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4 Download: 0

조선후기 이룡(螭龍) 장식 공예품 연구

Title
조선후기 이룡(螭龍) 장식 공예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Craftworks with Hornless Dragon(螭龍) Decor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s
김연수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조선후기 공예품의 장식 문양 중 일반적인 용의 모습과 달리 도마뱀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형태의 용을 찾아볼 수 있다. 두 갈래로 갈라진 꼬리와 가늘고 긴 몸체의 서수를 조선후기와 중국의 문헌에서‘이룡(螭龍)’이라고 하였다. 이룡은 중국 고대부터 사용되어온 연원이 오래된 문양소재로, 고려청자에 시문된 것을 시작으로 조선시대 백자에서도 그 존재를 찾아볼 수 있는데, 국내에서 널리 사용된 문양은 아닌 만큼 용어가 정립되지 못한 채‘반룡(蟠龍), 도마뱀(蜥蜴), 도룡뇽(蛇師)’등으로 칭해지기도 하였다. 왕실 소용품을 중심으로 옥제·금속제·목제·도자제 등 다양한 재질의 공예품에서 이룡문이 장식된 사례가 폭넓게 확인되나 국내에서 이룡문에 대한 단독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예품에 나타난 이룡장식을 정리하고 도상의 연원과 특징, 국내 유입과정, 그리고 성격과 의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룡은 중국 고대부터 공예품에 장식되었던 만큼 여러 문헌에서 이룡의 기원과 형태를 언급하였으며 대체로 螭가 용과 같거나 닮았다고 기록하였다. 점차 螭는 용에 귀속되어 이룡(螭龍)이라는 용어로 혼용되기 시작하였고, 용의 자식인 용생구자(龍生九子) 중 하나이거나 어린 용, 이무기를 일컫는 등 다양한 용례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물과 관련된 서수로 일찍이 인식되었으며, 더욱이 술에 취하는 것을 경계하는 속성까지 전해져 잔과 병에 장식되었다. 기록과 도설에 의하면 용이나 교룡과 대별되는 이룡의 특징은‘뿔과 비늘이 없고 짐승의 꼬리가 양 갈래로 갈라진 형상’이다. 그러나 실제 유물에서 이룡도상이 표현되는 양상을 보면 갈기나 외뿔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어, 결국 이룡의 전형적인 모습은 ‘비늘이 없는 짐승의 몸에 가는 꼬리가 양쪽으로 갈라진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 이룡도상의 형성과 전개과정은 청대 이전과 이후로 구분해서 정리하였다. 이룡장식 공예품이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했던 때는 한대(漢代)이다. 옥기에 장식되며 S자형으로 꼬고 있는 몸체 표현과 여러 갈래로 나뉘는 긴 꼬리, 머리 중앙에 달리는 한 개의 뿔 등‘이룡’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견해는 기본적으로 한대에 정형화되었다. 당대(唐代)에는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동물이나 식물 등의 자연소재가 즐겨 사용되었기 때문에 자연히 이룡이 공예품에 사용되는 빈도가 줄었다. 이룡이 다시 공예품에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송대(宋代)로 ‘三代’를 추숭하는 흐름 속에서 방고기물(倣古器物)의 연구와 더불어 제작이 활발해져 한대 이룡을 모방하여 장식하는 경향이 짙어졌다. 옥제 인장과 금속잔, 칠기 등 다양한 재질에 등장하며 휘종의 정명보(定命寶)에 이룡이 장식되며 황실과 밀접한 관련을 맺었다. 원대(元代)의 이룡은 송대 도상을 계승하여 자기와 금속기, 칠기에 장식되었다. 중국에서 이룡장식이 크게 유행하기 시작한 것은 명대(明代)로, 황실과 연관되어 신성하게 여겨졌던 원래의 상징성이 축소되면서, 명대에는 길상화·도식화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자기와 옥기, 가구 등 거의 모든 재질의 공예품에 이룡장식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청대(淸代)에 새로운 공예품의 재질과 기종, 장식기법 등이 활기를 띠고 발전하면서 더욱 성행하였다. 명대처럼 다양한 재질에 이룡이 장식되는 한편, 장식적인 도안의 경우 무늬가 직선적이고 추상적인 무늬로 변형되었다. 중국에서 시작된 이룡도상은 고려시대부터 그 유입이 확인된다. 주로 음각과 압출양각으로 양질의 청자에 시문되었으며 소수의 요장과 소비지에서 출토된다. 이룡문은 세부적으로 횡리형(橫螭形), 반리형(盤螭形) 그리고 단리형(團螭形)으로 시문유형을 나눌 수 있다. 동반 출토된 다구(茶具)들과 소비지를 바탕으로 이룡문 청자는 다례(茶禮)나 기우제와 연관된 의례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송과의 교류를 통해 다양한 송대 공예품이 유입되면서 이룡도상도 유입된 것으로 보이며 기록을 통해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문양소재로 인식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조선전기의 이룡은 『세종실록(世宗實錄)』「오례의(五禮儀)」와『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준작도설(尊爵圖說)에 나타나는 청옥잔(靑玉盞)에 나타난다. 명대 옥리이배(玉螭耳杯)를 하사받았다는 기록이 있어 실물을 통해 이룡도상을 직접 수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밖에 봉래구역 1지구, 청진지구와 공평동 유적에서도 수입된 명대 이룡문 자기편이 출토되었고 중국제 도자기 외에도 <청동서수부잔(靑銅瑞獸付盞)>도 출토되어 조선전기에 출토된 이룡장식 공예품은 명대의 영향을 받았으며 용과 유사한 이룡의 도상을 파악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조선후기 특히 19세기 이후로 왕실을 비롯한 상류층에서 이룡장식 공예품 사용이 급증하는데, 연행록을 대표로 하는 문헌과 초상화, 책가도 등에서 이룡장식 공예품의 유입이 확인된다. 이는 진하외교와 같은 청과의 교류를 통해 청대 이룡도상이 유입된 결과로 청나라와의 물적 교류가 이룡장식 공예품이 다시 조명받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후기 이룡장식은 옥제·금속제·목제·도자제 등 다양한 재질의 공예품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네 가지 재질의 공예품에서 재질과 용도, 장식공간을 중심으로 몇 가지 특징이 나타난다. 