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십장생문(十長生紋)에 내재된 상징 연구

Title
십장생문(十長生紋)에 내재된 상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Origins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Authors
정혜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송영빈
Abstract
본 논문은 십장생문에 나타난 공간과 문양에 내재된 근원적 상징에 관한 연구이다. 십장생문은 해, 구름, 산, 물, 돌, 사슴, 학, 거북이, 소나무, 영지 등의 10가지 문양을 모은 우리나라 특유의 장생문(長生紋)이다. 십장생문은 장수를 상징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문양으로 고려시대부터 기록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조선시대에는 궁중 장식화부터 민화와 공예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된 문양이다. 지금까지 십장생문은 도교 사상이나 자연주의에서 영향을 받은 장생문이라는 상징의미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의 명제에서 벗어나 십장생 문양의 근원적 의미에 대해 살펴본다. Ⅰ장은 연구의 목적과 배경을 밝히고 선행연구와 연구방법을 소개한다. Ⅱ장에서는 고대 종교에 나타난 공간의 개념을 살펴본다. 십장생문의 형식은 하늘, 땅, 물의 3개 공간에 분포된 산수문과 동식물문 10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산수문은 고대의 공간관이 드러난 이미지이다. 고대인들은 인간을 둘러싼 자연의 움직임에 신앙심을 투사하고 해석했다. 고대 종교에 나타난 우주론은 삼단세계관(三段世界觀)을 나타낸다. 삼단세계관, 즉 삼계(三界)는 우주산, 우주목과 같은 성스러운 세계의 중심에서, 다른 세계가 이어지는 공간관을 말한다. 이 장에서는 고대 인도, 원시 불교, 시베리아 샤먼의 의식, 중국의 유교에 나타난 공간관을 살펴보고 이 공간관들에 나타나는 삼계 개념을 알아본다. Ⅲ장에서는 한국 무속의 무가(巫歌)에 나타난 삼계관을 정리하고 고대 한국인의 생사관과 타계관(他界觀)을 알아본다. 무가에 나오는 삼계에는 신과 죽은 왕들이 거주하는 하늘이 있고 지옥, 극락, 선계(仙界)의 공간이 있다. 선계는 동아시아에서 볼 수 있는 특별한 공간으로 현세와 접합된 이상향이다. 산속 어딘가, 지평선 어딘가 있는 선계는 현세의 즐거움을 그대로 가지고 장생하는 신선들이 사는 곳이다. 십장생문의 공간 중 지상은 선계를 나타내며, 선계의 유래와 의미를 중국 도교와 한국 무속에서 찾아본다. Ⅳ장부터 Ⅵ장까지는 십장생 각 문양의 내재된 상징을 하늘, 땅, 물의 공간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이 고찰은 유물에 나타난 시각적인 상징을 대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물에 나타난 기호와 문양의 실증(實證)부터 신화, 역사서, 구비문학 등 문헌의 고찰을 통해 문양의 근원을 찾아본다. 먼저 십장생문의 천상계에 위치한 해, 구름, 학에 대해 고찰한다. 하늘은 신이 존재하고 죽은 지배층의 영혼이 올라가는 곳이다. 이곳의 문양소인 해와 구름은 원시시대의 신앙인 하늘여신의 빛과 수분에 대한 숭배를 표상한다. 고대 문명에서 태양문, 구름문은 기호문양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를 한국의 유적과 유물에 나타난 태양과 구름의 문양과 비교, 고찰한다. 태양문은 고구려 고분벽화, 신라 치미, 고려 불화, 조선 도자 떡살과 향로 등에 나타나며, 학은 태양새의 속성을 지니고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동물이다. 십장생문 지상계의 문양은 산, 돌, 사슴, 소나무, 영지가 있다. 이 문양들은 하늘과 소통하는 제의(祭儀)와 연관되어 있고 세계의 중심을 표상한다. 산은 우주산으로 지모신의 좌정처이며 제의의 장소이다. 소나무는 우주목(宇宙木)으로 삼계를 이어준다. 또한 돌은 신이 내려오는 매개체인 신주(神柱)이며 성스러운 장소를 표방하는 표지이다. 사슴은 태양을 등에 얹고 올라가는 태양사슴의 속성, 사냥의례에 나타나는 희생수(犧牲獸)의 속성을 가지며, 죽은 자를 인도하고 지상과 하늘을 연결한다. 영지는 영기(靈氣)를 응축한 형태로 한국 무속에서 천상과 지상 신들의 지물(持物)이다. 십장생문 수계의 문양으로 물과 거북이 있다. 물은 생명력, 배태력을 상징하며 생명의 원천지로 여겨진다. 물은 고대 기호문양으로 빗금, 지그재그문으로 나타난다. 원시시대 하늘여신, 강의 어머니, 물의 여신은 평행선과 지그재그문으로 물의 문양을 품고 있다. 우리나라 무신도에서 물의 여신으로 물애기씨, 용궁부인도가 나타난다. 거북은 지하계의 대표 동물로 영혼을 다른 세계로 인도하기도 하며, 지하에서 땅을 받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Ⅶ장은 결론 부분으로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장수 상징 개념을 넘어 십장생문에 내재된 근원적 상징을 찾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십장생문의 공간을 고대 종교관에 입각하여, 세계의 중심에서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공간인 삼계라는 개념으로 상정한 점, 십장생문 각 문양소의 근원이 신성(神性)을 가지고 있고 삼계를 이어준다고 밝힌 점, 이를 규명하기 위해 유물과 유적의 문양으로 실증한 점에 의의가 있다. 십장생문 공간과 문양의 근원에 대한 탐구는 산수와 같은 주변 문양 또는 장식 문양만으로 인식되어온 문양의 심도 있는 이해를 도와주고 상징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혀준다. 십장생 문양의 연원(連原) 탐구는 지금은 잊힌 우리 정신세계의 밑바탕에 흐르는 문화를 다시금 상기(想起)하는 것이다.;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ymbolism in the patterns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or sipjangsaengmun 十長生紋 and the three spaces where the ten symbols are positioned. The ten patterns symbolizing longevity - the sun, cloud, mountain, water, rock, deer, crane, turtle, pine trees, and mushroom of immortality - are uniquely found in Korea culture. The record of these ten symbols first appeared in the Goryeo Dynasty and during the Joseon period these symbols were widely used in decorative paintings at the royal court as well as in folk paintings and craftwork. Up to this day, however, the ten symbols have been studied mainly in terms of symbolism influenced by Taoist naturalism. In this thesis I intend to shift the focus to more fundamental significance inherent in each symbol of longevity. In the first chapter, I will introdu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e background of the study, and research methods. The second chapter will observe the concept of spaces in ancient religions. The symbols of longevity are composed of ten patterns of landscape and animals and plants positioned in the three spaces - the heaven, the earth, and underwater world. Especially, the ancient concept of spaces is found in landscape patterns. Considering the ancients’ nature worship, cosmology in their religious belief must be closely related to the three-stage world view 三段世界觀. They believed that the three worlds 三界 in this view represent the three spaces where sacred natural objects such as the cosmic tree 宇宙木 and the cosmic mountain 宇宙山 were located and these objects stood at the center of each world to connect the heaven and the earth. In this chapter I will examine ancient India, primitive Buddhism, Siberian Shamanism, and Confucianism in China to explore the three-world concept in detail. The chapter three will discuss the view on the three worlds