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2 Download: 0

Reframing the Image of Africa in Korea

Title
Reframing the Image of Africa in Korea
Other Titles
아프리카의 한국 이미지 변화 : 한국의 공공외교전략
Authors
Ahimah, Irene Kwartemaa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Hannah Jun(전희경)
Abstract
The relation between Korea and most African countries is rapidly evolving in areas such as economic, political, socio-cultural and others. South Korea seeks to recognize African countries not as a target of aid but as a partner. Therefore, to realize the full potential of Korea-Africa relations, South Korea seeks to bridge the knowledge and cultural gap. This is done through the Korea-Africa Foundation that incorporates awareness building, people-to-people exchanges and two-way communication to reframe the image of Africa in Korea as part of South Korea’s new public diplomacy strategies to promote partnership and collaboration with African countries and people. Using the Korea-Africa Foundation as a case study, the activities of the foundation was evaluated using the theory of change as a framework for process evaluation. Through this, the interventions of the foundation, channels and expected outcomes were evaluated and the process outcomes were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Korean and African participants of the programs and activities of KAF. Based on the finding and analysis, Korean participants expressed that by attending the programs and activities of KAF, they had the opportunity to learn about African countries and experience African culture by meeting Africans which influenced their initial negative perception about African countries and people to a more positive view and felt a sense of closeness to Africans as well. However, they revealed that this did little in changing their behavior towards Africans. Finally, it was also noted that through people-to-people exchanges, both Koreans and Africans were able to communicate to foster understanding and increase awareness, but there was no continuity of communication after the program. Exchanges were also limited by factors such as language barrier and stereotypic cues revealing the shortcomings of communication between countries with such intercultural divides. Other barriers to the program implementation and delivery of KAF included limited interaction due to online platforms in the wake of the COVID-19 pandemic.;한국과 아프리카의 관계는 경제, 정치, 사회문화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아프리카를 원조의 대상이 아닌 파트너로 인정하고자 합니다. 한-아프리카 관계의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하기 위해, 한국은 아프리카와 대륙 간의 지식과 문화 격차를 해소하고자 합니다. 이것은 한국의 새로운 공공외교 전략의 일환으로, 아프리카에 대한 한국의 단면적인 생각을 변화시키기 위해 한-아프리카 재단에서 시행하는 인식 구축과 사람 대 사람 교류가 함께 이루어집니다. 본 연구는 아프리카와의 공공외교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한-아프리카 관계의 본질과 그 역사를 분석하고 그에 당면한 이점과 과제를 파악합니다. 또한 대륙을 대상으로 한 공공외교 수행에 있어서 인식의 향상과 사람 간 교류의 필요성을 이해하기 위해 한-아프리카 관계에서의 이미지와 인식의 중요성을 살펴봅니다. 이러한 새로운 공공외교의 개념은 한국의 아프리카 공공외교 전략과 그 안에서 한-아프리카 관계의 역할을 관련해서도 탐구됩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아프리카 재단의 활동과 프로그램에 대한 과정과 결과 평가, 아프리카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에 미치는 효과도 분석하고자 합니다. 변화론을 통해, 한-아프리카 재단의 프로그램이 그 프로그램에 참석한 한국인의 인식에 변화를 가져왔다고 분석되었지만, 아프리카인에 대한 그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에 충분한 효과를 보지 못했다고 보여집니다. 또한 사람간 교류를 통해 한국인과 아프리카인 서로에게 이해를 돕는 소통할 수 있었지만 그것은 단기간일 뿐 장기적인 소통이 아니라는 평가도 받았습니다. 또한, 의사소통은 오히려 문화차이를 가진 국가들 사이에서 언어장벽과 같은 요소들로 인해 제한되었습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