시기와 재질을 관통하는 이룡장식 공예품의 특징은 ‘이룡’이라는 상위의 문양소재가 장식됨으로써 해당 공예품의 용도와 위계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룡장식은 왕실 소용품 외에는 장식된 예가 거의 없으며 일부 상류층이 사용하였던 도자기의 경우도 그 생산은 왕실도자제작소인‘분원(分院)’에서 생산된 것임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이룡장식은 왕실 소용품에 한정적으로 장식되었으며 공예품의 재질과 용도, 장식공간에 따라 공통적으로 정해진 장식구성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했다. 마지막으로 왕실 소용품을 중심으로 이룡장식의 성격과 그 의미를 알아보았다. 이룡은 조선전기에는 가례(嘉禮) 동뢰연(同牢宴)에서 옥잔 등 일부 왕실 기물에서 한정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중국제 기물을 연향에 도입하면서 길상적인 문양소재로써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의궤도설에 이룡장식 공예품의 종류와 수가 추가되는 양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대한제국기에 황제국 의례를 성립하는 과정에서 금책, 속제용 기물 그리고 건축장식에까지 그 용처(用處)가 확대되었다. 이처럼 조선후기에서 이어지는 대한제국 이룡장식의 다양한 활용 양상은 번(幡)과 당(幢) 그리고 금책(金冊)을 비롯한 황제국 의물의 사용을 통해 기록상 명례를 참고하였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실제 의례와 의물의 모습은 전통적인 조선 의례와 청대 의례를 참고한 모습이 보여, 이룡장식의 사용이 곧 대한제국 의례의 혼용성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될 수 있다 하겠다. 이러한 이룡장식은 장식이 공예품의 용도와 지위를 규정하기도 하는 바, 물이나 왕실과 밀접한 의미를 갖다가 점차 길상성이 강화되는 양상 속에서 공예품에 다양한 용도와 위계를 부여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이룡장식은 초기에는 왕실과 관련된 상징을 강하게 가져 옥배와 은잔 등 국내에서 오랜 기간 한정적인 방식으로 공예품에 이룡이 장식되는 배경이 되었고 <쌍이갈호청옥잔(雙耳蝎虎靑玉盞)>이 가례 동뢰연에, 금책이 친왕(親王) 책봉례에 사용된다는 등 공예품의 용도와 지위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이후 이룡장식은 중국제 기물의 유입과 청대 이룡이 길상화되는 흐름 속에 가구, 속제 기명, 건축에까지 널리 사용되어 길상적인 장식으로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이룡장식 공예품의 연원, 유입과정, 구성, 성격과 의의를 정리하여 이룡장식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기원국인 중국에서 이룡도상의 태동과 전개, 그리고 다양한 재질의 공예품을 통해 조선후기를 넘어 대한제국기까지 이어지는 이룡문의 장식 양상을 파악하였다는 점 등을 통해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검토되지 못하였던 이룡장식에 대한 심화된 연구를 시도한 점에서 본고의 의의를 둔다.;Among late Joseon Dynasty craftworks, unlike ordinary dragons, a unique form of dragon can be found reminiscent of lizards. With thin body, long tail split into two branches, was referred to as ‘the hornless dragon(螭龍)’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Chinese literature. Hornless dragon has been used since ancient China, and its existence can be found in white porcelain during the Joseon Dynasty, starting with the Goryeo celadon. As the decoration was not widely used in Korea, the term was not established and was sometimes referred to as ‘Banryong(蟠龍), lizard, and gekko.’ Although it has been widely confirmed that hornless dragon was decorated with craftworks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jade, metal, wood, and ceramic, independent research on hornless dragon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Through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Chinese and Joseon records, as well as surviving craftwork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origin,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hornless dragon decoration. Hornless dragon has been decorated on craftworks since ancient China, various records have mentioned the origin and form of hornless dragon, and it is generally recorded that Li(螭) is the same or similar to a dragon. Li was also used as a variety of examples, including one of the dragon's children: Yongsaenggujja(龍生九子), a young dragon and Imugi. Thus, it was recognized early as an auspicious animal related to water, and furthermore, the properties of being wary of getting drunk were passed on, decorating cups and bottles. According to records, the physical characteristic of hornless drag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dragons