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도현심-
dc.contributor.author김형연-
dc.creator김형연-
dc.date.accessioned2021-07-29T16:32:01Z-
dc.date.available2021-07-29T16:32:01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807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8073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795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Belsky(1984)의 자녀양육과정 모델과 Duncan 등(2009a)의 마음챙김양육 모델을 이론적 틀로 하여 어머니의 자기자비, 마음챙김양육,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이 학령 초기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초등학교 1-2학년 자녀를 양육하는 420명의 어머니들로 질문지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자기자비 척도는 Neff(2003b)가 개발한 자기자비 척도(Self-Compassion Scale, SCS)를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2008)이 번안하여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마음챙김양육은 Duncan 등(2009a)이 개발한 양육에서의 대인 간 마음챙김 척도(The Interpersonal Mindfulness in Parenting, IM-P)를 Kim 등(2019)이 번안하여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Abidin(1990)의 부모스트레스 척도-축약형(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을 이경숙, 정경미, 박진아와 김혜진(2008)이 표준화한 척도(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K-PSI-SF)를, 양육행동은 Robinson, Mandleco, Olsen과 Hart(1995)의 양육행동 척도를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번역 및 수정한 척도(2017)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동의 정서조절은 Shields와 Cicchetti(1997)의 정서조절 척도(Emoton Regulation Checklist, ERC)를 박서정(2004)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SPSS 22.0(IBM Co., Armonk, NY)과 AMOS 23.0(BM Co., Armonk, NY)을 사용하여 구조방적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최종적으로 연구모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모형인 경쟁모형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자기자비가 마음챙김양육, 양육스트레스 혹은 양육행동을 통해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자기자비는 마음챙김양육과 민주적 양육을 통해 순차적으로 아동의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쳤으나, 양육스트레스와 민주적 양육을 통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자기자비는 마음챙김양육과 양육스트레스를 통해 순차적으로 아동의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자기자비는 어머니의 마음챙김양육, 양육스트레스, 민주적 양육행동 혹은 허용적 양육행동을 통해 순차적으로 아동의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쳤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어머니의 개인적 특성인 자기자비가 어머니의 마음챙김양육,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 등 양육 변인들을 통해 아동에게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의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양육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함으로써 그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최근 새롭게 주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거의 보고되지 않은 연구변인인 마음챙김양육이 다른 양육 변인인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양육 관련 연구를 확장하고자 시도하였다. 동시에, 본 연구는 자기자비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이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환기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발달에 대한 부모 개인의 특성의 간접적 영향력과 양육 변인의 직접적 영향력을 모두 강조한 것으로 아동의 발달을 촉진하도록 돕는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부모 개인의 특성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을 돕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Applying Belsky’s(1984) parenting process model and Duncan et al.’s(2009a) mindful parenting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hways from maternal self-compassion, mindful parenting,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to early school-age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20 mothers with children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Maternal self-compassion was assessed by the Interpersonal Mindfulness in Parenting Korean version (IM-P-K), and mindful parenting was assessed by the Self-Compassion Scale (SCS).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were measured using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 and the Parenting Practices, respectively,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was assessed by Emotion Regulation Checklist(ERC).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is Study compared model fits of the research model to the competitive model, and as a result, the research model was finally adop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direct effects of maternal self-compassion on a child’s emotion regulation through mindful parenting, parenting stress or parenting were not found. Second, maternal self-compassion had indirect effects on a child’s emotion regulation through mindful parenting and authoritative parenting sequentially, but not through parenting stress and authoritative parenting. Third, maternal self-compassion had indirect effects on a child’s emotion regulation through mindful parenting and parenting stress sequentially. Finally, maternal self-compassion had indirect effects on a child’s emotion regulation through mindful parenting, parenting stress and authoritative or permissive parenting sequentially.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e indirect effects of self-compassion as maternal personal characteristics on a child’s emotion regulation through parenting-related factors such as mindful parenting,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This study re-affirmed its importance by considering various aspects of maternal parenting that affect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In particular, it attempted to expand research on parenting by identifying mindful parenting that would be newly attracting attention abroad, but has rarely been reported in Korea, and its effects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emotional regulation of childre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mphasized academic interests of indirect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parenting behavior, which has been less drawn attention in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ndirect effects of par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children's development as well as the direct effects of parenting on children's development, which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12 A. 이론적 틀 12 B. 아동의 정서조절 17 C. 어머니의 마음챙김양육,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과 학령 초기 아동의 정서조절 19 D. 어머니의 자기자비와 마음챙김양육,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 33 E. 어머니의 자기자비가 마음챙김양육,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을 통해 학령 초기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 38 F. 통제변인으로서의 어머니 취업여부,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 및 아동의 성별 40 Ⅲ. 연구문제 및 용어 정의 44 A.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44 B. 용어 정의 46 Ⅳ. 연구방법 49 A. 연구 참가자 49 B. 조사 도구 51 C. 조사절차 56 D. 자료 분석 56 Ⅴ. 연구결과 58 A. 예비 분석 58 B. 어머니의 자기자비, 마음챙김양육,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이 학령 초기 아동의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61 Ⅵ. 논의 및 결론 77 참고문헌 92 부록 136 ABSTRACT 1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35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어머니의 개인적 특성 및 양육이 학령 초기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자기자비와 마음챙김양육,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Maternal Self-Compassion, Mindful Parenting,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on Emotion Regulation of Early School-Aged Children.-
dc.creator.othernameKim, Hyeong Yeon-
dc.format.pagevi, 15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2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