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프랑스 혁명기 대중 판화 속 마리 앙투아네트 이미지 연구

Title
프랑스 혁명기 대중 판화 속 마리 앙투아네트 이미지 연구
Authors
최하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동호
Abstract
본 논문은 18세기 말 프랑스에서 제작되고 유통된 풍자 판화 중 마리 앙투아네트가 재현된 이미지들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프랑스 혁명기 풍자 판화 연구가 특정 인물이나 주제에 집중되지 않고 개괄적으로 진행됐다면 본고는 판화 속의 앙투아네트를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혁명이라는 과도기에 여성을 바라보는 비판적 시각이 어떻게 왕비가 재현되는 방식에 내재하고 있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대혁명 직전의 프랑스 사회에는 전제 정권은 물론 절대적 종교의 권위에 반하여 이성 중심적 사고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만연해 있었다. 계몽주의로 대표될 수 있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여성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기도 하였으나, 이성은 여성의 특질이자 한계점을 다시 재단하기도 했다. 이는 귀족의 방탕하고 사치스러운 사생활에 반대하여 청렴하고 정직함의 가치를 우선시했던 부르주아 남성의 이상과 결합했고 그에 부합하는 새로운 여성상을 도출시켰다. 기질적으로 유순한 여성은 정치보다는 육아와 같은 사적인 활동에 더욱 적합했기 때문에, 혁명 이후 여성에게는 새로운 사회 구성원을 길러내는 현명한 어머니의 역할만이 부여되었다. 이 시기 마리 앙투아네트는 이에 반하는 대표적 여성으로 인식되었다. 왕비를 향한 혐오의 시선에는 전제 왕권에 대한 불신뿐만 아니라 권력에 가까운 여성을 향한 경계가 혼재되어 있었다. 살리카 법부터 지속해 온 여성 권력의 평가 절하는 루이 15세 치하 왕의 정부였던 퐁파두르와 바리에게 사회적 혼란의 책임을 전가하는 단초가 되었다. 뒤이어 왕비가 된 앙투아네트도 왕실을 타락시키는 인물로 부상했다. 이는 혁명에 이르러 부르주아의 가치관에 반대되는 부정적인 여성상과 결부되었고 정치적으로 활용되었다. 18세기 말 앙투아네트를 겨냥한 비방물은 다양한 매체로 양산되었다. 그중에서도 풍자 판화는 문자를 기반으로 한 비방 문학이나 논설보다 더 구체적이고 집약적으로 왕비에 투영된 부정적 인식을 전달했다. 팸플릿이 포르노그래피적 서사에 중점을 두었다면 판화는 남성에 의해 규정된 여성성을 상실한 다양한 앙투아네트의 모습을 재현했다. 가장 눈에 띄는 방식은 성 경계의 소거로 인한 여성의 남성화 또는 남성의 여성화였다. 진취적으로 왕가를 이끄는 왕비와 그에 따르는 어리숙한 루이 16세는 왕권의 나약함은 물론 여성에 대한 경계의 표시로서 즐겨 대비되었다. 왕비는 더 나아가 성적으로도 남성을 능가했다. 18세기 말 프랑스에서 유행했던 포르노그래피 문학의 전복적 서사가 왕실의 인물로 옮겨가면서 성행위는 힘의 논리를 대치하는 개념이 되었다. 왕비의 포르노그래피적 재현은 왕실의 무너진 위신과 루이 16세의 성적, 통치적 불능을 암시했다. 그러나 왕비는 방탕한 여성을 넘어 자신의 쾌락을 위해 여성과 남성을 구분하지 않고 취하는 위협적인 인물로까지 묘사되었다. 이는 공적 영역에서 활동하는 다른 여성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는 비난과 동일했다. 왕비에게 씌워진 근친상간의 혐의도 앙투아네트의 공격성이 남성의 생식 기능을 방해하는 극단의 행위로 치환된 것이자 악덕한 어머니의 전형으로 왕비를 낙인찍기 위한 것에 가까웠다. 마침내 앙투아네트의 신체는 인간을 벗어난다. 적국 출신 왕비가 갖는 이질성은 이를 더욱 가속했다. 반인반수의 괴물이나 동물로 변모한 왕비는 공포감을 조성하는 존재거나 성 역할은 물론 인간에게 부과된 도덕적 규범을 벗어난 하위 주체였다. 두 경우 모두 앙투아네트는 물리적으로 또는 정신적으로 인간 사회에 해를 끼친다는 점에서 처단해야 할 대상이 되었다. 모든 점에서 부도덕한 어머니이자 아내, 왕비인 앙투아네트에게는 인간의 자격이 허용되지 않았고 죽음으로서만 그를 멈출 수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부르주아 남성들이 근대의 근간을 마련했던 프랑스 혁명이라는 과도기에 앙투아네트에게는 일종의 여성 혐오가 투영되어 있었다. 18세기 여성에 대한 인식이 미술사학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미진했던 만큼, 판화를 통해 이를 살펴보는 일은 여성 억압의 현대적 근거가 마련되는 일면을 주목해볼 수 있는 유의미한 시도가 될 것이다. 이로써 오늘날까지도 계속되는 앙투아네트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남성에 의한 여성 배제 및 비하의 노력에서 비롯되었음을 자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본고는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representations of Marie-Antoinette in the caricatures produced and distributed in late 18th century France. While not many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individual characters or specific topic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male perception towards women in revolutionary France is reflected on the images of Marie-Antoinette in 18th century caricatures. At the onset of the French Revolution, old values from the Ancien Régime and the church started to dwindle. During this transitionary period, the need for women’s education surfaced while new forms of prejudices against women arose both by virtue of rationality. Bourgeois male, seeking after values such as frugality and honesty, posited promiscuity and lavishness as antithetical to bourgeois morals. This dichotomy introduced new ideal feminine traits congruent with their moral principles. The