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2 Download: 0

유아기 자녀의 부모용 부모공동양육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itle
유아기 자녀의 부모용 부모공동양육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parenting Scale for Parents with preschoolers
Authors
양예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용 부모공동양육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모공동양육 척도의 구성요인을 추출하고,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각기 다른 가정의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아버지로서, 척도 개발과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각각 300명, 총 600명의 부모가 질문지 조사에 응답하였다. 조사도구는 부모공동양육 척도의 개발을 위한 척도와 결과타당도 검증을 위한 척도로 구성된다. 척도 개발용 부모공동양육 척도는 국내외 관련 연구 고찰, 면접 조사, 델파이 조사 및 예비조사를 통해 총 72문항으로 구성된 것이며, 결과타당도 검증용 척도는 부부갈등 척도(Grych, Seid & Fincham, 1992), 양육스트레스 척도(Abidin, 1990b), 양육행동 척도(이선희, 2012) 및 유아의 문제행동 척도(Merrell, 1994)를 포함한다.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SPSS 20.0 프로그램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부모공동양육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발된 부모공동양육 척도는 지지(7문항), 침해(7문항), 갈등(5문항) 및 소통(5문항)의 네 가지 하위요인을 포함하며, 총 24문항으로 구성된다. 지지는 배우자의 양육 방법에 대한 지식, 배우자의 양육 참여 의지, 한 팀으로서의 어머니와 아버지의 협력 및 배우자의 도움 등 긍정적 측면의 부모공동양육을 의미한다. 침해는 어머니 혹은 아버지가 양육과 관련한 배우자의 책임감과 능력에 대해 믿지 못하고 배우자의 자녀 양육에 대해 부정적 감정 및 생각을 갖는 등 부정적 측면의 부모공동양육을 뜻한다. 갈등은 배우자에게 부정적인 말을 하거나 서로 말다툼을 하고 화를 내는 등 부정적 측면의 부모공동양육을 의미한다. 소통은 어머니와 아버지가 함께 양육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고 대화를 나누는 등 긍정적 측면의 부모공동양육을 뜻한다. 다음으로,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는 결과타당도 및 교차타당도 검증에 의해 수행되었다. 개발된 척도의 결과타당도 검증과 관련하여, 부모공동양육 척도의 하위요인은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및 유아의 문제행동 등 각 변인의 하위요인과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냄으로써 결과타당도가 확보되었다. 교차타당도 검증과 관련하여, 척도 개발을 위한 부모와 유사한 사회인구학적 배경의 부모에게도 척도 개발에서 적합성이 확인된 모형이 적용되는지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높은 적합도와 신뢰도 기준에 부합함으로써 교차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아버지를 대상으로 부모공동양육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는 국내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공동양육 척도를 개발한 첫 시도이므로 본 연구를 시작으로 국내 부모공동양육 연구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유아기 자녀의 부모용으로 개발된 부모공동양육 척도는 추후에 다른 발달단계를 대상으로 하는 부모공동양육 척도를 개발하는 데 유용한 초석이 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부모공동양육 척도는 부모교육 및 부모상담 등의 현장을 포함한 다양한 중재적 노력을 위하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oparenting scale for parents with preschoolers. For this purpose, the factors of the coparenting scale were extracted, an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was verified.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Korean parents with 3~5 year-old children. A total of 600 participants (300 for development and 300 for validation)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one for the development of a coparenting scale and the other for the validation of the developed scale. The former was composed of 72 preliminary items of the coparenting scale based on previous studies, interview survey, delphi survey, and pilot survey. The latter included the developed scale as well as measures for marital conflict (Grych, Seid & Fincham, 1992), parenting stress (Abidin, 1990b), parenting behavior (Lee, 2012) and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 (Merrell, 1994). Data were analyzed by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SPSS 22.0 and AMOS 22.0.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parenting scale of 24 items developed in the study comprised of four subscales such as support (7 items), undermining (7 items), conflict (5 items) and communication (5 items). Support refers to a spouse’s knowledge of parenting methods, a spouse’s willingness to paritcipate in parenting, the cooperation between mother and father as a team, and the assistance of the spouse. Undermining means having negative thoughts and emotions about the spouse as a parent. Conflict refers to actions such as saying negative words to the spouse, arguing with each other, and getting angry with the spouse. Communication refers to behaviors related to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such as sharing parenting-related information and having a conversation about parenting. The coparenting scale was verified through both consequential validity and cross validity. First, the subscales of the coparenting scal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ubscales of marital conflict, parenting stress, parenting and a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 Nex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data from the second sample indicated adequate fit for the coparenting scale, suggesting that the scale could be applicable to parents with preschoolers with similar demographic backgrounds. Therefore, the consequential validity and cross validity were confirmed with these results. In sum, this study developed a coparenting scale for parents with preschoolers and verified its validity. As a first attempt to develop coparenting scale for parents with preschoolers in Korea, this scale can be a useful cornerstone in developing the coparenting scale for other developmental stages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reliable and valid coparenting scale will be an invaluable tool for research about coparenting and the related fields such as parent consultation and parenting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