and Gyoryong(蛟龍) is that there are no horns and scales, and it's tail is split into two branches. However, in some cases, a mane or a single horn appears in the actual relics, so the typical appearance of this figure is that no scale and the tail split on both side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hornless dragon in China were divided into pre-Qing Dynasty and post-Qing Dynasty. Han Dynasty was the time when decorative craftworks began to be produced in earnest. The view, which is recognized as a "hornless dragon," was basically stereotyped in Han Dynasty, with an S-shaped twisted body, a long tail divided into branches, and a single horn running in the middle of the head. In the Tang Dynasty, natural materials such as animals and plants that can be seen in everyday life were commonly used, naturally reducing the frequency of hornless dragon decoration use in crafts. It appeared in various materials such as jade seals, metal cups, and lacquerware, and was closely related to the imperial family by decorating Emperor Huizong(徽宗, 1082-1135)'s JeongMyeongbo(定命寶). Hornless dragon of Yuan Dynasty succeeded Song Dynasty was decorated it with ceramic, metalware, and lacquerware. It was during the Ming Dynasty that hornless dragon decorations began to become very popular, and as the original symbolism, which was considered sacred in connection with the imperial family, was reduced and the tendency to be auspicious symbol became clear. It featured almost all craftworks, including porcelain, jadeware, and furniture. This trend became more prevalent during the Qing Dynasty as the materials, models, and decorative techniques of new craftworks were revived and developed. In the case of decorative designs, the designs were transformed into straight and abstract designs, while various materials were decorated like Ming Dynasty. The hornless dragon image, which began in China, is confirmed to have been accepted since the Goryeo Dynasty. It is mainly inscribed and extruded in high-quality celadon, and is excavated from a small number of kilns and consumption sites. The hornless dragon design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ransverse, semi-shaped, and single-shaped. Based on the tea set(茶具) and consumption site excavated together, it is possible that hornless dragon design celadon was used for ceremonies related to tea ceremonies(茶禮) or ritual ceremonies. It seems that various craftworks were introduced through exchanges with Song Dynasty, and the records suggest that it was recognized as a design symbolizing the king's authority. The hornless dragon decoration of the early Joseon Period appears in the Cheongokjan(靑玉盞) which appears in the ‘Five Rites’(五禮儀) of the Sejong sillok(世宗實錄, Annals of King Sejong) and Junjakdoseol(尊爵圖說, Illustration of Royal Drinking Vessels) in Gukjo oryeeui(國朝五禮儀, Five Rites of the State). There is a record that the Ming-dynasty (1368-1644) jade cups with hornless dragon double handles(玉螭耳杯) was bestowed, indicating that the image was directly accepted through its actual appearance. Moreover, several ceramics imported from China were excavated in Bongrae District 1, Cheongjin District, and Gongpyeong-dong ruins. Also a bronze cup with auspicious animal handle(靑銅瑞獸付盞) was excavated in addition to Chinese ceramics, and the hornless dragon decorated craftworks excavat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influenced by Ming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especially after the 19th century, the use of hornless