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2 Download: 0

The Influence of Cross-Cultural Training (CCT) on Task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Title
The Influence of Cross-Cultural Training (CCT) on Task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Other Titles
다국적기업의 직무 성과와 적응적 수행에의 이문화훈련의 영향 : 문화적 인식 수준을 매개로
Authors
김민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윤희
Abstract
As a matter of enhancing cultural awareness, cross-cultural training (CCT) has its primary function. CCT has been regarded as an effective way to stimulate communication, activity, and business in crossing national borders. In this matter, CCT has been utilized for expatriate training and has its chief purpose of carrying out comprehensive employee training enhancing cross-cultural understanding. Especially in the era of uncertainty and isolation due to a global pandemic, the additional effort to communicate cross-culturally has become more crucial. In addition, training to enable flexible and adaptive performance has become essential in this era of repetitive crises and fluctuation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CT on task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which is mediated by cultural awareness. In addition, this study had its purpose at investigating cultural awareness by CCT type and method. This study also aim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CT implementation. The research sample of this study were employees working in a multinational corporation (MNC) who have participated in a CCT in the past three year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employees from the enterprise headquarter and subsidiaries. A total of 200 survey questionnaires had been distributed, and 200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for statistical research. The survey respondents were from two different MNCs, one is an MNC “A” headquartered in Germany, and the other MNC “B” is headquartered in South Korea. The statistical programs SPSS 26 and AMOS 21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To compare the influence of implemented type and method of CCT on cultural awareness, analysis of variance (ANOVA) is us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of the items will guide the validity of the measure. Moreove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ncluding the bootstrapping approach, i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CCT was positively related to cultural awareness. Secondly, cultural aware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task performance. Thirdly, cultural aware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CT and task performance. Fourthly, cultural Aware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adaptive performance. Lastly, cultural aware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CT and adaptive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results supported all five of this study’s hypotheses. The positive and direct effects between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more, th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CT reaction and the task or adaptive perform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paths. However, cultural awarenes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ccording to CCT type or CCT method as a result of ANOVA. Lastly,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urrent CCT implementation status, the Wordcloud output image depicted the contents and topic of CCT that respondents have experienced. While the content respondents have experienced varied to a large extent, the Wordcloud analysis shows the frequent contents and issues such as “diversity and inclusion (D&I),” “expatriate training,” “foreign language.” Thus, the current tendency and trend of CCT implementation have been figured out through these keyword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discussed at several points. Firstly, the theoretical implication comes with the fact that this study utilize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Cognitive-Affective Processing System (CAPS) Theory. Secondly, the investigation has identified cultural awareness has a mediating effect on both task and adaptive performance. This underlin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mpetence, especially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it. Lastly, it is most significant that the impact of CCT on adaptive performance was scrutinized through this research. As none of the previous research utilized the five dimensions of adaptive performance developed by Charbonnier-Voirin et al. (2010) in relation to CCT, this pertains to a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four