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청소년의 아동학대경험이 경험회피, 사회불안 및 분노억제를 통해 전위된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청소년의 아동학대경험이 경험회피, 사회불안 및 분노억제를 통해 전위된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s of child abuse on adolescents’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experiential avoidance, social anxiety, and anger-in :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nal-external control
Authors
임혜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 들어 청소년에게서 우발적이거나 뚜렷한 동기 없이 발생하는 화풀이식 공격행동과 관련된 문제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행동은 추후에 묻지마 폭행과 같은 더 심각한 문제로 발전할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음에 따라 이를 예방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개념인 전위된 공격행동에 초점을 맞춰 발달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전위된 공격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경험회피, 사회불안 및 분노억제를 매개로 하여 전위된 공격행동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고, 아동학대경험, 경험회피, 사회불안 및 분노억제와 전위된 공격행동의 구조적 관계에서의 성차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분노억제와 전위된 공격행동의 관계를 내외통제성향인 내적통제와 외적통제가 중재를 하는지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조사는 온라인 조사기관을 통해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등학생 남녀청소년 500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로는 전위된 공격행동은 Denson, Pederon와 Miller(2006)가 개발한 전위공격성 척도(Displaced Aggression Questionnaire; DAQ)를 이하나(2009)가 한국판으로 번안하고 타당화한 전위공격성 척도(Korean version of Displaced Aggression Questionnaire; K-DAQ)의 하위요인 중에서도 행동적 요소를 측정한 전위된 공격행동 문항만 사용하였다. 아동학대경험은 아동학대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한 김현수(1997)의 학대경험 척도를 사용하였다. 경험회피는 수용-행동 질문지(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Ⅱ; AAQ-Ⅱ)를 허재홍, 최명식과 진현정(2009)이 타당화한 한국판 AAQ-Ⅱ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회불안은 La Greca와 Lopez(1998)가 개발한 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Soci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 SAS-A)를 양재원, 양윤란과 오경자(2008)가 번안하고 타당화한 한국판 청소년 사회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노억제는 Spieberger, Kransner와 Slomon(1988)이 개발한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를 한덕웅, 이장호와 전겸구(1998)가 번안하여 타당화한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STAXI-K)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내외통제성향은 Rotter(1966)가 개발한 통제소재척도(locus of control)를 박영신과 김의철(1977)이 한국에 맞게 수정하여 타당화한 내외통제성향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SPSS 22.0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기술통계와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성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AMOS 22.0을 사용하여 청소년의 아동학대경험이 전위된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회피, 사회불안 및 분노억제의 매개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분석하였으며, 성별로 구분하여 다중집단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분노억제와 전위된 공격행동의 관계에서 내외통제성향인 내적통제와 외적통제에 따라 전위된 공격행동이 다르게 예측되는지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학대경험은 청소년의 전위된 공격행동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아동학대를 경험할수록 청소년의 전위된 공격행동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아동학대경험은 경험회피, 사회불안 및 분노억제를 매개로하여 청소년의 전위된 공격행동에 유의미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관련하여 6가지 경로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볼 수 있는데, 아동학대경험이 사회불안을 통해 청소년의 전위된 공격행동에 유의미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아동학대경험이 경험회피와 사회불안을 통해 청소년의 전위된 공격행동에 유의미하게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학대경험이 분노억제를 통해 청소년의 전위된 공격행동에 유의미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아동학대경험이 경험회피와 분노억제를 통해 청소년의 전위된 공격행동에 유의미하게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학대경험이 사회불안과 분노억제를 통해 청소년의 전위된 공격행동에 유의미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아동학대경험이 경험회피, 사회불안 및 분노억제를 통해 청소년의 전위된 공격행동에 유의미하게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아동학대를 경험할수록 경험을 회피하는 성향이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한 사회불안이 더욱 높아져 분노를 억제하게 됨에 따라 청소년의 전위된 공격행동이 증가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아동학대경험, 경험회피, 사회불안 및 분노억제가 청소년의 전위된 공격행동에 미치는 경로에서 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아동학대경험과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경로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학생의 경우 아동학대경험은 분노억제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학생의 경우에는 아동학대경험이 분노억제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학대를 경험한 남학생은 분노를 억제하지 않으나 아동학대를 경험한 여학생은 분노를 억제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분노억제와 남녀청소년의 전위된 공격행동 간의 관계를 내적통제는 유의미하게 조절하였으나, 외적통제는 조절하지 않았다. 이는 내적통제가 높을수록 남녀청소년 모두 분노억제가 전위된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는 반면, 외적통제가 높을수록 남녀청소년 모두 분노억제가 전위된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증가시키거나 강화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전위된 공격행동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환경적 요인인 아동학대경험과 이를 통해 형성되는 내적기제의 발달경로에 주목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 중에서도 분노억제의 매개적 역할을 재조명함으로써 전위된 공격행동을 예측하는 차별화된 심리적 특성임을 확인하였다는데 연구적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청소년기에 전위된 공격행동이 성에 따라 서로 다르게 발달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청소년의 전위된 공격행동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기 위해서는 성에 따라 그에 적합한 차별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청소년의 전위된 공격행동의 발달과정에 있어 부적응적인 정서적 요인뿐 아니라 내외통제성향과 같은 인지적 요인의 조절기능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전위된 공격행동을 발생시키는 분노억제의 영향력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인지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이는 청소년의 외적통제를 감소시키려는 노력보다는 내적통제를 함양하도록 강화시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전위된 공격행동과 관련된 문제행동의 조기중재에 사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연구적 의의와 가치를 지니며, 이를 통해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전위된 공격행동을 이해하고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child abuse on adolescents’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the experiential avoidance, social anxiety, and anger-in. In addition, the study ai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nal-external control. The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500 adolescents(245 boys and 255 girl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of Korea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by self report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multiple group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abuse had a direct effect significantly on adolescents’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It means that adolescents who experienced child abuse show more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Second, child abuse had indirect effects significantly on adolescents’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their experiential avoidance, social anxiety, and anger-in. The results reported 6 indirect paths significantly. 1) Child abuse had an indirect effect significantly on adolescents’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social anxiety. 2) Child abuse had an indirect effect significantly on adolescents’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3) Child abuse had an indirect effect significantly on adolescents’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anger-in. 4) Child abuse had an indirect effect significantly on adolescents’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experiential avoidance and anger-in. 5) Child abuse had an indirect effect significantly on adolescents’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social anxiety and anger-in. 6) Child abuse had an indirect effect significantly on adolescents’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experiential avoidance, social anxiety and anger-in. That is, it means that adolescents who experienced child abuse show more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increasing experiential avoidance, social anxiety and anger-in in order. Third, the influences of child abuse, experiential avoidance, social anxiety and anger-in on adolescents’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showed in different ways across the gender and reported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For male adolescents, child abuse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anger-in. But for female adolescents, child abuse had a direct effect significantly on anger-in. It means that male adolescents who experienced child abuse don’t have anger-in. On the other hand, female adolescents who experienced child abuse have higher levels of anger-in. Fourth, internal control had a moderating effect significantly betwee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nger-in and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but external control did not show. It means that internal control mitigates the influence of anger-in on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the buffer function. But external control don’t increase or strengthen the influence of anger-in on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t implication which found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mechanism of adolescents’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ccess of an appropriate discriminatory intervention across gender is important to prevent or decrease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in adolescents.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trengthen more internal control as a cognitive intervention strategy.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understand and prevent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in adolesc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