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중 신체언어 비교 및 한국어 교재 분석

Title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중 신체언어 비교 및 한국어 교재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Comparing the Body Language Between Koreans and Chinese and Analyzing Korean Learning Materials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Authors
ZENG, XI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한업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인과 중국인이 의사소통할 때 오해나 갈등을 일으킬 수 있는 신체언어를 찾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이러한 신체언어들로 인해 발생된 오해나 갈등의 양상과 오해의 기인에 대해 심도있게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이를 교육적 측면에서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어 교재에서 신체언어 요소들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그 현황과 문제점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법과 사례조사법을 병용하였다. 먼저, 이론적 측면에서 신체언어의 개념과 상호문화교육의 개념을 살펴본 뒤 상호문화교육, 외국어 교육, 신체언어 교육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더불어 한·중 신체언어 대조 연구들의 자료를 수집해 한국인과 중국인의 오해나 갈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20개의 신체언어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다음으로, 이를 기반으로 한국어 학습 경험이 있는 재한 중국인 10명을 대상으로 한국인과 실제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의 이 신체언어들에 기인한 오해나 갈등 경험에 대해 면담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를 선정하여 본 논문에서 다룬 신체언어에 관련한 교수·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비교 연구들에 나타난 한국인과 중국인 간의 오해나 갈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20개의 신체언어를 선정하여 이들의 문화적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둘째, 10인의 면담을 통해 확인된 것은, 20개 오해나 갈등을 일으키는 신체언어 가운데 11개는 전체 참여자들이 다 동의하는 실생활에서 오해의 소지가 있는 요소들이다. 한편, 면담 참여자들의 오해와 갈등 사례들의 대다수는 근본적으로 이 신체언어들에 관한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인지 결여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셋째, 중국인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인 『연세 한국어』, 『함께 배워요 한국어』, 『재미있는 한국어』, 『한국어와 한국문화』, 『다문화가정과 함께하는 정확한 한국어』를 분석하여 발견한 문제점은, 면담을 통해 추려낸 11개 신체언어에 관하여 교재 내에서 다루고 있는 항목의 수가 매우 미흡할 뿐만 아니라 다룬 경우에도 대부분 일방적인 지식 전달 차원에만 그치며 이에 관한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할 필요성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이다. 이에, 중국인 학습자들의 보다 성공적인 신체언어 학습을 위해서는 향후 교재를 개발할 때 신체언어에 관한 내용을 비중 있게 반영해야 하는 동시에 학습자들이 이에 관한 문화적 차이를 개방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호문화적 접근으로 더 풍요로운 학습 활동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개선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갖는다. 첫째, 면담 대상자들은 한국 거주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아 신체언어에 관한 다양한 경험을 알아보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둘째, 교재에 나타난 신체언어의 분석 대상을, 면담을 통해 추려낸 11가지 신체언어 요소로 한정함으로써 교재 전체에 반영된 신체언어 요소들을 모두 살펴보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사람들이 다른 문화권 사람과 상호작용할 때 신체언어로 인한 오해나 갈등이 일어난다면 그 상황에서 한 발짝 물러나서 갈등이 일어난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고 가능한 한 유연하게 대처하려는 노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신체언어 요소들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킴으로써 향후 한국어 교재 집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신체언어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반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depth aspects and reasons of misunderstandings or conflicts caused by the body languages by searching, comparing and analyzing body languages of Koreans and Chinese. Furtherm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erms of education, the study reveal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how the body language elements are reflected in Korean learning materials. This study was mainly conducted by the documentary method and the case study method. First, after introducing the theoretical concept like definition of body language and intercultural education, the connection between intercultural educati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body language education was considered. In addition, by collecting data from comparative studies of Korean-Chinese body language, 20 body languages that could cause misunderstanding or conflict between Koreans and Chinese were selected and analyzed. Next, based on this, interviews were implemented with 10 Chinese residents in Korea who had learned Korean or who is learning Korean about misunderstandings or conflicts caused by these body languages in the actual process of interacting with Koreans. Finally, Korean learning materialss for foreign learners were selected, 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were analyzed in order to see how teaching and learning related to body language was reflected there.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selected 20 body languages that can cause misunderstandings or conflicts between Koreans and Chinese from previous comparative studies and analyzed their cultural differences. Second, confirmed through interviews with 10 people, 11 of the 20 body languages that may cause misunderstanding or conflict are misleading elements in real life that all participants agree on. On the other hand, the majority of the cases of misunderstandings and conflicts among the interview participants fundamentally stemmed from a lack of awareness of cultural differences in these body languages. Third, regarding the 11 body languages selected through interviews, the problems found by analyzing Korean learning materialss like “Yonsei Korean”, “Learn Korean Together”, “Fun! Fun! Korean”, “Korean and Korean Culture”, and “Accurate Korea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are the most used by Chinese learners is that the number of items reflected in the textbook is very insufficient. Even when it is dealt with, most of them are only unilateral knowledge transfer, and there is no mention of the significance to understand and respect cultural differences. Thus, this study offered the ways of improvement. First, in order for Chinese learners to learn body language more successfully, the content of body language should be much more considerably reflected when developing textbooks in the future. Also at the same time, there is a need to organize more enriching learning activities with an intercultural approach so that learners can openly accept cultural differences. Meanwhile, there are limitations in this study. First, interview participants have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stay in Korea, so there may are limitations in finding out various experiences related to body language. Second, this study limites the analysis target of body language shown in the Korean learning materials on 11 body language elements selected through interviews so that it was not possible to reflect all the body language elements in the whole of materials. However, through this study, if a misunderstanding or conflict occurs due to body language when people interact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step back from the situation and think about the reason for the conflict and make efforts to deal with it as flexibly as possible. In addition, by raising awareness of the elements of body language,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aking of Korean textbooks in the future, and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a basis material for suggesting a plan for teaching and learning body langua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