further by examining the music in Korean Shamanism 巫歌 and explore the ancient Korean views on life, death, and the life after death. According to the three-world view from the Shamanistic music, there exist the heaven where deities and deceased rulers reside, the hell, the paradise, and the world of immortals 仙界. Particularly, the world of immortals is a unique East Asian concept which refers to a utopia in this world located someplace in a mountain or near horizon. In this ideal place immortal spirits led a life of a mortal enjoying comfort and longevity. Among the three spaces for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it is the earth that represents the world of immortals. This chapter will trace the origi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mmortals’ world in Chinese Taoism and Korean Shamanism. Chapters four, five and six are an in-depth study on symbolism in each symbol positioned in the three categorized spaces of heaven, earth, and underwater world. In this section, I will concentrate on visual symbolism in artifacts. To this end, this thesis will trace the origin of each symbolic pattern by examining the motifs and designs found in artifacts and reviewing documents on mythology, historical records, and oral literature. First, I will study the patterns of the sun, cloud and crane located on the space of heaven. The heaven is a place where the deities reside and the souls of deceased rulers ascend to, and the patterns of the sun and the cloud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imitive worship of the light and moisture of the heavenly goddess. In ancient civilization, the sun and the cloud were expressed in symbolic motifs and I will compare these motifs with the patterns found in Korean artifacts and relics. In Korea, the sun patterns are mostly found in mural paintings of Goguryeo, decorative tiles of Shilla, Buddhist paintings of Goryeo, ceramic rice-cake molds and incense burners of Joseon. Regarding the crane, it was considered a bird with a special connection to the sun that linked the heaven and the earth. Second, I will examine the patterns of mountain, rock, deer, pine tree, and mushroom of immortality that belong to the space of earth. Each symbol was considered the center of the world and was worshipped during the rituals 祭儀 communicating with the heaven. For example, the mountain, or the cosmic mountain, was a place for rituals where the earth mother goddess was seated. The pine tree, or the cosmic tree, was believed to link the three worlds. As for the rock, it was a sacred spirit pillar 神柱, a medium through which the deities descended from heaven. The deer was considered to have a special connection to the sun that ascended the heaven carrying the sun on its back. The deer also implies a sacrificial animal 犧牲獸 for hunting ceremonies and connects the earth and the heaven by guiding the dead souls to heaven. Mushroom of immortality contains condensed spiritual influence 靈氣. According to Korean Shamanism, the deities of the heaven and earth always carried the mushroom. Last, I will look into the patterns of water and turtle that belong to the underwater world. Water signifies vitality and the source of life. In ancient symbolic patterns, water was expressed in the forms of deviant crease lines or zigzag pattern. The heavenly goddess, mother goddess in the river, and water goddess in ancient times were depicted to embrace the parallel or zigzag water patterns. In Korea, the water goddess is found in the forms of water maidens from the paintings of Korean Shaman gods and in the paintings of the dragon lady in underwater palace. The pattern turtle was considered an animal that supported the earth while staying in the water. In conclusion, I will summarize my research and present research results. This thesis has a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takes a meaningful step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and looks into more fundamental symbolism inherent in the ten pattern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lluminates the spaces where the ten symbols are located in regards to the concept of the three worlds, viewing the spaces as the center of the world that connect the heaven and earth based upon ancient religious views. Moreover, this thesis discovers the divinity 神性 in each symbol and this divinity enables each symbol to connect the three worlds. Furthermore, this thesis conducts an extensive and through research into the patterns found in artifacts and relics to support the proposition. A study on the spaces for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and the origin of each symbol will widen our perspectives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en symbols that have been recognized merely as decoration or landscape in the background. The research into the origin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will serve to recall our unique culture that has been forgotten for the most part but still constitutes the base of our spir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