archetypal woman in the post-revolutionary France was a housewife nurturing a flawless future member of the bourgeois. Moreover, women were largely considered fragile and docile in nature, hence more suitable for domestic activities rather than politics. Marie-Antoinette, however, was the infamous counterexample of an ideal bourgeois woman during the revolutionary period. Public distrust of the French monarchy along with vigilance towards the woman in proximity to power led to a strong sense of enmity towards the queen. Moreover, the tradition of denigrating female leaders stemming from the Salic Law provided grounds to impute the nation’s challenges to the mistresses of Louis XV, Madame Pompadour and du Barry. The next queen Marie-Antoinette was also condemned as the key figure for degrading the monarchy. Her image as a vile female figure having anti-bourgeois values was exploited politically soon after. In the late 18th century, libelles attacking Marie-Antoinette were widely produced in various media. Caricatures were particularly more exhaustive and concrete modes of criticism compared to text-based pamphlets or satirical essays. While pamphlets predominantly focused on pornographic narratives, caricatures depicted various images of Marie-Antoinette’s lack of feminine traits which were defined by bourgeois male. The most prominent symbol was masculinization of women and feminization of men by way of eliminating gender boundaries. For instance, the virile queen leading her royal family and Louis XVI submissively catching up to her was a widely used image signifying the incompetence of the monarchy as well as hostility towards women. Furthermore, Marie-Antoinette was frequently portrayed as being more sexually active than men. The popular subversive narrative of late 18thcentury pornographic pamphlets was used against royal figures where sexual intercourse became a metaphor for the concept of power. The erotic portrayal of Marie-Antoinette’s body implied the degradation of royal dignity and impotence of Louis XVI. As such allegation was often made against women active in the public sphere, the queen on the other hand was viewed a voracious predator and a debauched woman who took anyone regardless of gender for her own pleasure. The charge of incest made against her was also a culmination of Antoinette’s aggression turning into an act of incapacitating the male genital and a means to denounce the queen as an embodiment of a malicious mother. At last, Marie-Antoinette became dehumanized. Being a foreigner from Austria, the long-standing enemy of France, further alienated her. The queen was considered a monstrous therianthrope or an animal, being a source of fear or a subordinate object neglecting any moral standard and gender role. In both cases, Marie-Antoinette was subject to absolute eradication as she was a moral and physical detriment to the human society. Death was the only resolution to end her existence as an ethically corrupt woman in every way: as a mother, wife or a queen. In short, during the turbulent revolutionary times which set the cornerstone for modernity, there was a misogynistic sentiment towards Marie-Antoinette. As femininity in 18th century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in art history, it would be meaningful to observe the period which modern female suppression started to become justified. Based on observations from caricatures, this study intends to demonstrate that Marie-Antoinette’s persisting notoriety was instigated by the masculine in order to disdain and exclude wom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