌봄은 현재 한국 사회의 갈등 해결 및 통일을 준비하고 있는 한국의 미래와 직결되기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인의 역사적 트라우마 회복 방안인 ‘함께살이’ 목회상담이 한국 사회의 통합을 이루고 통일 한국을 준비할 수 있는 시작이 되길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ed to recover from the historical and collective trauma of Koreans and to construct a Korean pastoral counseling model for “Living-Together”(Ham-Ke-Sa-Ri) with North Korean defectors. Although both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provide various care servic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so that they can live stable in South Korea, their life satisfaction is not improving. It is very urgent to reorganize the care of North Korean defectors for peaceful and health Korean society after unifi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caring for North Korean refugees at the government and private levels. The author analyzed the migrant theory, which is the theoretical basis of caring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proposed the approach for recovery of historical collective trauma. This study searched efforts to restore historical collective trauma and analyzed recovery theory and practice. The author investigated the division and the Korean War left Koreans with pain and scars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pastoral counseling for Korean historical collective trauma. This study suggested “Living-Together”(Ham-Ke-Sari) pastoral counseling for caring North Korean defectors. The author constructed the theory and practice of ‘Living-Together’(Ham-Ke-Sari) pastoral counseling and recovery mechanism -awakening, breaking empowering, living-together. This study is devoted to prepare the unification of Korea to construct “Living-Together”(Ham-Ke-Sari) pastoral counseling for restoring Korean historical and collective traum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1 B. 선행 연구 8 C. 연구 방법과 논문 구성 16 Ⅱ. 북한이탈주민 돌봄 현황과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 20 A. 북한이탈주민 돌봄 실태 21 1. 정부 차원의 돌봄 21 2. 기독교 차원의 돌봄 23 B. 북한이탈주민 돌봄의 이론적 배경 26 1. 이주민 이론 27 2. 서구 선교 이론 33 C. 북한이탈주민 돌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 36 1. 이론 중심에서 경험 중심으로 37 2.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로의 접근 41 Ⅲ.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 이해 48 A.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의 개요 48 1.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의 대상: 집단 49 2.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의 특징: 시공간의 확장 53 3.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의 전제: 사회적 합의 57 B.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의 영향 59 1. 안전감의 상실 60 2. 유대감의 손상 62 3. 기억의 유예 및 망각 63 4. 사회적 갈등 66 C.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 회복 시도와 제안점 68 1. 예술로 승화하기: 그리스 비극제 68 2. 트라우마 기억하기: 홀로코스트 기념 사업 70 3. 적과 함께살기: 네브샬롬 공동체 73 4. '폭력의 순환과 회복 이론' 및 STAR program 75 5. 비평과 제언: 한국적 회복 방안의 필요성 85 Ⅳ. 한국인의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 이해와 회복 방향 89 A. 한국인의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 89 1. 한국인의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 분단과 한국 전쟁 89 2. 남한 주민의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 94 3. 북한이탈주민의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 98 B. 한국인의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의 특성 103 1. 이름 없는 트라우마 103 2. 피해자만 있는 트라우마 105 3. 반복되는 트라우마 106 4. 외세에 의한 트라우마 109 C. 한국인의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 회복을 위한 시도 110 1. 예술에 담아내기 110 2. 구술 채집을 통한 인문학적 치료 114 3. 분석과 제안: 한국적 목회상담에 대한 요구 116 D. 한국인의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 회복을 위한 목회상담적 고찰 120 1. 트라우마 각성을 위한 관계적 삼위일체 신학 120 2. 상호 피해 회복을 위한 상호 돌봄 122 3. 복합적 집단 외상 회복을 위한 십자가 125 4. 한국인의 응집력 회복을 위한 풍류 상담 127 Ⅴ. 북한이탈주민 돌봄을 위한 '함께살이' 목회상담 이해 130 A. '함께살이' 목회상담의 구성 130 1. '함께살이' 목회상담의 정의 130 2. '함께살이' 목회상담의 목적 131 3. '함께살이' 목회상담의 특성 132 4. '함께살이' 목회상담의 방법 138 5. '함께살이' 목회상담의 의의 139 B. '함께살이' 목회상담의 실제 140 1. 얼굴 마주하기: 함께 살기를 선택하다. 142 2. 갈등 마주하기: 기대와 다른 공동생활 146 3. 풍류 마주하기: 흥과 여백으로 다시 마주하다. 148 4. 기억 마주하기: 트라우마와 만나다. 149 5. 회복 마주하기: 살아온 삶, 그리고 희망을 말하다. 153 C. '함께살이' 목회상담의 회복 메커니즘 155 1. '함께살이'로 일깨우기 155 2. '함께살이'로 씨름하기 156 3. '함께살이'로 벗어나기 158 4. '함께살이'로 힘기르기 160 5. '함께살이'로 함께살기 163 Ⅵ. 결론 167 참고문헌 172 부록: 그림 186 ABSTRACT 1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642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200-
dc.title북한이탈주민 '함께살이' 목회상담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한국인의 역사적 집단 트라우마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Live-Together"(Ham-Ke-Sa-Ri) Pastoral Counseling for North Korean defectors : Focusing on the Historical and Collective Trauma in Korea-
dc.creator.othernameGu, Bon-gyung-
dc.format.pagevii, 19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202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