points. Firstly,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empirical studies of CCT, explaining its definition in a large sense. In addition, this study made the concept of CCT applicable to other than expatriate training, having broader implications for practical adaptation. Moreover, this study has focused attention on CCT as the function of enhancing adaptability. Fourthly, this study may provide practical insights for multinational and local firms with the need to utilize human resources and their experience in an international context. Therefore, to improve adaptive performance along with the job performance of executives and employees in the enterprise, it would be important to increase the level of cultural awareness as well as implementing CCT programs. In addition to designing CCT programs considering cultural awareness, it is suggested to spread the concept of diversity and inclusion and to change organizational culture to foster a global mindset.;이문화훈련 혹은 상호문화훈련으로 일컬어지는 CCT는 글로벌 환경에서 직원들의 문화적 인식 수준을 높이는 주요한 수단이다. 그에 따라 다문화적 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 비즈니스 활동, 인적 교류 등을 활성화하는 효과적인 방안인 CCT는 주재원들의 이문화 역량과 직무역량을 고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팬데믹의 상황과 맞물린 불확실성과 폐쇄성의 시대에 상호문화적 교류와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노력이 더욱 요구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반복적인 위기 및 변동의 시대에 직원들의 유연하고 적응적인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훈련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CCT에 대한 반응이 문화적 인식을 매개로 하여 직무 성과와 적응적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에 있다. 또한 CCT의 유형과 방법에 따른 문화적 인식 수준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다국적 기업들에서 진행되고 있는 CCT의 현황을 파악하며 어떠한 유형과 방법의 CCT 프로그램이 문화적 인식 수준을 높이는데 효과적인지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다국적 기업에 재직 중이며, 최근 3년 동안 CCT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임직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한 20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다국적 기업의 임직원들은 본사와 자사에 위치한 이들을 모두 포함하였으며, 독일 본사의 A 기업 그리고 한국 본사의 B 기업에서 표본집단을 선정하였다. 통계 프로그램 SPSS 26과 AMOS 21를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CCT의 유형과 방법에 따른 문화적 인식 수준의 평균차를 비교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변수들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그 후 구조방정식을 통해 부트스트래핑 매개효과 검증을 포함한 통계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CCT 반응은 문화적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 인식은 직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문화적 인식은 CCT 반응과 직무 성과를 매개하였다. 넷째, 문화적 인식은 적응적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문화적 인식은 CCT 반응과 적응적 수행을 매개하였다. 따라서 연구 가설 다섯 가지가 모두 채택됨과 동시에, 잠재변수들 간 정(+)의 관계를 가지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문화적 인식 수준이 CCT 반응과 직무 성과와 적응적 수행 간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효과를 모두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CCT의 유형이나 방법에 따라 문화적 인식 수준이 유의한 평균 차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워드클라우드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응답자들이 경험한 CCT 프로그램 콘텐츠의 주제를 확인해본 결과 “다양성과 포용성”, “주재원 훈련”, “외국어 교육”과 같은 주제들이 반복적으로 언급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결과에 따른 학문적 ∙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 연구는 CCT 반응과 적응적 수행을 연결시키기 위해 활용한 인지-정서적 성격 시스템 이론에 기여하였다. 해당 이론을 통해 문화적 인식 수준의 인지적 ∙ 정서적 차원을 동시에 설명함과 동시에 적응성 향상의 가능성을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을 가진다. 둘째로, CCT가 직무 성과와 적응적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문화적 인식을 매개하여서도 그 영향관계가 드러났기에 문화적 인식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따라서 CCT 반응과 직무 성과 및 적응적 수행을 매개하는 문화적 인식 수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후속 연구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Charbonnier-Voirin 외(2010)의 적응적 수행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CCT와 적응적 수행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점이 드러난다. 적응적 수행은 개인이 새로운 과업 상황에 직면했을 때 CCT를 통해 습득한 내용을 바탕으로 응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향후 연구에서도 중점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지점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로, 이 연구는 해외에 비해 국내에서 그 양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CCT 관련 실증적 연구의 확대에 기여한다. 둘째로, 주재원을 대상으로 한 파견적 훈련의 목적 외에도 CCT 프로그램의 다양한 실무적 활용 가능성이 높음이 나타났다. 셋째로, CCT가 적응적 역량을 고취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드러내어, 유연성과 민첩성이 강조되는 현 비즈니스 상황에 적절히 응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다국적 기업 외에도 국내 기업들이 국제적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고 개발하는데 있어서 CCT가 단초가 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따라서 기업 내 임직원들의 직무 성과와 더불어 적응적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CCT뿐 아니라 문화적 인식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를 고려하여 CCT 프로그램을 설계해야 할 뿐만 아니라, 다양성 및 포용성 개념의 확산, 글로벌 마인드셋 함양을 위한 조직문화의 변화 등이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