dragon decorated crafts by the royal family and upper class increased rapidly, and the inflow of craftworks from literature, portraits, and Chaekgado(冊架圖) is confirmed. This was the result of the influx of Qing Dynasty's Hornless dragon decoration through material exchange with Qing China played a crucial role in re-lighting the hornless dragon decorated craftworks. Hornless Dragon Decor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n be examined in detail through jade, metal, wood, and ceramic craftworks. The characteristics of craftworks of four materials are as follows, focusing on materials, uses, and decorative spaces. It is crucial that the use and hierarchy of the craft is determined by the decorating hornless dragon. There are few decorative decorations other than royal items, and some upper-class ceramics were also found to have been produced by the Bunwon(分院), a royal ceramic factory. Through this, it was discovered that the hornless dragon decoration was limited to royal items and had a common decorative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materials, uses, and decorative spaces of the craftworks. And then, this study focused on the royal items to find out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hornless dragon decor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ornless dragon decoration was limited to jade cup in Karye(嘉禮) Dongroiyen(同牢宴), but was actively used as auspicious design when Chinese craftworks were introduced to Court banquet. This aspect was identified through the addition of the types and numbers of hornless dragon decoration shown in Uigye(儀軌, the royal book).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ritual of the Korean Empire(大韓帝國), its use was then expanded to gold investiture books(金冊), ritual objects, and architectural decorations. As such, it is believed that various aspects of the Korean Empire's decorations dating back to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referred to in the records through the use of imperial objects of Ming Dynasty. However, the actual ceremonies and ritual objects refer to the traditional Joseon and Qing Dynasty rituals, indicating that the use of these decorations is an example of the mixed nature of the Korean Empire's ceremonies. The use of these decorations also defines the purpose and status of craftworks, and the hornless dragon decorations are considered to have various uses and hierarchies in the aspect of being auspicious while they are related to water and the royal family. In the early days, the hornless dragon decorations were strongly related to the royal family, which was the background of decorating craftworks in a limited way, such as Ssangyigalho cheongokjan(雙耳蝎虎靑玉盞) in Karye(嘉禮) Dongroiyen(同牢宴) and gold investiture books(金冊) in official investiture ceremony(冊封儀禮), influenced the use and status of craftworks such as gold books. Since then, it has been widely used in woodcraft, ritual object, and construction amid the influx of Chinese craftworks and the flow of hornless dragon decoration to be auspicious.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decorative works of hornless drag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organizing the origin, acceptance process, composition, and meaning.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o study the hornless dragon decorations that had not been reviewed in detail until now through various craftworks of late Joseon Dynasty to the Korean Empi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